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자동차 산업-②중국 자동차와 AI의 만남, 주목받는 스마트 커넥티드카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5-03-24
- 출처 : KOTRA
-
Keyword #자동차 #신에너지차 #자율주행 #전기차 #BYD #가격경쟁 #테슬라 #중국 #스마트커넥티드카 #ICV #무인차 #AI #인공지능 #V2X #ADAS #바이두 아폴로 고 #Apollo Go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기술 발전에 따른 스마트 커넥티드카 발전 가속화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 기업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중저가형 모델도 자율주행 기능 탑재 확대 추세
편집자 주: 중국 자동차 산업의 빠른 변화와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다루기 위해, 중국 자동차 산업에 대해 두 편으로 나눠 연재를 진행한다. 1편에서는 '이구환신 정책 이후, 중국 자동차 산업 변화'를 주제로, 중국 자동차 산업의 주요 성장 동력인 신에너지차 시장의 변화와 이구환신 정책이 미친 영향 등을 다뤘다. 이번 2편에서는 '중국 자동차와 AI의 만남, 주목받는 스마트 커넥티드카'를 주제로, 스마트 커넥티드카 기술의 발전과 자율주행 기능, AI 기술이 중국 자동차 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본다. 1편은 '이구환신 정책 이후, 중국 자동차 산업 변화(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라 중국 자동차 산업은 스마트화 전환의 중요한 단계에 접어들었다. 신에너지차 기술의 발달 및 시장 확장은 중국 자동차 산업 전환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스마트화’라는 트렌드는 강력한 기세로 더욱 큰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은 신에너지차 시장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중국 자동차 산업의 전반적인 스마트화를 이끌고 있다.
스마트 커넥티드카(Intelligent Connected Vehicle, ICV)는 기술 혁신의 핵심 요소로 ‘스마트카’와 ‘커넥티드카’의 융합이라 볼 수 있다. 즉, ‘스마트카’에 첨단 센서(라이다·카메라), 컨트롤러와 엑츄에이터 등을 탑재하고, ‘커넥티드카’의 V2X(Vehicle-to-Everything) 기술을 통해 차량과 주변 환경(다른 차량, 도로 인프라, 보행자, 네트워크 등 포함) 간의 정보 교류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스마트 환경 감지 능력을 갖춰 주행 안전 상태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경로를 계획하며, 점진적으로 자율주행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개념>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산업 현황
① 시장 규모 지속 성장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산업 규모는 지속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중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중요한 동력이 됐다. 사이디컨설팅(赛迪顾问)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차 산업 규모는 1조1081억5000만 위안(약 222조 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33.7% 증가한 수치다.
* 주: 스마트 커넥티드차 산업의 산업 체인은 상류의 기술 연구개발(센서, 칩 등), 중류의 완성차 제조 및 솔루션 제공, 하류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여행, 물류 등) 등을 포괄한다.
<2019~2024년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차(ICV) 산업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사이디 컨설팅(赛迪顾问)]
② ADAS 기술, 자율주행의 대중화 촉진
2024년 중국 자율주행 기술은 알고리즘 최적화와 센서 정밀도 향상에 힘입어 레벨 2급 보조 운전 기술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의 등급별 시장 침투율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iiMedia Research에 따르면, 2025년까지 레벨 2~3급 스마트 커넥티드카의 자동차 판매량은 해당 연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율주행 기술 수준>
구분
목적
등급
등급별 정의
-
-
레벨 0
(비자동화) 긴급 제동 시스템(EBA) 등 단순 경보 기능
ADAS
운전자 보조/지원
레벨 1
(부분 보조) 운전자 직접 운전, 시스템이 조향 또는 감·가속 보조 단일 기능
레벨 2
(결합 보조) 운전자 직접 운전, 시스템이 조향 및 감·가속 모두 수행
레벨 3
(조건 자동화) 특정 모드에서 시스템이 차량 제어, 운전자는 요청 시 개입
자율
주행
운전자 대체
레벨 4
(고도 자동화) 지정 모드에서 시스템이 차량 제어, 운전자 개입 불필요
레벨 5
(완전 자동화) 모든 주행 상황에서 시스템이 차량 제어를 전부 수행
[자료: 중국 국가표준 자동차 자율주행 등급 분류(汽车驾驶自动化分级)]
