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륜차에서 구급차까지... 인도 전기차 시장이 움직인다
- 트렌드
- 인도
- 뭄바이무역관 김준범
- 2025-03-24
- 출처 : KOTRA
-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정부 주도형 추진책 PM E-Drive
충전 인프라 확대 향한 印 의지... 현지 생산 및 협력 통해 韓 기업 기회 찾아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전기차 보급,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인도 정부
2070년까지 탄소중립(Net-zero)을 달성하겠다는 원대한 목표를 설정한 인도의 교통 부문은 인도 이산화탄소 CO₂ 배출량의 약 14%를 차지하며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탄소 배출원이 되고 있다. 이에 교통 부문 탈(脫)탄소화는 필수적인 해결 과제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전기차(EV) 보급에 당국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전기차 신속 도입 및 제조 장려 정책(FAME: Faster Adoption and Manufacturing of Electric Vehicles)"을 도입했으며, 이를 통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개발에 대한 인센티브를 집중적으로 제공했다. 두 번째 단계인 FAME II는 2024년 3월 종료됐으며, 후속 정책으로 2024년 9월, "정부 주도 혁신형 전기차 확대 정책(PM E-DRIVE: Prime Minister Electric Drive Revolution in Innovative Vehicle Enhancement)"이 발표되었다. 정부는 PM E-DRIVE에 약 13억1300만 달러를 배정했다. 관보에 따르면, PM E-DRIVE은 2024년 10월 1일부터 2026년 3월 31일까지 시행될 예정이며, 전기 이륜차, 삼륜차, 트럭, 버스, 구급차 보급 확대, 충전 인프라 구축, 전기차 제조 생태계 구축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PM E-DRIVE은 현재 시행 중인 ‘2024 전기차 보급 촉진 정책(EMPS)’ 예산 및 재원까지 통합 운영할 예정이다.
<주요 전기차 보급 정책 추진 이력>
[자료: https://jmkresearch.com]
이륜차에서 구급차까지... 다양한 지원 차종과 충전 인프라 확대에 집중
PM E-Drive 예산은 상술한 것과 같이 주로 전기 이륜차(E2W), 삼륜차(E3W), 트럭, 버스, 구급차 및 충전 설비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전국적으로 7만 2300개의 전기차 충전소 설치를 지원하여 보다 탄탄한 전기차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분야별 예산 배정 및 지원 규모>
구분
지원 대수(대)
예산(US$ 백만)
전기 이륜차
2,479,120
212.39
전기 릭샤 및 전기 카트
110,596
23.13
전기 삼륜차(배기량 25cc 이상)
205,392
86.0
전기 구급차
미발표
60.24
전기 트럭
미발표
60.24
전기 버스
14,028
530.0
전기차 공공 충전소
72,300
241.0
시험 기관 역량 강화
-
94.0
기타 행정 비용
-
6.0
[자료: https://pmedrive.heavyindustries.gov.in/, KOTRA 뭄바이 무역관 정리]
<주요 정책 특징>
주요 내용
상세 내용
이·삼륜차 및 전기 버스 중심 지원
- 2024년 기준 전기차(EV) 보급률은 약 5%로, 이륜차(5~6%), 삼륜차(15~16%), 버스(E-Bus: 6~7%)가 주도 중
- 정부는 구매력과 보급력이 높은 도심 교통 및 물류 부문에서 전기차 전환 집중
승용차 지원대상 제외
- FAME II와 달리 사륜 승용차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 다만, 승용차용 급속 충전기 설치에는 인센티브 제공
트럭, 구급차 지원대상 포함 및 전기 버스 조달
- FAME II와 달리 사륜 승용차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 단, 승용차용 급속 충전기 설치에는 인센티브 제공
- 트럭과 구급차 보조금 신규 도입. 각 주정부는 전기 버스 조달 및 9개 지정 도시에서 도심 및 도시 간 교통에 활용 예정이며, 주간(州間) 운행 버스도 보조금 지원 대상 포함
충전 인프라 강화
- 전기차 보급의 제약 요인인 주행거리 불안(Range Anxiety)해소를 위해 주요 도시 및 고속도로에 급속 충전 인프라 구축
- 충전 네트워크 확대는 전기차가 현실적인 선택지로 자리 잡는 데 필수
인센티브 신청 절차 디지털화
- e-바우처 시스템 도입을 통해 보조금 신청 절차 투명화
- 차량 OEM업체도 효율적인 보조금 환급 신청 가능
[자료: https://www.alvarezandmarsal.com, KOTRA 뭄바이 무역관 정리]
이같이 PM E-DRIVE 대중교통, 충전 인프라, 그리고 투명한 보조금 지급 체계 간의 균형 잡힌 정책을 추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기 트럭 및 구급차의 지원 대상 포함으로부터 그동안 간과되어 온 정책 사각지대의 오염 문제를 해결하려는 당국의 의지가 드러난다. 인도는 전기차 기반 대중교통 활성화 및 충전 인프라 구축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광범위한 전기차 보급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친환경 및 도시 개발 정책과도 연관돼 있다.
