-
인도 베이커리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
- 첸나이무역관 이민형
- 2025-04-01
- 출처 : KOTRA
-
타밀나두 베이커리 시장 동향
주재국 수출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인도 베이커리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상품명: 베이커리 (기타 베이커리 제품(Other bakery products not elsewhere classified)에 해당하는 품목)
HSCODE: 190590
시장동향
인도 베이커리 시장은 지난 10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과 발전을 이뤄왔다. 2024년 시장 규모는 138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5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9.12%를 기록하며 2033년까지 31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커리는 빵, 비스킷, 케이크, 페이스트리, 토르티야, 파이 등 밀가루를 기반으로 한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업종을 의미하며, 밀, 호밀, 옥수수, 귀리 등 다양한 곡물을 원재료로 사용한다.
인도 베이커리 시장은 소비자 취향 변화와 라이프스타일 전환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최근 건강을 고려한 베이커리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통곡물, 멀티그레인, 저칼로리, 글루텐 프리, 무설탕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소비자의 약 80%가 비만, 당뇨, 심장 질환과 같은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더 건강한 대안을 찾고 있다. 서구식 식문화의 영향으로 인해 케이크, 페이스트리, 쿠키 등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별한 행사뿐만 아니라 일상 간식으로도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사워도우, 치아바타, 호밀빵과 같은 프리미엄 베이커리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보다 고급스러운 경험을 위해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친환경적이고 식물성 재료를 활용한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씨앗, 견과류, 인도산 수수 등의 곡물을 활용한 제품을 개발하며, 친환경 포장 솔루션에도 집중하고 있다. 바쁜 도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슬라이스된 빵, 냉동 반죽, 부분 구운 제품, 속을 채운 빵과 같은 간편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동 중 간식 소비가 증가하면서 개별 포장 및 재밀봉이 가능한 쿠키와 비스킷이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시장 수요 및 성장 요인
인도 베이커리 시장의 성장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촉진되고 있다. 급속한 도시화와 가처분 소득 증가로 인해 도시 지역 가구의 빵, 비스킷, 베이커리 간식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서구식 식습관의 확산과 기념일 및 특별한 행사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케이크 및 페이스트리(밀가루, 버터, 물 등을 반죽하여 만든 가벼운 식감의 빵이나 디저트, 크루아상, 데니쉬 등)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패스트푸드 산업이 확장되면서 버거, 샌드위치, 간식류에서 빵의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바쁜 직장인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인해 간편하고 즉석에서 섭취 가능한 음식(RTE, ready-to-eat)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성장도 시장 확대를 촉진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문 앞 배송 서비스와 프로모션 할인은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며, 베이커리 제품의 판매를 더욱 촉진하고 있다. 자동화 및 스마트 오븐, 정밀 제빵 장비를 활용한 기술 발전은 생산 효율성과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대형 슈퍼마켓, 하이퍼마켓, 편의점과 같은 조직화된 유통망이 확대되면서 도시 및 준도시 지역에서 베이커리 제품의 가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제품별 시장 세분화
<인도 베이커리 수입 시장 세분화 현황>
[자료: indusfood]
(1) 빵
인도 베이커리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수량 면에서 전체 시장의 약 50%를 점유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아침 식사의 필수품으로 여겨졌던 빵은 이제 도시에서 농촌 지역으로 확산되며 주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에는 수제빵, 멀티그레인빵(혼합곡물), 글루텐 프리빵(밀가루 대신 쌀가루, 타피오카 가루, 아몬드 가루 등 글루텐이 없는 재료로 만든빵), 영양강화빵(비타민, 미네랄, 단백질, 오메가-3, 철분 등 영양소 추가된 빵)과 같은 혁신적인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수입 시장에서는 '기타 빵' 카테고리로 분류되며, 2024 회계연도 기준으로 인도의 전체 베이커리 수입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2) 비스킷
인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베이커리 제품 중 하나이다. 비스킷은 저렴하고 간편한 간식으로 모든 연령층과 소득 계층에서 널리 소비되고 있다. 대량 시장 제품과 프리미엄 제품으로 세분화되며, 건강을 고려한 무설탕, 고섬유질, 고단백 비스킷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도의 전체 베이커리 수입 중 비스킷이 차지하는 비율은 38.3%이며, 이 중 달콤한 비스킷이 11.6%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인도 소비자들이 국제적인 비스킷 브랜드와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3) 케이크