그중,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는 자율주행의 기술 기반으로서,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 Adaptive Cruise Control), 차로 이탈 방지 보조(LKA, Lane Keeping Assist), 자동 긴급 제동(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등과 같은 핵심 기능으로 자율주행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22~2030년 중국 자율주행 등급 침투율 성장 전망>
[자료: iiMedia Research]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ADAS급 시장은 급속한 성장과 함께 빠른 기술 발전을 보이고 있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의 데이터에 따르면, ADAS급 스마트 커넥티드카의 판매량은 2020년 934만8000대에서 2024년 1700만대, 2025년에는 1895만5000대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2025년 중국 ADAS급 ICV 시장 판매량 추이>
(단위: 만 대)
[자료: Frost & Sullivan(弗若斯特沙利文),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정리]
현재 레벨 1~2급의 ADAS 기능은 중국 자동차 시장의 주류가 됐다. GGII(高工智能汽车研究院)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중국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표준 ADAS를 기본 탑재한 신차 출고량이 1462만900대에 달해 탑재율이 63.8%에 이르렀다. 이는 ADAS가 고급 모델의 옵션에서 중저가 시장의 표준 기능으로 바뀌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자율주행 기업 현황
2024년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 산업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향후 산업 발전 형태는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테슬라, BYD, 니오(蔚来), 샤오펑(Xpeng), 리오토(理想)와 같이 떠오르는 신에너지차 회사는 고성능, 스마트형 전기 자동차 제품을 끊임없이 혁신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창청자동차(长城), 상하이자동차(上汽), 창안자동차(长安), 광저우자동차(广汽) 등 전통적인 자동차 기업도 스마트 커넥티드 기술의 연구 개발을 확대하며 자율주행 및 차량 네트워킹 기술의 발전에 힘쓰고 있다. 또한, 화웨이(华为), 바이두(百度), 샤오미(小米) 등의 ICT 기업들은 기술 지원으로 스마트 커넥티드카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일조했다.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 시장 주요 기업 현황>
구분
브랜드
핵심 기능/기술
신흥 신에너지 자동차 기업
비야디
(BYD,比亚迪)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DiPilot),
스마트 커넥티드 시스템(DiLink)
테슬라
(Tesla)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AUTOPILOT), 완전자율주행(FSD),
스마트콕핏(Tesla OS), 무선 업데이트 기술(OTA)
니오
(NIO,蔚来)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NIO Pilot), 스마트콕핏(NOMI),
배터리 교환 기술
샤오펑
(Xpeng,小鹏)
풀 시나리오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XPILOT),
스마트콕핏(Xmart OS)
리오토
(Li Auto,理想)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AD Max), 스마트콕핏(Mind GPT)
전통 자동차 기업
장성자동차
(GWM,长城汽车)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Coffee Pilot), 스마트콕핏
상하이자동차
(SAIC,上汽)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斑马智行;반마즈싱), 스마트콕핏
창안자동차
(长安汽车)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IACC), 스마트콕핏,
원격 무인 발렛 파킹(APA 7.0)
광저우자동차
(GAC,广汽)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ADiGO), 스마트콕핏
ICT 기업
화웨이
(Huawei,华为)
화웨이HI모드(자율주행, 스마트콕핏), 훙멍즈싱(鸿蒙智行)
바이두
(百度)
자율주행 개방 플랫폼(Apollo), ANP 3.0 NOA,
차량-도로-클라우드 통합(AIR 스마트 도로 시스템)
샤오미
(小米)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Xiaomi Pilot), 스마트콕핏(HyperOS)
* 주: 스마트콕핏이란, 스마트 기능을 제공하는 운전석 및 조수석 앞 대시보드를 의미함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Sohu(搜狐), 시나재경(新浪财经),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中, 중저가 모델에 자율주행 기능 탑재 확대 추세
2024년부터 중국 자동차 시장의 경쟁이 더욱더 치열해지고 있다. 자동차 기업들은 더 이상 단순히 가격 인하에 제품 경쟁력을 의존하지 않는다. 대신 금융 정책과 함께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도모한다.