PM E-DRIVE 정책은 총예산 중 약 2억4100만 달러를 충전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전기 승용차(e-4W)용 급속 충전기 2만2100기, 전기 버스(e-Bus)용 급속 충전기 1800기, 전기 이륜차 및 삼륜차용 급속 충전기 4만8400기의 설치를 목표로 하며, 주요 설치 지역은 전기차 보급률이 높은 도시와 정부 지정 고속도로이다. 충전 설비 확대는 주행거리 불안을 해소하고 향후 전기차 보급 확대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보유대국으로 급부상하는 인도
전기차가 모빌리티의 미래로 부상하며, 인도 역시 전기차 보급 물결의 한가운데 있다. 2024년 인도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도 판매량(160만 대) 대비 24% 증가하며 사상 최초로 200만 대를 돌파하여 날로 높아지는 전기차 수요를 보여줬다. 전기차 보급률 또한 전년도 대비 6.8%에서 약 8%로 증가하며, 인도는 2024년 기준 560만 대 이상의 전기차(EV)를 보유하게 됐다.
<차종별 전기차 판매량, 성장률 및 시장 보급률(2023 vs 2024)>
[자료: https://jmkresearch.com]
<2024년 전기차 제조업체(OEM) 판매량 및 전년 대비 증가>
[자료: https://jmkresearch.com]
전기차 보급을 위한 충전 인프라 확대 '전력투구'
인도에서 실시된 Forvis Mazars의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의 58%가 주행거리 불안(Range Anxiety), 즉 다음 충전소까지 배터리 잔량 부족에 대한 걱정 때문에 구매를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6월 기준, 전국에 공공 충전소는 총 2만3731개로, 전기차 135대당 충전소 1개가 마련된 수준이다. 이는 미국과 중국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으로, 두 나라에서는 각각 전기차 20대당 1개, 10대당 1개의 충전소가 설치돼 있다.
현지 신용평가사 CRISIL에 따르면, 공공 충전소(PCS)의 약 60%가 민간 기업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주요 기업으로는 Delta Electronics, ABB, Exicom Tele-Systems, Limited, Mass-Tech 등이 있다. 또한, Tata Power, JioBP, ChargeZone, Statiq, Magenta 등이 대표적인 전기차 충전소 운영 업체로 자리 잡고 있다. 게다가 공공 충전소의 70%가 도심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교외 및 농촌 지역에서는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다. 인도에서 전기차의 평균 충전 시간이 1.5~2시간으로 길다는 점도 또 다른 중요한 문제이다. 국제 기준에 따르면 급속 충전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수준으로, 인도의 충전 시간보다 훨씬 짧다. 이 같은 장시간 충전 문제는 전기차 전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PM E-DRIVE의 충전 인프라 구축 노력은 이 같은 배경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보인다.
<2024~2029년 전기차 충전시설 운영 유형별 대수>
[자료: CRISIL, KOTRA 뭄바이 무역관 정리]
인도는 전기차 40대당 충전기 1기의 비율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매년 40만 기 이상의 충전기를 설치해 2030년까지 총 132만 기를 구축해야 한다. 여러 요인이 인도 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정부 정책이 이러한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당국은 전기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또한, 충분한 공공 충전소 확보를 위해 인도 전력부(MOP)는 각 그리드(전력망) 주변 3km × 3km 구역당 최소 하나의 충전소 설치 및 고속도로 및 도로에서는 25km마다 양방향에 충전소를 설치한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했다. 인도 주택도시부(MOHUA)도 충전 인프라에 대한 목표를 발표했다. 건물 등 부지 내 주차 가능 대수의 최소 20% 이상의 전기차 충전기가 마련되야 하며, 모든 충전 시설들을 동시에 운영 가능하도록 총 필요 전력에 안전 계수 1.25를 적용한 추가 전력을 확보해야 한다.
