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마카오 경제동향 진단과 시사점
  • 경제·무역
  • 홍콩
  • 홍콩무역관 Bonnie Lo
  • 2025-03-19
  • 출처 : KOTRA

2024년 실질 GDP 성장률 8.8%%를 기록하면서 완만한 성장세 지속

GBA 진출, 관광 서비스 인력 교류, 산업 다변화 지원 등 협력기회 모색해 볼만

2024년 마카오 경제 동향 

 

마카오 통계청(DSEC)에 따르면, 2024년 실질 국내 총생산은 약 4033억 MOP(약 50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86.4% 수준까지 회복한 수준을 보였다. 실질 GDP 성장률은 전년 대비 8.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별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추이를 살펴보면, 2024년 1분기는 23.0%, 2분기는 7.1%, 3분기는 3.8% 그리고 4분기는 3.4% 증가율을 보이면서 점진적으로 경제 회복세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국내 총 수요는 2.3% 증가했으며, 개인 소비지출과 총고정자본형성은 각각 4.9%와 4.6% 증가한 반면, 정부지출은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외 부문에서는 상품 수출은 14.5% 감소했으나, 게임(카지노 등) 관련 서비스 수출이 21.8% 증가하면서 서비스 총수출은 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카오 정부는 2024년 경제 실적과 관련하여 안정적인 고용시장에 따른 국내 소비가 지속적으로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내수 소비 증가율은 3.8%에 그친 반면, 해외 소비는 11.1% 증가한 점에 주목했다. 또한 정부 지출 감소는 ‘생활보조지원제도(Livelihood Subsidy Scheme)’의 중단에 따른 상품과 서비스 순지출(net purchase) 감소에 기한 것으로 평가했다. 민간 부문의 자본 투자(private equipment investment)가 전년 대비 31.1%로 크게 증가하여 일부 대형 건설 프로젝트의 종료로 인한 건설 부문의 성장률 감소(-10%)에도 총고정자본형성의 증가를 주도한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관광객의 방문이 전년대비 23.8% 증가하고 카지노 서비스 수출(exports of gaming services)도 21.8% 증가하면서 서비스 수출 증가세(+9.2%)를 주도하였으나, 기타 관광 서비스 수출(exports of other tourism services) 부문은 기저효과로 인해 전년대비 오히려 6.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상품 수출입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면서 경제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마카오 주요 경제지표 증감률 추이>

(단위: %)

구분

2022

2023

2024

실질 GDP 성장률

-21.4

+86.4

+8.8

개인 소비지출 증감률

-10.5

+16.6

+4.9

정부 지출 증감률

+1.9

+17.7

-5.1

고정자본형성 증감률

-13.9

+10.0

+4.6

상품 수출 증감률

-14.1

+24.9

-14.5

상품 수입 증감률

-27.1

-0.1

-7.6

서비스 수출 증감률

-7.9

+184.3

+9.2

서비스 수입 증감률

+12.6

+27.7

+8.2

주: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US$ 1 = 8.06 MOP적용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전통적으로 마카오 경제는 카지노 및 관광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구조적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마카오 정부의 재정 수입에서 카지노 산업 관련 세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80%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카오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마카오를 방문한 인원 수는 전년대비 23.8% 증가한 약 3493만 명에 달했다. 2024년 전체 마카오 방문객의 70.1%는 중국 본토로부터의 관광객이었으며, 홍콩으로부터의 방문객이 20.6%를 차지했다. 즉, 중국 본토와 홍콩으로부터의 방문객이 전체의 90.7%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카오 방문 해외 관광객 수 추이>

(단위: 천 명, %)

 

2021

2022

2023

2024

방문객 수

7705.9

(+30.7)

5700.3

(-26)

28,213

(+394.9)

34,928

(+23.8)

주: 괄호 안 숫자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마카오 대학에서 발간한 '2025년 마카오 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경제 성장의 둔화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등으로 마카오 경제는 하방 압력을 겪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2025년의 마카오 경제의 경우 GDP는 7.7% 증가, 서비스 수출은 7.6% 증가, 개인 소비지출은 3.1%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실업률은 1.8%를 보이고 마카오 주민의 실업률은 2.3%의 낮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면서 노동 시장은 공급 부족을 지속적으로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마카오의 산업 구조 현황

 

2023년 기준 마카오는 전체 GDP의 95%를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 중심의 경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중 카지노(gaming & junket activities) 산업은 38.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 공공행정, 교육, 의료 및 기타 서비스업(12.3%), 부동산 산업(10.8%), 은행보험업(10%)이 뒤를 이었다. 2차 산업으로 분류되는 제조업과 건설 부문은 전체 GDP의 약 6%를 차지하면서 2021년 대비 2%p 비중이 감소하면서 서비스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마카오 산업 구조>