<中 주요 자동차 기업 ICV 시장의 점유율 확대 전략 현황>
대표 브랜드
마케팅 전략
조치
비야디(BYD, 比亚迪),
지리(Geely, 吉利)
신에너지차와 연료차 가격 격차 축소
신에너지차의 가격을 연료차와 동등하거나 심지어 더 낮은 가격으로 책정하는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연료차 시장 퇴출을 가속화하고 신에너지차의 시장 점유율 확대
(예: BYD Qin PLUS DM-i 모델은 같은 수준의 연료차와 동일한 가격으로 책정)
베이징현대,
상하이자동차 통용 뷰익(上汽通用别克)
‘정찰가격’ 가격 인하
엔드유저 가격 협상을 취소하고 공식 가격 인하
(예: ‘25년 2월, 뷰익 리갈 B클래스 세단 출시 가격 10만6900위안으로 30% 이상 인하)
테슬라(Tesla),
샤오펑(Xpeng,小鹏)
금융 혜택 활용해 소비자들의 심리적 허들 제거
5년간 무이자 할부 혜택 제공
(예: ‘25년 2월, 테슬라 모델 3에 대해 기간 한정적인 보험 보조금과 5년 무이자 대출을 제공하면서 판매 가격을 세계 최저가(22만7500위안)로 인하)
창안자동차(长安汽车),
비야디(BYD, 比亚迪)
기술 업데이트
- (창안자동차) ‘25년 2월, 10만 위안 모델에 라이다 탑재 계획 발표
- (BYD) ‘25년 2월, 7만~20만 위안대 전 차종에 자율주행시스템 ’신의 눈‘ 탑재 발표
[자료: 시나재경(新浪财经), 시나테크놀로지(新浪科技),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2025년 2월, 로컬 기업인 BYD는 인기 모델을 포함한 모든 모델에 ‘신의 눈(天神之眼)’ 자율주행 시스템을 기본으로 장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발표에 의하면 ‘신의 눈’ 시스템 적용은 7만 위안(약 1400만 원)대의 시걸(Seagull)부터 20만 위안(약 4000만 원)대의 한(Han), 탕(Tang) 모델 등도 포함되며, 이는 고급 자율주행 기능의 보편화를 촉진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비야디 자율주행 시스템 ‘신의 눈(天神之眼)’ 발표회 현장 사진>
[자료: 시나테크놀로지(新浪科技)]
자동차 기업 - DeepSeek 협업 활발
DeepSeek의 장점은 △기술이 오픈되어 있고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요구 사항이 낮으며 △운영 효율이 높다는 점이다. 이는 자동차 기업들이 스마트 전환 시 비용을 더 낮출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중국의 자율주행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2025년 2월까지, BYD, 지리, 체리(奇瑞) 등 20개 이상의 주요 자동차 업체가 DeepSeek와의 협업을 발표했다.
* 카이위안증권(开源证券) 보고서에 따르면, DeepSeek-R1은 100만 개의 토큰을 출력하는 데 16위안(약 3000원)에 불과
이러한 협업에서 각 자동차 기업은 다양한 전략을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은 이를 스마트콕핏에 연결해 콕핏의 스마트화 수준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을 선택하고 있다.
<DeepSeek – 자동차 관련 기업 협업 발표>
날짜
기업명
내용
2025.2.6.
GEELY
DeepSeek 활용 자체 개발 모델의 차량 제어 및 상호작용 훈련
2025.2.7.
지커
지커 스마트콕핏 어시스턴트 AI Eva, DeepSeek R1 대형 모델과 통합
2025.2.7.
동풍자동차
동풍맹사 917 스마트콕핏 DeepSeek-R1 모델 적용 완료
2025.2.9.
체리그룹
DeepSeek와 함께 스마트콕핏 시스템 Lion AI 심층 기술 융합 검증 진행
2025.2.10.
BYD
DeepSeek R1 모델과 협업해 차량 및 클라우드 AI 능력 향상 예정
2025.2.11.
북경자동차
아크폭스 알파 S5 스마트콕핏에 DeepSeek 적용
2025.2.11.
상하이자동차
DeepSeek-R1을 스마트 모듈에 적용한 첫 번째 합작 자동차 기업
2025.2.13.