규모 면에서 작지만, 인도 베이커리 산업 내 시장 점유율 8%를 차지하고 있다. 기념일, 특별한 행사, 선물 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케이크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디자이너 케이크(Designer Cakes), 달걀 없는 케이크(Eggless Varieties), 고급 컵케이크(Gourmet Cupcakes) 등이 프리미엄 제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유통이 확대되면서 도시 시장을 중심으로 케이크 소비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수입 제품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국내 제조업체들은 다양한 맛, 포장, 유통기한 연장 등의 혁신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4) 베이커리 프리믹스(Bakery Pre-Mixes)
전체 시장 가치에서 2%를 차지하는 틈새(Niche) 시장이지만, 홈베이커(Home Bakers) 및 소규모 상업용 베이커리(Small Commercial Bakeries)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프리믹스는 편리성, 일관성, 시간 절약 등의 장점이 있으며, 이를 활용하면 손쉽게 빵, 케이크, 머핀, 쿠키 등을 만들 수 있다. 최근 제조업체들은 건강을 고려한 프리믹스(Healthier Pre-Mixes), 글루텐 프리 프리믹스 등의 개발에 주력하며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5) 기타 수입 베이커리 제품
기본적인 베이커리 제품 외에도, 특정 소비자층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수입 베이커리 제품이 유입되고 있다. 성찬용 웨이퍼(Communion Wafers)는 전체 수입의 8.7%를 차지하며, 이는 기독교 종교 의식 및 행사에서 꾸준한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초콜릿 코팅 베이커리 제품(Chocolate-Coated Bakery Products)은 3.6%의 비중을 차지하며, 이는 고급 간식을 찾는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을 보여준다. 또한, 러스크(Rusk) 및 토스트 브레드는 2.4%를 기록했으며,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아침 식사 대용으로 인기가 많아 수입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SWOT분석
강점: 인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비스킷 생산국으로, 대규모 생산 역량과 강력한 공급망을 갖추고 있다. 또한, 건강을 고려하는 소비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통곡물(Wholegrain), 멀티그레인, 글루텐 프리 제품 등 다양한 혁신적인 제품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강력한 브랜드 충성도와 방대한 유통 네트워크를 가진 대형 소비재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며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
약점: 원재료인 밀, 설탕, 버터 등의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점은 업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인도의 지역별 다양한 식문화로 인해 제품 표준화가 어렵고, 맞춤형 생산(Customization)에 따른 비용 증가도 제조업체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기회: 프리미엄 및 수제(Artisanal)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워도우(Sourdough), 호밀빵(Rye Bread), 고급 페이스트리(Gourmet Pastries) 등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도시 시장을 중심으로 고품질 베이커리 제품 소비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시장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
위협: 소규모 지역 베이커리(Local Bakers)와의 치열한 가격 경쟁이 이어지면서 대형 브랜드 업체들의 수익성이 위협받고 있다. 또한, 비공식(Unorganized) 시장의 높은 점유율이 브랜드 업체의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더불어, 공급망 인프라 부족 및 콜드체인 미비로 인해 제품 신선도 유지가 어려우며, 유통망 관리 미흡으로 인한 제품 낭비 및 소비자 신뢰 저하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인도 베이커리 시장이 성장 가능성이 높은 만큼, 효율적인 원재료 관리, 유통망 개선, 프리미엄 제품 확대 등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이뤄 나가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타밀나두 베이커리 시장 동향
타밀나두의 베이커리 시장에서는 건강한 대안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멀티그레인 브레드, 무설탕 쿠키, 기장(millet, 고대 곡물로 글루텐이 없는 건강 식품) 기반 제품이 인기를 끌며, 라기(Ragi, finger millet), 바즈라(Bajra, pearl millet), 조와르(Jowar, sorghum millet) 등 전통 곡물이 주요 원료로 자리 잡고 있다. 프리미엄 수제 베이커리(Artisanal & Boutique Bakeries)도 급성장하는 추세다. 첸나이, 코임바토르, 마두라이 등 주요 도시에서는 사워도우 브레드, 프렌치 페이스트리, 고급 디저트를 소량 생산해 신선도를 높인 수제 베이커리가 각광받고 있다. 또한, 카페-베이커리 복합 매장(Café-Bakery Combo)이 증가하면서, 고객들이 신선한 베이커리와 스페셜티 음료를 한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타밀나두 베이커리 시장의 또 다른 특징은 현지 전통 맛과 현대적인 베이커리 제품의 결합이다. 필터 커피, 코코넛, Jaggery(사탕수수 또는 대추야자 수액을 끓여서 만든 천연 감미료), 바나나 등 로컬 식재료를 활용한 케이크, 비스킷, 페이스트리가 인기를 얻으며, 전통과 혁신이 어우러진 퓨전 베이커리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다.