(단위: %)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마카오 정부에 따르면, 카지노 산업 종사자는 2023년 기준 약 5만 177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총 수익은 전년 대비 308.1% 급증하여 1885억2000만 MOP(233억90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실질적인 게임(games of chance) 수익은 1836억 MOP(227억8000만 달러)로 33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부문의 경제 기여도를 측정하는 총부가가치(Gross Value Added)는 전년 대비 345.8% 증가하여 1353억7000만 MOP(167억9000만 달러)에 달했다. 또한, 세전 총잉여(Gross Surplus)는 전년 대비 896.5% 급증하여 1152억 MOP(142억9000만 달러)까지 증가했다. 카지노 부문의 정규직 직원 1인당 평균 부가가치 창출은 2022년 0.6에서 2023년 2.6으로 증가하면서 349.2%의 증가율을 보였다.


MICE 산업은 마카오 정부가 경제 회복을 위해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중요한 산업이다. 이는 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s), 컨벤션(Convention), 이벤트와 전시(Events & Exhibition)의 약자이다. 마카오 정부에 따르면 2024년에는 전년대비 364건이 증가한 총 1524건의 MICE 행사가 개최되었다. 여기에는 1423건의 회의 및 컨퍼런스(전체의 93.4% 차지), 61건의 전시회, 40건의 인센티브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참석자 수는 총 133만 명에 달했다. 그러나 2024년 기준 카지노 수익을 제외한 MICE 관련 수익은 약 54억8000만 MOP(6억8000만 달러)로, 이는 2023년 59억7000만 MOP(7억4000만 달러) 대비 8.2% 감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카지노 산업보다 수익성이 둔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24년 MICE 행사의 42%(640건)는 상거래 및 비즈니스 관련 행사였으며, I&T(정보기술) 관련 부문과 의료 및 헬스케어 부문이 각각 10.7%와 10.1%로 뒤를 이었다. 협회 및 기업 회의 부문이 각각 약 38%를 차지했다. I&T와 의료/건강 분야(medical/healthcare)의 행사가 각각 10% 내외 수준으로 그 뒤를 이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상거래 및 비즈니스 관련 행사의 76.8%는 기업(corporate)과 업종별 단체(association)와 관련 행사였으며 정부 회의(government meeting)는 14.7%를 차지했다.

 

< 2024년 마카오 MICE 행사의 유형 및 주제별 비중 >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2024년 마카오의 상품 무역 실적

 

2024년 상품 수출은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며, 이 중 재수출은 1.8% 증가했지만 자체 수출은 4.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상품 수입은 9.0% 감소했다. 전체 상품 교역 규모는 전년 대비 8.2% 감소하여 1421억5000만 MOP(176억30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상품 무역 적자는 1151억8000만 MOP(142억9000만 달러)로, 2023년의 1281억1000만 MOP(158억9000만 달러)보다 129억3000만 MOP(16억 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대상 지역 기준으로는 홍콩특별행정구(Hong Kong SAR)와 유럽연합(EU)으로의 상품 수출은 각각 전년 대비 0.7% 및 42.9% 증가한 반면, 중국 본토와 미국으로의 수출은 각각 23.3% 및 3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24년 마카오의 주요 수출 대상국 >

(단위: 백만 MOP, %)

주: US$ 1 = 8.06 MOP 적용하여 US$ 금액으로 환산 가능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 2024년 마카오의 주요 수입 대상국 >

(단위: 백만 MOP, %)

주: US$ 1 = 8.06 MOP 적용하여 US$ 금액으로 환산 가능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품목 기준으로는 수출의 경우, 전체 수출의 88.7%를 차지한 섬유의류 이외의 품목(non-textiles)의 수출은 0.5% 감소한 반면, 전체 수출의 11.2%를 차지한 섬유의류 품목(textiles & garments)의 수출은 16% 증가했다. 섬유의류를 제외한 품목군에서는 기계 및 부속품(-25.3%)을 제외하고, 다이아몬드 보석류, 시계, 여행 관련 제품(여행용품 및 핸드백 등)이 전반적으로 증가율을 보였다.