전기차 판매 급증도 충전 인프라 확장의 또 다른 핵심 요인이다. 인도는 2030년까지 세계 주요 전기차 시장 중 하나로 성장할 전망이다. 시장 규모는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49%의 성장률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체계적인 충전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인도 전력부는 충전 인프라 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했으며, 이를 통해 경제적이고 누구나 이용 가능한 충전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공공 충전소는 별도의 허가 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정부 소유 부지 또한 수익 공유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공공 충전소 전력 요금은 2025년까지 평균 공급가 수준으로 상한이 설정되며, 가정용 사용자들은 일반 가정용 전기 요금을 적용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심 지역에는 3km × 3km 구역마다 충전소를 설치해야 하며, 고속도로에는 25km마다 충전소를 구축해야 한다. 추가로 대형 전기차를 위한 고속 충전소 또한 100km마다 설치해야 한다. 주요 도시, 주도(州都), 그리고 고속도로를 우선적으로 추진한다. 공공 충전소 운영업체는 온라인 플랫폼과 연동하여 이용예약을 받아야 하며, 인도 에너지효율국(BEE)이 전국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예정이다.
시사점
이와 같이 PM E-DRIVE (2024-2026)은 인도의 전기차 보급 확대 여정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며, 이륜차, 삼륜차, 버스, 트럭 등 다양한 차종을 중심으로 충전 인프라를 대폭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총 13억 달러의 예산 중 2억4100만 달러가 충전인프라 구축에 배정된 만큼, 이번 정책은 한국 전기차 제조업체와 충전 인프라 관련 기업에 상당한 사업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승용차가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전기 버스, 트럭, 그리고 최종 구간 배송 차량(last-mile delivery vehicle)과 같은 상용 전기차 분야에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도심과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급속 충전망 확대가 추진된다는 점에서 국내 충전 설비 기업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종합 충전 시스템 분야에서의 다양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인도의 광대한 면적을 고려 시, 현지 기업과의 협력 및 정부 주도 사업과 연계하는 것이 시장 진입 및 확대에 있어 필수적이다. 또한, 인도 당국의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은 현지 생산을 적극 장려하고 있어, 현지 생산 또는 조립 시설을 구축할 경우 보조금 혜택과 정부 계약을 확보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 모터 및 주요 부품을 전문으로 하는 한국 기업들도 고품질 전기차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도 자동차 제조업체(OEM)와의 공급망 협력을 모색할 수 있다.
Markets & Markets 의 Mahesh Bendre 부사장은 KOTRA 뭄바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인도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전략은 상용차와 충전 인프라 구축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은 전기 버스, 전기 트럭, 그리고 급속 충전 솔루션에 집중해야 한다. 7만2000개 이상의 신규 충전소 구축이 계획됨에 따라, 한국의 충전 관련 기업들이 큰 수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현지 기업과의 협력 및 경쟁력 있는 가격 전략이 성공의 핵심이 될 것이다. 생산 현지화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인도에 생산 시설을 구축하는 기업은 정부 계약 및 보조금 확보에서 전략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급성장하는 인도 전기차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한국 기업들은 성장성 높은 부문을 공략하고, 현지 생산 및 조립, 전략적 파트너십 둥을 모색해야 한다. 당국이 전기차 보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국내 기업들의 정부 주도 사업 조기 참여, 잠재적 협력 업체 발굴, 정부 정책, 그리고 규제 체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자료: JMKRESEARCH, Alvarez and Marsal, CRISIL,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삼륜차에서 구급차까지... 인도 전기차 시장이 움직인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AI가 만드는 새로운 질서, 미국 노동시장 변화
미국 2025-03-21
-
2
중국 자동차 산업-②중국 자동차와 AI의 만남, 주목받는 스마트 커넥티드카
중국 2025-03-24
-
3
최근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안경'
중국 2025-03-25
-
4
일본이 맞이한 '제5차 도넛 붐', 생(生) 도넛이 이끈다
일본 2025-03-21
-
5
현장에서 보는 러시아 반려동물 용품 트렌드
러시아연방 2025-03-24
-
6
싱가포르의 탈탄소 친환경 에너지 정책 살펴보기
싱가포르 2025-03-24
-
1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2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3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4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
-
5
2024년 인도 해양 산업 정보
인도 2024-07-09
-
6
2023년 인도 전기자동차 산업 정보와 현지 동향
인도 2023-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