한편, 에그리스(Eggless) 및 맞춤형 케이크(Customized Cakes)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기념일과 특별한 행사에 맞춰 빠른 맞춤 제작 및 즉시 배송 서비스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홈베이커(home bakers)에서 상업 베이커리로 확장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즉 개인 제빵사들이 오프라인 매장 또는 클라우드 키친(Cloud Kitchen, 주방만 운영) 형태로 사업을 확장하며, SNS 및 배달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고객층을 확대하고 있다. 이 밖에도 DIY 베이킹 키트(소비자가 직접 집에 빵/디저트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키트), 라이브 베이킹 스테이션(고객이 직접 베이킹 과정을 실시간 볼 수 있도록 오픈형 주방 운영), 럭셔리 병 디저트(Jar Desserts, 프리미엄 디저트를 유리병에 담아 판매, 비주얼을 강조함), 미니 벤토 케이크(Mini Bento Cakes, 작은 4~6인치 도시락 크기의 1인용 케이크) 등 독창적인 베이커리 트렌드가 주목받으며, 타밀나두 베이커리 시장은 유연하고 역동적인 변화를 거듭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재국 수출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인도 베이커리 수출 상위 10개국(FY 2023~FY 2025)>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FY 2023
FY 2024
증감률
FY 2025
(’24.Apr-Dec)
1
미국
51.8
35.8
-31.0
34.8
2
영국
21.7
25.4
17.2
22.7
3
아랍에미레이트
11.7
16.9
44.4
13.2
4
사우디아라비아
5.1
14.0
173.4
10.2
5
호주
9.6
9.8
2.2
8.9
6
캐나다
9.8
8.9
-9.1
9.5
7
네팔
6.2
6.5
4.3
5.2
8
카타르
3.9
4.1
5.4
3.3
9
말레이시아
3.4
3.9
14.0
3.9
10
한국
2.9
3.4
16.8
2.6
합계
164.1
171.8
4.7
155.6
[자료: Ministry of Commerce & Industry]
인도의 베이커리 제품 수입 시장에서 한국은 FY 2023 23만 달러에서 FY 2024 98만 달러로 329.5%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조사된 상위 10개국 중 가장 높은 증가율로, 인도 시장에서 한국산 베이커리 제품의 영향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2024년 4~12월까지 집계된 수입량은 이미 전년과 동일한 98만 달러를 기록하며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도 베이커리 수입 상위 10개국 FY 2023~FY 2025>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FY 2023
FY 2024
증감률
FY 2025
(’24.Apr-Dec)
1
인도네시아
19,570
23,520
20.2
23,520
2
말레이시아
16,950
20,070
18.4
20,070
3
방글라데시
8,200
10,180
24.2
10,180
4
한국
230
980
329.5
980
5
베트남
1,160
950
-17.8
950
6
프랑스
740
880
19.2
880
7
벨기에
570
870
52.9
870
8
태국
1,130
860
-23.9
860
9
스페인
410
550
35.6
550
10
영국
360
550
54.1
550
합계
51,280
61,090
19.1
52,230
[자료: Ministry of Commerce & Industry]
경쟁동향
인도 베이커리 산업은 대형 기업과 소규모 개별 운영 업체들이 공존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시장으로, 체계적인 생산 시스템을 갖춘 기업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소규모 베이커리들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인도에는 2000개 이상의 대형 베이커리 기업과 10만 개 이상의 준체계화된(Semi-Organized) 베이커리 업체가 운영되고 있다. 특히, 개별운영 부문(Unorganized Sector)이 전체 베이커리 제품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며 인도 시장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구조는 인도 베이커리 산업이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적인 생산 방식이 혼재된 독특한 성장 환경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도 베이커리 시장 주요 기업 현황>
기업명
주요 내용
Britannia Industries Ltd.