 

<2024년 마카오의 주요 수출 품목 >

(단위: 백만 MOP, %)

주: US$ 1 = 8.06 MOP 적용하여 US$ 금액으로 환산 가능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10대 수입 품목의 경우, 연료 및 윤활유 제품을 제외(+10%)하고는 모두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였으며, 그 중 건설 자재(-34.4%), 금으로된 보석류(-29%), 뷰티제품(-29.3%), 핸드백 및 지갑(-18.2%), 시계(-27%) 등 다른 품목들은 다소 큰 감소율을 보였다. 일부 정부 건설 프로젝트의 완료, 마카오 여행객들의 사치품 및 뷰티제품 등의 국내 소비 감소 및 해외 소비 선호 현상(홍콩 달러의 가치 상승 및 MOP와의 실질적 1:1 연동 효과)) 등이 관광 패턴의 변화가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 2024년 마카오의 10대 수입 품목 >

(단위: 백만 MOP, %)

주: US$ 1 = 8.06 MOP 적용하여 US$ 금액으로 환산 가능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최근 마카오의 총교역 추이를 살펴보면, 2025년 1월 기준에도 전년 동기대비 1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적으로 아직까지는 마카오의 대외 교역 부문이 위축되고 있는 추세로 평가될 수 있다.  

 

<마카오의 수출입 현황 및 추이>

(단위: US$ 백만, %)

구분

2023

2024

2025년 1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수출

1,655

-1.3

1,674

+1.1

140

+0.3

재수출

1,463

+2.5

1,489

+1.8

124

+1.7

총수입

17,548

+1.2

15,964

-9.0

1,336

-12.2

총교역

19,204

+0.9

17,637

-8.2

1,476

-11.2

주: US$ 1 = 8.06 MOP적용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마카오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전체 소매 판매액은 86.3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9% 감소했다. 시계 및 보석(-25.3%), 가죽 제품(-22.6%), 백화점(-18.6%) 품목의 판매가 감소한 반면, 유일하게 자동차 판매만 16.1% 증가했다. 또한, 평균 판매량 지수는 전년 대비 18.7%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 마카오의 부문별 소매 판매액>

(단위: US$ 백만, %)

품목

2024

금액

증감률

시계 및 보석

1.942

-25.3

가죽 제품

1.828

-22.6

백화점

1.190

-18.6

성인 의류

0.801

-4.5

슈퍼마켓

0.640

-0.2

통신 장비

0.265

-13.9

자동차

0.294

16.1

화장품 및 위생 용품

0.281

-11.1

약국

0.257

-5.5

중국 식품

0.198

-5.8

자동차 연료

0.177

-1.8

주: US$ 1 = 8.06 MOP적용

[자료: 마카오 통계청(DSEC)]

 

2024년 한국-마카오 간 교역 동향

 

2025년 1월 기준 한국의 수출 대상국 중 162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한국과 마카오 간의 총 교역 규모는 전년 대비 약 28.9% 감소한 약 1662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한국과의 교역이 최근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한국의 대(對)마카오 수출은 1330만 달러로서 전년 대비 32.2% 감소했으며, 수입은 약 333만 달러로 11.7% 감소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마카오 내수 소매 판매 감소세, 국내소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해외소비 증가율,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수출 감소, 화장품과 의류 품목의 수출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무역수지는 약 997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동기대비 37.1% 감소한 수준을 보였다. 2025년 1월 기준으로도 이러한 교역규모 감소 추세는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24년 한국과 마카오 간 수출입 동향>

(단위: US$ 천, %)

구 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1월)

수 출

21,100

(-31.7)

30,319

(+43.7)

18,515

(-38.9)

19,619 

(+6.0)

13,299

(-32.2)

867

(-52.1)

수 입

2,967

(-29.8)

651

(-78.1)

1,523

(+133.9)

3,767

(+147.4)

3,327

(-11.7)

93

(-81.9)

총교역

24,067

30,970

20,038

23,386

16,626

960

수 지

18,133

29,668

16,992

15,853

9,972

774

주: 괄호 안의 수치는 전년 대비 증가율

[자료: 한국무역협회]

 

2024년 기준 10대 수출 품목 중 자동차, 패션잡화, 자동차부품 등의 품목이 큰 감소폭을 보였으며, 문구 및 완구, 동제품, 농약 및 의약품, 농산 가공품 등의 수출은 증가세를 유지했거나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한국의 對마카오 10대 수출입 품목>

(단위: US$천, %)

순위

수출

수입

품목(MTI코드)

금액

증감률

품목(MTI코드)

금액

증감률

 

총계

13,299

-32.2

총계

3,327

-11.7

1

자동차 (741)

2,655

-48.6

의류 (441)

1,202

-2.5

2

비누치약및화장품 (227)

1,437

-30.4

석유제품 (133)

455

4.9

3

동제품 (622)

1,410

43.1

반도체 (831)