바이두
아폴로 스마트 모듈 대모델에 DeepSeek 적용
[자료: 시나재경(新浪财经), 텐센트망(腾讯网), 36Kr,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중국 자율주행 정책 발전
중국 정부는 스마트 커넥티드카 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을 시행했다. 해당 산업의 발전 여정은 세 가지 핵심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ICV) 산업 발전의 3가지 단계>
구분
주요 정책
주요 내용
도입
(2015년)
⦁‘15.9월 <중국제조 2025 중점분야 기술로드맵>
최초로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발전 로드맵 제시
표준화
(2017~2020년)
⦁‘17.2월 <국가 IoV(Internet of Vehicles) 산업표준시스템 구축 지침>
⦁’20.3월 <자동차 자율주행 등급 분류> 등
자율주행 관련 기술 표준체계 구축
확장
(2021년~현재)
⦁‘21.5월 <스마트 커넥티드카 협업 발전을 위한 첫 번째 시범도시 확정 관련 통지>
⦁’24.1월 <스마트 커넥티드카의 ‘차량-도로-클라우드 통합’ 응용 시범 사업에 관한 통지>
스마트 커넥티드카 발전을 위한 응용 시범도시* 확정 등으로 자율주행 확장 지원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20개
[자료: 공업정보화부(中国工信部),중국정부망(中国政府官网),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2015년 9월 <중국제조 2025 중점분야 기술로드맵>과 함께 ‘스마트 커넥티드카’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며 발전로드맵을 구상한 중국 정부는 10여 년 동안 관련 정책을 꾸준히 발표했다. 2017년 이후에는 자율주행 관련 기술 표준체계를 구축했으며, 2021년 이후에는 스마트 커넥티드카 발전을 위한 응용 시범도시를 확정함으로써 자율주행의 현실화를 지원했다.
<중국 자율주행 관련 주요 지원 정책>
시기
발표기관
정책명
주요 내용
2015.9.
국가제조강국건설전략자문위원회(国家制造强国建设战略咨询委员会)
중국제조 2025 중점분야 기술로드맵
(<中国制造2025>重点领域技术路线图)
- 스마트 커넥티드카에 대한 명료한 개념 제시,
4단계 발전로드맵 제시
* 보조운전(DA) → 부분적 자동운전(PA) → 고도의 자동운전(HA) → 완전 자율주행(FA)
2017.12.
공업정보화부,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SAC, 国家标准化管理委员会)
국가 IoV(Internet of Vehicles) 산업표준시스템 구축 지침
(国家车联网产业标准体系建设指南)
커넥티드카 관련 기술 표준 제정 사업을 주도
2018.12.
공업정보화부
차량통신망 V2X 산업 발전 행동계획
(车联网(智能网联汽车)产业发展行动计划)
‘20년까지 첨단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스마트 커넥티드카의 상용화 실현
2020.2.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改革委) 등 11개 부처
스마트자동차 혁신발전전략
(智能汽车创新发展战略)
전략적으로 스마트 커넥티드카 산업 육성 추진
‘35년 전방위적인 스마트자동차 체제 구축
2020.3.
공업정보화부
자동차 자율주행 등급 분류
(汽车驾驶自动化分级)
자율주행 기술 수준에 따라 등급 분류
2020.4.
공업정보화부
2020년 스마트 커넥티드카 표준화 작업 요점
(2020年智能网联汽车标准化工作要点)
운전자지원시스템(ADAS), 자율주행 등 다방면의 기술 표준체계 구축, 스마트 커넥티드카 기술표준 및 평가 체계 구축
2021.5.
공업정보화부 등 2개 부처
스마트시티 기초인프라 및 스마트 커넥티드카 협업 발전을 위한 첫 번째 시범도시 확정 관련 통지
(关于确定智慧城市基础设施与智能网联汽车协同发展第一批试点城市的通知)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우한, 창사, 우시 등 6개 시범도시 지정
2024.1.
공업정보화부 등 5개 부처
스마트 커넥티드카의 ‘차량-도로-클라우드’ 통합 응용 시범사업에 관한 통지
(关于开展智能网联汽车“车路云一体化”应用试点工作的通知)
‘24년부터 ’26년까지 스마트 커넥티드 자동차 '차량-도로-클라우드 통합(车路云一体化)' 응용 시범 프로젝트 정식 시작 발표
2024.7.