인도의 대표적인 베이커리 기업으로 대형 베이커리 산업의 선두 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비스킷, 빵, 케이크, 유제품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 500만 개 이상의 소매점에 제품을 공급해 인도 가정의 50% 이상이 브리타니아 제품을 소비하고 있다.
2023년 연 매출 22억 달러를 기록하며 인도 베이커리 시장에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효과적인 유통망 구축을 위해 '벌크 분할(Breaking the Bulk)' 유통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 전략은 대량 생산된 제품을 단계적으로 공급망을 따라 배포하는 방식으로, 공급 및 물류업체(Carriers & Forwarding Agents)를 통해 제품을 이동시키고, 유통업체(Distributors)를 거쳐, 최종적으로 소매업체(Retailers & Dealers)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ITC Limited
ITC Limited는 베이커리 및 비스킷 부문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한 기업으로, 대표적인 브랜드로 Sunfeast(선피스트)를 운영하고 있다. 전체 매출 중 약 40%가 비스킷 사업에서 발생하고 있다. 45세 이상 소비자를 주요 타겟층으로 설정하고,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 건강 중심 제품군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Parle Products Private Limited
Parle Products는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베이커리 및 비스킷 브랜드 중 하나이다. 대표 브랜드로는 Parle-G(파를레-G), Monaco(모나코) 등이 있으며, 도시(Urban) 및 농촌(Rural) 시장 모두에서 유통망을 구축하고 있다. Shaktimaan(샥티만), Chhota Bheem(초타 빔)과 같은 인기 어린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방송 채널을 후원하며, 어린이 소비층도 공략하고 있다.
Surya Food & Agro Ltd. (Priyagold)
"Priyagold(프리야골드)" 브랜드로 알려진 인도의 주요 비스킷 업체이다. 2023년 베이커리 및 빵 시장 부문에서 연 매출 1억 97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공급망에 강점을 보이며,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주요 공급처로는 항공사, 호텔, 철도, 군납 및 관공서 매점, 대형 유통망 등이 있다.
Monginis Food Pvt Ltd
케이크 및 페이스트리 부문에서 선도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전국적으로 1,0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며 소매 유통망을 구축하고 있다. 브랜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 주 타네(Thane)에 위치한 "몽지랜드(Mongiland)"라는 베이커리 체험 테마파크를 운영하고 있다.
[자료: 기업 홈페이지, KOTRA 첸나이무역관 자료 종합]
유통구조
인도 베이커리 산업은 광범위한 유통망을 통해 전국적으로 제품을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원활한 유통을 위해 여러 중간 유통업체가 필수적으로 개입하게 된다. 현재 인도 베이커리 산업의 공급망은 크게 직접 판매 채널과 간접 판매 채널로 구분된다. 먼저, 간접 판매 채널에서는 제조업체가 제품을 생산한 후 이를 도매업자와 유통업자에게 공급한다. 이후, 이들 유통업체가 제품을 소매점, 슈퍼마켓, 호텔, 레스토랑, 카페 등 다양한 최종 판매처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조는 유통망이 넓고 시장이 방대한 인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직접 판매 채널은 제조업체가 중간 유통 단계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최근 전자상거래와 D2C(Direct-to-Consumer) 모델이 발전하면서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대표적인 예로, 기업들이 자체 온라인 스토어나 브랜드 매장을 운영하며 소비자와 직접 연결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를 통해 유통 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 데이터를 직접 확보하여 맞춤형 제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소매업체들이 자체적으로 베이커리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어려움이 존재한다. 가장 큰 문제는 수요 예측의 어려움이다. 베이커리 제품은 신선도가 중요한 만큼, 소비자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하면 재고 과잉 또는 부족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기업들은 후방 통합(Backward Integration)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후방 통합이란 기업이 기존의 제품 유통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을 확대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공급망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
베이커리 제품의 유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물류(Logistics)이다. 베이커리 제품은 상대적으로 유통기한이 짧기 때문에 신선도를 유지한 상태로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인도의 물류 시스템은 아직 개발 단계에 있으며, 특히 콜드체인 시설과 같은 신선식품 유통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 정부는 공급망 인프라 개선을 위한 도로 및 물류 허브 구축, 콜드체인 투자 확대, 자본 투자 유치 등의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남인도에 위치한 주요 Bakery Distributors 기업 5개사>
(단위: US$ 백만)
기업명
설립연도
매출
기업 특징
유통 지역
Elite Foods Pvt. Ltd.