318

14.8

4

의류 (441)

1,212

-25.6

문구 및 완구 (515)

174

-76.9

5

자동차부품 (742)

1,070

-41.2

계측제어분석기 (815)

155

12,632.2

6

문구및완구 (515)

616

247.0

식물성물질(013)

142

173.7

7

농약및의약품 (226)

606

39.3

 농산가공품 (016)

104

-49.8

8

신변잡화 (511)

599

-45.0

산업용전자기기 (842)

101

503.0

9

농산가공품 (016)

406

6.0

유선통신기기 (811)

96

3,614.8

10

패션잡화 (518)

388

-32.3

종이제품(252)

65

82,554.4

주: 괄호안은 MTI 3단위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6대 신임 행정장관 취임과 마카오 정부의 정책 과제


2024년 10월 마카오 행정장관 선거에서 최초의 중국 본토 출신이자 법관 출신인 삼호우파이(Sam Hou Fai, 岑浩輝) 6대 행정장관이 선출되었다. 삼 행정장관은 "행정장관은 마카오의 일국양제를 추진하는 책임자로 일국양제 정책을 전면적이고 정확하며 확고부동하게 시행할 것"이라며 "국가의 주권과 안전, 발전 이익을 수호하는 것이 일국양제의 최고 원칙"이라고 거듭 강조한바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마카오의 발전과 통합을 위해 ▲포르투갈어 국가의 고급 인재와의 연계를 활용해 웨강아오 대만구(광둥성 9개시-홍콩-마카오를 포함하는 경제개발구)의 국제과학기술혁신센터 건설 가속화 ▲웨아강아오 대만구 간 연계 강화 ▲마카오 주민들의 광둥-주하이-헝친 지구의 발전과 통합을 위한 지원 확대 등을 내세웠다.


지난 12월 포루투칼로부터의 반환 25주년을 맞이하여 마카오를 방문한 시진핑 국가 주석은 마카의 산업 다각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바 있다.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마카오는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변화와 혁신에 용기있게 나서야 한다”면서, 국제 무대를 향한 더욱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자세와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보장하는 `일국양제`의 틀을 보다 잘 활용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이를 위해 시 주석은 마카오가 적정한 수준의 경제 다각화 차원에서 신산업 육성에 집중해야 한다면서, 중국 광둥성과 홍콩 등 인근 금융 중심지와 마카오를 잇는 ‘웨강아오 대만구(Greater Bay Area)’ 개발 계획을 반영한 산업 다각화 추진을 지시한바 있다.

 

시사점


이처럼 마카오 경제는 전체 산업에서 서비스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관광업, 카지노 산업, MICE 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실질 GDP 성장률변동성이 큰 특성을 보인다. 2024년 경제 실적을 분석했을 때, 카지노 산업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에도 MICE 산업을 통한 수익성은 오히려 카지노 산업보다 더 악화되고 있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그간 마카오 정부의 신산업 육성 및 산업 다각화 노력이 아직 가시적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게다가 만성적 노동 인구의 부족 현상, 소비 시장 위축 추세, 대외 교역의 불확실성은 마카오 경제가 새로운 활력을 찾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2025년 중국 본토의 내수 부양 정책에 대한 반사적 이익도 기대된다. 중국과 홍콩으로부터의 방문객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지역으로부터의 방문객의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MICE 행사 분야의 다각화를 통한 다양한 해외 관광객 유치, 중국어(푸동화) 등 다양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서비스 부문 인재의 유치 등을 위한 노력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도 마카오를 방문하는 다양한 제 3국 관광객과 전문가 그룹 등을 타깃으로 적극적인 틈새 마케팅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마카오 주민의 소비 진작을 위해 마카오 정부가 3월 24일부터 6월 1일까지 추진할 약 2억9500MOP(3660만 달러) 규모의 소비 바우처 지급 캠페인 기회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마카오 내에서의 서비스 공급 분야의 인력난을 우리 청년들의 해외진출 기회로 활용하는 노력도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 KOTRA 홍콩 무역관이 추진하는 `마카오 환경 전시회(MICEF)` 대리 참가 사업(2025년 3월 27~29일), 중국 본토와 협력을 통해 3년 째 추진하고 있는 `마카오 관광 분야 해외취업 지원 사업', K-POP 등 한류 공연과 연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볼 만할 것이다.     

 


자료: 마카오통계청, 한국무역협회, IMF, 마카오무역투자진흥국(IPIM), SCMP, 마카오 MICE 사이트, 마카오 정부 보도자료, 중국신화통신, www.voakorea.com,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마카오 경제동향 진단과 시사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