공업정보화부 등 5개 부처
스마트 커넥티드카의 ‘차량-도로-클라우드’ 통합 응용 시범도시 명단에 관한 통지
(关于公布智能网联汽车“车路云一体化”应用试点城市名单的通知)
응용 시범도시 20개(베이징, 상하이 등) 발표
[자료: 공업정보화부(中国工信部), 중국정부망(中国政府官网),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현지 사례: 바이두 아폴로 고(Apollo Go), 중국 내 무인 택시 서비스 확장
바이두 아폴로는 바이두 산하의 스마트 드라이빙 사업 그룹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집중 개발하고 있다. 2013년 자율주행 분야에 최초로 진출해, 2017년에는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오픈 플랫폼을 출시한 바 있다. 또한 2024년 3월 기준, 자율주행 특허 건수는 5000건 이상으로 그중 고급 자율주행 특허 건수는 세계 1위를 기록했으며, 누적 자율주행 테스트 거리는 1억 km 이상으로 여러 자동차 브랜드와 협업해 900만 대 이상의 완성차에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한 바 있다.
바이두는 2022년 8월 우한에서 중국 최초의 완전 무인 자율주행 상업화 여행 서비스 “아폴로 고(Apollo Go)”를 시작했다. 바이두 CEO 로빈 리(Robin Li)가 공공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2024년 7월 아폴로 고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충칭, 우한 등 여러 도시에서 운영을 시작했으며, 700만 건 이상의 자율주행 여행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중 가장 큰 운영 도시인 우한의 차량 대수는 400대를 넘었다.
[무한(武汉)에서 도로 테스트를 진행 중인 6세대 아폴로 고(Apollo Go) 무인 자율주행차]
[자료: 시나테크놀로지(新浪科技)]
결론 및 시사점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스마트 커넥티드카 산업은 정책 지원, 기술 혁신 등을 바탕으로 빠르게 발전하며 획기적인 진전을 이뤘다. 하지만 자율주행 기술을 대규모 상업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여전히 많은 과제가 존재한다.
핵심기술 측면에서 극한의 기상 조건과 복잡한 도로 상황에서의 인식 및 의사결정 역량이 부족하고, 고정밀 센서와 고성능 컴퓨팅 플랫폼의 높은 비용은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다. 또한 지원 시설의 미비, 규제의 한계, 국민의 신뢰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산업의 추가 발전이 일부 제한받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ICT 기업 X 사의 고위 임원 L 씨는 KOTRA 상하이 무역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주요 문제는 전속 보험 부족, 안전 홍보 부족, 불완전한 법률 및 규정”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업계가 제품을 기획하고 홍보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전속 보험 문제는 기업이 제품 기획 시 보험 상품 전략을 확정하기 어렵게 만들고, 소비자는 제품 구매 후 보험 문제를 겪을 우려가 있어 스마트 커넥티드카의 보급 확산에 영향을 미친다.
중국 자율주행 시장을 염두에 둔 우리 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 기업 및 소비자들의 대응을 발 빠르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DeepSeek 부상 이후 중국의 산업과 AI 간의 융합이 매우 빠르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업계 및 언론 모니터링으로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빠른 변화 속에서도 중국 시장이 아직 우위를 점하지 못한 분야에서 우리의 기회요인을 찾고, 중국의 각종 지원 정책 및 규제를 면밀히 파악해 전략적으로 진출해야 할 것이다.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사이디 컨설팅(赛迪顾问), iiMedia Research,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Frost & Sullivan(弗若斯特沙利文), GGII(高工智能汽车研究院), Sohu(搜狐), 시나재경(新浪财经), 시나테크놀로지(新浪科技), 카이위안증권(开源证券), 텐센트망(腾讯网), 36Kr, 공업정보화부(中国工信部), 중국정부망(中国政府官网) 등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자동차 산업-②중국 자동차와 AI의 만남, 주목받는 스마트 커넥티드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자동차 산업 -①이구환신 정책 이후, 중국 자동차 산업 변화는?
중국 2025-03-11
-
2
AI가 만드는 새로운 질서, 미국 노동시장 변화
미국 2025-03-21
-
3
삼륜차에서 구급차까지... 인도 전기차 시장이 움직인다
인도 2025-03-24
-
4
최근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안경'
중국 2025-03-25
-
5
독일 방산 스타트업, 새로운 성장 시대... K-방산 스타트업에도 기회있다
독일 2025-03-26
-
6
미래를 바꾸는 미국 안티에이징 시장 트렌드
미국 2025-03-28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