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장에서 보는 러시아 반려동물 용품 트렌드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
- 2025-03-24
- 출처 : KOTRA
-
반려동물로서 고양이를 선호하는 러시아
규제에는 민감하게 반응
2025년 2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반려동물 용품 및 서비스 산업의 주요 행사인 Pet industry 국제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이번 전시회에는 러시아, 벨라루스, 중국, 독일 등에서 총 13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했으며, 전시 면적은 9000㎡에 달했다. 또한 약 500건의 비즈니스 미팅과 30여 개의 행사(페스티벌 및 비즈니스 이벤트 포함)가 이루어졌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은 전시회에 직접 참가하여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러시아 반려동물 관련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고, 우리 기업에게 도움이 될만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러시아 반려동물 시장 개요
Zooinform에 따르면, 글로벌 반려동물 관련 산업은 연간 2.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시장 규모는 약 660억 달러로 추정된다. 러시아 반려동물 제품 시장 또한 지난 3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에 힘입어 역동적인 산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2022년 시장 규모는 40억 달러로 전년 대비 24.5% 성장했다. 2023년에는 53억 달러로 확대되며 31.2%의 인상적인 증가율을 기록했고, 2024년에는 62억 달러에 도달하여 전년 대비 17.7%의 성장을 이뤘다. 이처럼 성장률이 점진적으로 둔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는 여전히 크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러시아 반려동물 제품 시장>
(US$ 십억)
[자료: Zooinform]
러시아 반려동물 용품 산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반려동물 사료에 대한 높은 수요이며, 이는 전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반려동물 사료(개 및 고양이 사료 포함) 총매출은 50억 달러에 달하며 시장의 압도적인 부분을 점유하고 있고, 또 다른 중요한 카테고리는 고양이 화장실 모래로, 매출 규모는 5억4700만 달러에 이르고 있다. 그 외 액세서리, 헬스케어 제품, 장난감 등 기타 반려동물 관련 제품이 나머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러시아 반려동물 시장>
[자료: Zooinform]
고양이 관련 용품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는 것은 러시아 내 반려동물 트렌드를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2023년 기준, 러시아 내 총 반려동물 수는 7480만 마리로 증가했으며, 이 중 고양이가 4920만 마리로 전체 반려동물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개는 2550만 마리로, 시장에서 개 사료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를 설명해준다. 이는 개 사육 비율과 개 사료 매출이 더 높은 서구 시장과 차이를 보인다. 러시아 반려동물 산업의 지속적인 확장은 특히 프리미엄 및 특수 제품 카테고리에서의 비즈니스 기회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5년 1월 기준, 러시아 내 반려동물 매장은 약 1만6750개로, 전년 대비 2.6% 감소했으며 특히 주요 대도시에서 감소 폭이 컸는데, 모스크바는 12.5% 감소(901개 매장), 상트페테르부르크는 9.5% 감소(894개 매장) 했다. 이러한 감소는 더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고 편리함을 갖춘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성장에 따른 결과이다. 그러나 크라스노야르스크(Krasnoyarsk)와 볼고그라드(Volgograd)와 같은 일부 도시에서는 반려동물 매장 수가 증가하며, 지역별 수요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반면, 러시아 내 동물병원 수는 증가하는 추세다. 2025년 초 기준, 러시아 내 동물병원은 9600개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으며, 16대 주요 도시에서는 9.3% 증가하여 2300개에 달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이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을 더욱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주며, 동물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의 사업 기회가 유망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주요 트렌드
Zooinform 등 관계자 의견을 종합하면 러시아 반려동물 용품 시장의 최근 트렌드는 아래와 같다.
1) 반려동물의 가족화
반려동물을 온전한 가족 구성원으로 여기는 트렌드는 지난 20년 이상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IPSOS 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고양이 보호자의 87%, 개 보호자의 86%가 반려동물을 단순한 동물이 아닌 동반자 또는 ‘자녀’로 간주한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경향은 반려동물 제품이 외형과 품질 면에서 인간용 제품과 유사하게 개발되는 것을 촉진하며, 보호자와 반려동물 간의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 맞춤형 식단 제공
전 세계적으로 수의학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반려동물 사료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제조업체들은 개별 맞춤형 식단뿐만 아니라, 보충제와 토퍼를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식단(Customizable Diet)’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망한 틈새 시장 중 하나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간식 및 반려동물 사료 생산으로, 개별 맞춤 영양 솔루션을 원하는 보호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3) 인간식과 유사한 반려동물 사료 선호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점점 더 인간의 음식과 유사한 반려동물 사료를 선호하고 있다고 얘기하며 스튜, 필라프, 소시지, 미트 패티뿐만 아니라 강아지용 ‘맥주’나 ‘초콜릿’ 같은 제품까지 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트렌드는 보호자가 직접 요리한 식단에서 상업용 반려동물 사료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85%의 개 보호자와 65%의 고양이 보호자가 반려동물에게 가끔 가정식을 제공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가정식과 유사한 산업용 반려동물 식품 시장이 성장할 기회를 제공하며, 초기에는 틈새시장으로 출발하겠지만, 소규모 식품 제조업체들이 반려동물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4) 전자상거래(E-Commerce) 성장
온라인 판매가 점점 더 반려동물 전문 매장의 시장 점유율을 잠식하며,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2025년까지 Wildberries와 Ozon과 같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가 중소 브랜드의 주요 판매 플랫폼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제조업체들이 소비자와 직접 거래하는 D2C(Direct-to-Consumer) 판매 방식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반려동물 제품 기업들은 반려동물의 가족화, 맞춤형 영양, 고품질 가정식 스타일 사료와 같은 성장하는 트렌드를 활용하여 러시아 시장에서 강력한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프리미엄 및 혁신적인 반려동물 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한국 브랜드는 차별화가 가능하다.