1986
110
인도의 대표적인 식품 가공 및 베이커리 제품 제조 기업 중 하나. 주요 제품으로 빵, 케이크, 쿠키 및 전통 스낵 등이 포함
Kerala, Tamil Nadu, Karnataka, Andhra Pradesh, Telangana
Modern Food Enterprises Pvt. Ltd.
1965
(2016년 Everstone에 인수됨)
75
인도의 대표적인 빵 및 베이커리 제품 제조업체로, 2016년까지 힌두스탄 유니레버(Hindustan Unilever)의 계열사였음. 포장 빵, 번(Bun), 케이크를 전문적으로 생산
Tamil Nadu, Karnataka, Andhra Pradesh, Telangana, Kerala
Nilgiris Dairy Farm Pvt. Ltd.
1905
55
유제품, 베이커리 제품, 소매점으로 유명한 전통적인 브랜드로, 직영 매장을 운영하며 자체 생산 제품을 유통
Karnataka, Tamil Nadu, Kerala
Spencer’s Retail (Bakery & FMCG division)
1863
(retail 부분 2006년에 설립)
310
자체 베이커리 제품 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식의 매장을 운영하는 대표적인 유통 체인으로, 여러 베이커리 브랜드와 유통 파트너십을 맺고 있음.
Tamil Nadu, Andhra Pradesh, Telangana, Karnataka, Kerala
Dolphin Distributors
1995
15
슈퍼마켓, 소매점, 기관 구매자를 대상으로 베이커리 및 제과 제품 공급을 전문으로 하는 지역 유통업체
Andhra Pradesh, Telangana, parts of Tamil Nadu and Karnataka
[자료: 기업 홈페이지 및 첸나이무역관 자료 종합]
정부정책 및 규제환경
PMKSY(Pradhan Mantri Kisan SAMPADA Yojana): 인도 식품가공산업부(Ministry of Food Processing Industries, MoFPI)가 시행하는 대표적인 정책이다. 이 정책은 식품 가공 인프라 개선 및 공급망 관리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대형 및 중형 베이커리 제조업체가 증가하는 소비자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PMKSY 내 CEFPPC(Creation/Expansion of Food Processing and Preservation Capacities) 프로그램이 베이커리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3년 기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전국적으로 28개의 베이커리 가공 프로젝트가 설립됐다.
PMFME(PM Formalization of Micro Food Processing Enterprises): 이 프로그램은 소규모 식품가공업체 지원을 목표로 한다. 베이커리 사업자를 포함한 소규모 식품가공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총 예산 11억6000만 달러가 배정됐으며, FY 2021부터 FY 2025까지 5년간 운영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2023년까지 총 2017개 베이커리 업체에 2200만 달러 규모의 재정 지원이 제공됐다. 해당 정책은 소규모 베이커리 사업자들이 설비 현대화 및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국내외 신규 사업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세율
<관세율 요약>
HS Code
제품 설명
관세율
1905
일반 빵(브랜드 여부 무관)
(단, 소비용으로 제공되거나 Pizza Bread는 제외)
0%
Pizza Bread
5%
페이스트리, 케이크, 비스킷 및 기타 베이커리 제품 (코코아 함유 여부 무관) 및 성찬용 웨이퍼(Communion Wafers), 의약품용 빈 캡슐(Empty Cachets), 밀봉용 웨이퍼(Sealing Wafers), 라이스페이퍼(Rice Paper) 등 유사 제품
(단, 피자 브레드, 카크라(Khakhra), 일반 차파티(Chapatti) 및 로티(Roti), 러스크(Rusk), 토스트 브레드(Toasted Bread) 및 유사 토스트 제품, 튀기지 않거나 익히지 않은 스낵 펠릿(압출 성형된 제품)은 제외)18%
최혜국대우(Most Favoured Nation, MFN)
30%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APTA) 특혜 관세
해당없음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5%
[자료: Indian Trade Portal]
인증
FSSAI: 모든 베이커리 제조업체(소규모 가내 업체, 수입업체 포함)는 FSSAI(Food Safety and Standards Authority of India) 등록 또는 면허 취득이 필수이다. FSSAI 규제는 식품 위생(Hygiene), 원재료 품질(Ingredient Quality), 포장(Packaging), 보관(Storage) 등의 안전 기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조업체는 첨가물(Additives), 보존제(Preservatives), 라벨링(Labeling: 영양 정보 및 알레르기 성분 포함), 유통기한(Expiry Date), 안전 생산 기준(Safe Production Practices) 등의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Legal Metrology (Packaged Commodities) Rules): 모든 포장 베이커리 제품은 해당 법률에 따른 라벨링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제품 패키지에는 다음 정보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순중량(Net Weight), 제조일자(Manufacturing Date), 유통기한(Expiry Date) 또는 "최고 권장 소비 기한(Best Before)", 최대 소매 가격(MRP, Maximum Retail Price), 제조업체 연락처(Manufacturer Contact Information). 이 규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벌금 및 제품 회수(Penalty & Product Recall)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