<반려동물용 사료 수입동향(HS Code 2309)>
(단위: US$ 백만)
국가/연도
2022
2023
2024
이탈리아
129.31
93.31
64.43
인도
79.67
93.47
62.56
벨기에
40.3
49.64
61.52
중국
84.25
71.8
60.34
프랑스
184.95
168.18
51.18
[자료: GLOBUS VED]
주요 제조사 및 경쟁동향
기업명(웹사이트)
개요
Purina PetCare
(www.purina.ru)
2007년부터 칼루가 지역 보르시노에서 운영 중이며, 퓨리나의 13개 유럽 공장 중 하나로 건식 및 습식 반려동물 사료를 생산하고 있다. 해당 기업의 Felix 브랜드는 러시아 반려동물 사료 시장에서 6.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양이 사료 부문에서는 9%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Lemniskata
(www.rupetfood.ru)
2024년, Lemniskata는 건식 고양이 및 개 사료 생산을 위한 신규 생산 라인을 설치하며 운영을 확장했다. 또한 중·고급(Medium+), 프리미엄(Premium), 슈퍼 프리미엄(Super-Premium) 시장을 겨냥하여 습식 사료 제품군을 확장하고 있다. 해당 기업의 생산 공정은 ISO 22000:2018 및 GOST ISO 22000:2019 기준을 준수하며, 러시아 및 국제 품질 표준을 충족하고 있다.
[자료: 기업 웹사이트, 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 종합]
관련 전시회 소개
전시회명
International Exhibition Pet industry
로고
개최 기간
2025.02.26.(수) ~ 02.28.(금)
개최 장소
Expoforum, 상트페테르부르크
전시 규모
전시면적 9000㎡, 참가 기업 약 130개사
공식 웹사이트
https://petindustry.expoforum.ru/en/
'25년 2월 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이 참관한 International Exhibition Pet industry에는 총 130개의 기업이 참가하였으며, 소규모 업체부터 러시아 내 최대 반려동물 제품 생산업체 및 유통업체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함께했다. 이 전시회는 지역 중심의 행사로, 참가 기업들은 현지 및 연방 단위의 생산업체 및 유통업체와의 계약 체결, 해외 기업과의 네트워크 구축 등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여러 주요 러시아 반려동물 제품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가 참가했으며, 약 12개의 중국 반려동물 기업도 함께 참여했다. 외국계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러시아 시장에서 해외 반려동물 제품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시회 전경>
[자료: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 촬영]
전시회 현장 인터뷰
알렉산드르 콜친(Alexander Kolchin), Zooinform 대표 (러시아 최대 반려동물 산업 정보 기관)
러시아 업체들이 가장 우려하는 문제 중 하나는 최근 몇 년간 한국에서 수입 예정이었던 반려동물 사료에서 유전자 변형 원료(GMO)가 발견된 사례이다. 이러한 우려는 전시회에 참가한 다른 유통업체들의 의견에서도 나타났고 GMO 성분과 관련된 복잡한 규제 문제와 소비자의 불신은 한국산 반려동물 사료 브랜드가 러시아 시장에 진입하는 데 있어 상당한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제조업체들은 원료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러시아 식품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 인증을 취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러시아 규제 기관과 협력하고 소비자 인식 개선 캠페인을 진행하는 것이 한국산 반려동물 사료 제품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산 반려동물 관련 제품이 아직 러시아 시장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지는 않지만, 여러 러시아 기업들이 한국에서 제품을 수입하려는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 제조업체들이 프리미엄 반려동물 사료 및 혁신적인 반려동물 케어 제품과 같은 틈새시장(Niche Market)을 공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러시아 유통업체 A사
최근 러시아 내 중국산 반려동물 제품의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 제조업체들은 경쟁력 있는 가격과 다양한 제품군을 제공하며, 이는 한국 브랜드가 차별성을 두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한국산 반려동물 제품이 일반 러시아 소비자들에게 가격이 너무 비싸게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사점
이번 전시회를 통해 만난 반려동물 산업 전문가들의 의견과 관련 시장 분석을 종합하면, 우리 기업들은 반려동물의 가족화, 맞춤형 영양식에 대한 선호 등 최신 트렌드에 부합하는 프리미엄 제품, 혁신적인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진출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최근 러시아 내 한국 문화에 대한 광범위한 소비층이 새로 생겨난 점을 감안하면, 지금이 우리기업들이 러시아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 터키 등 저가 제조업체들과의 경쟁, GMO 규제 문제와 같은 도전 과제들도 시장 내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면밀한 사전 조사를 통해 리스크 분석에 주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료: Zooinform, 참가 기업 인터뷰, 현지 언론,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현장에서 보는 러시아 반려동물 용품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스페인 내 반려동물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스페인 2025-03-21
-
2
AI가 만드는 새로운 질서, 미국 노동시장 변화
미국 2025-03-21
-
3
우크라이나 재건과 우리기업의 참여 가능성
우크라이나 2025-03-21
-
4
짧지만 강력한 마케팅, 중국 젊은 소비자를 사로잡는 팝업스토어 전략은?
중국 2025-03-21
-
5
싱가포르의 탈탄소 친환경 에너지 정책 살펴보기
싱가포르 2025-03-24
-
6
일본 내 '오렌지 쇼크', 대체 수입처 모색에 나서는 일본 음료 제조업계
일본 2025-03-21
-
1
2024년 러시아 섬유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10
-
2
2024년 러시아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02
-
3
2024년 러시아 폴리머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27
-
4
2024 러시아 극동 지역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06
-
5
2024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0-02
-
6
2021 러시아 자동차 산업
러시아연방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