BIS(Bureau of Indian Standards): 모든 베이커리 제품에 BIS 인증이 필수는 아니지만, 프리미엄 시장 및 수출·수입을 목표로 하는 브랜드에는 권장된다. 대표적인 BIS 품질 표준에는 IS 1485: 빵(Bread) 품질 표준, IS 1011: 비스킷(Biscuit) 품질 표준이 있으며, IS 인증을 획득하면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고, 제품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인도 소비자보호부(Ministry of Consumer Affairs)에서 관리하는 포장 및 라벨링 기준이 있고, 알레르기 성분 표시(Allergen Disclosure Requirements)도 명확히 해야 하며, 식물성·비건 제품 라벨링(Plant-Based and Vegan Product Labeling) 등도 정부 지침에 따라 준수해야 한다.
시사점
한국 베이커리 제품의 인도 수출은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인도 내 베이커리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건강을 고려한 제품, 프리미엄 디저트, 간편식 베이커리 등의 분야에서 한국 제품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을 고려한 제품 개발과 마케팅이 필수적이다. 인도 소비자들은 대체로 단맛을 선호하고, 코코넛, 자가리(비정제 설탕)와 같은 현지 식재료에 익숙하다. 따라서 한국 베이커리 제품이 인도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이러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과 대형 유통망을 활용하여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야 한다. Zomato, Swiggy, BigBasket 같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한국 베이커리 브랜드를 홍보하고, 대형 마트 및 프리미엄 카페 체인과 협력하여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인도 내 현지 생산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현재 한국에서 인도로 베이커리 제품을 수출할 경우, 물류비와 수입 관세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도 현지에서 제조 공장을 설립하거나, 인도 베이커리 업체와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으로 협력하는 것이 비용 절감과 시장 점유율 확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단순히 제품을 수출하는 것만으로는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고, 현지 소비자의 취향을 반영한 제품 개발, 효과적인 마케팅, 온라인 및 오프라인 유통망 활용, 장기적인 현지 생산 전략까지 고려한다면, 한국산 베이커리 제품은 인도 시장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자료: indusfood, Researchandmarkets, blog.sathguru.com, blog.intoglo.com, theindiawatch, reportlinker, ibef, itcportal, marketing91, scribd, mbaskool, fnbnews, Ministry of Commerce & Industry, KOTRA 첸나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베이커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기능을 넘어 감성 케어까지 공략하는 중국 바디케어 시장 트렌드
중국 2025-04-09
-
2
몽골 귀금속 시장동향
몽골 2025-04-01
-
3
미국 인쇄회로기판(PCB) 시장동향
미국 2025-04-02
-
4
글로벌 AI 파트너십(GPAI)의 새 의장국 세르비아, 확대되는 AI 산업 동향
세르비아 2025-04-01
-
5
포르투갈 라면 시장동향
포르투갈 2025-03-31
-
6
인도 고속철도 시장 진입 기회 마련을 위한 전략
인도 2025-03-31
-
1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2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3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4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
-
5
2024년 인도 해양 산업 정보
인도 2024-07-09
-
6
2023년 인도 전기자동차 산업 정보와 현지 동향
인도 2023-12-1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