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태국
  • 방콕무역관 김지현
  • 2025-03-06
  • 출처 : KOTRA

태국의 총 수출액에서 보석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6.1%로 태국에서 3번째로 중요한 수출 품목

2024년(1~11월 누계 기준)태국의 진주∙귀석∙반귀석∙귀금속(HS Code 71 기준) 수출 금액은 약 168억 4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4.9% 증가

소비자들은 다이아몬드 구매 시 브랜드보다는 가격과 미국보석연구소(GIA) 인증을 더 중요하게 고려

금의 경우 브랜드보다는 실물 전문 매장에서 직접 구매하는 경향이 뚜렷

태국 보석 산업 현황

 

태국 상무부(MOC)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태국 진주∙귀석∙반귀석∙귀금속(HS Code 71) 산업의 수출은 전년 대비 25.5% 증가한 약 183억6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보석은 태국의 총 수출액에서 약 6.1%를 차지하고 있는 세 번째로 중요한 수출 품목이다. 특히, 2024년 금(Gold)을 제외한 실제 보석 및 주얼리 수출은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전년 대비 약 11% 증가해 96억9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태국의 진주∙귀석∙반귀석∙귀금속(HS Code 71) 교역 현황>

(단위: US$ 백만,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1~11월)

교역액

(증감률)

26,118
(6.7)

22,436
(14.1)

31,548
(40.6)

28,017
(11.2)

36,575

(40.0)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2.13.)]

 

수출입 현황

 

조사 기관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1~11월 누계 태국의 진주∙귀석∙반귀석∙귀금속(HS Code 71 기준) 수출 금액은 약 168억4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4.9% 증가했다. 주요 수출국은 스위스(32억6100만 달러), 캄보디아(28억6100만 달러), 홍콩(27억5500만 달러), 미국(18억1000만 달러), 싱가포르(17억2600만 달러) 등으로 주요 5개 수출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전체의 73.7%를 차지했다. 한편, 동기간 태국의 대 한국 진주∙귀석∙반귀석∙귀금속 수출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5.0% 감소한 3500만 달러로 전체 수출국 중 28위를 기록했다.


<태국의 진주∙귀석∙반귀석∙귀금속(HS Code 71) 수출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2023

2024

(1~11월)

'24년 증감률
(전년 동기 대비)

전체

17,999

9,884

14,805

14,460

16,842

24.86

1

스위스

6,965

795

2,647

3,265

3,261

10.82

2

캄보디아

254

267

1,570

398

2,861

684.79

3

홍콩

1,769

1,301

1,595

2,820

2,755

1.21

4

미국

1,031

1,549

1,892

1,691

1,810

14.99

5

싱가포르

3,952

1,797

1,818

1,815

1,726

-2.27

6

인도

411

575

1,016

707

768

20.26

7

독일

561

563

572

513

531

11.77

8

영국

137

368

482

413

366

-3.88

9

벨기에

162

195

257

260

289

22.62

10

일본

236

271

264

283

274

5.54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2.11.)]

 

2024 1~11월 누계 기준 태국의 진주∙귀석∙반귀석∙귀금속(HS Code 71) 수입 금액은 1973300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6.2%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스위스(553400 달러), 홍콩(534400 달러), 인도(124400 달러), 중국(10억5500 달러), 싱가포르(9억2200 달러) 등으로 주요 5 수입국에 대한 수입 비중이 전체의 71.4% 차지했다. 한편, 동기간 태국의 대 한국 진주∙귀석∙반귀석∙귀금속 수출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46.9% 감소한 1억200만 달러로 전체 수입국 중 19위를 기록했다.

 

<태국의 진주∙귀석∙반귀석∙귀금속(HS Code 71) 수입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2023

2024

(1~11월)

24년 증감률
(전년 동기 대비)

전체

8,119

12,552

16,744

13,557

19,733

56.21

1

스위스

1,258

3,935

5,769

3,532

5,534

63.80

2

홍콩

1,489

2,220

2,226

2,202

5,344

168.14

3

인도

969

1,429

1,953

1,408

1,244

-6.11

4

중국

396

571

606

499

1,055

132.95

5

싱가포르

1,288

500

825

803

922

25.32

6

일본

236

338

864

696

914

37.92

7

호주

121

824

566

192

808

546.17

8

태국

231

229

508

714

727

6.83

9

UAE

39

195

312

252

492

116.95

10

미국

145

213

298

338

346

8.58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2.11.)]

 

태국 주얼리연구소(GIT)에 따르면, 2024년 태국의 보석 및 주얼리 수출 부문에서 금(Gold)이 전체의 47.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금 주얼리(Gold Jewelry), 은 주얼리(Silver Jewelry)도 각각 14.6%, 10.4%로 상당한 비율을 기록했으며, 가공보석(Polished Precious Stones) 수출 또한 202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태국 보석산업 주요 제품 수출액 및 증감률(2024)>

(단위: US$ 백만, %)

구분

2022

2023

2024

(Gold)

(증감률)

7070

(82.0)

5979

(15.5)

8758

(46.5)

금 장신구(Gold Jewelry)

(증감률)

2074

(45.2)

2585

(24.7)

2686

(3.9)

은 장신구(Silver Jewelry)

(증감률)

1736

(1.2)

1622

(6.6)

1917

(18.2)

가공 보석(Polished Precious stone)

(증감률)

786

(64.3)

1313

(67.1)

1387

(5.6)

가공 다이아몬드(Polished Diamond)

(증감률)

1770

(41.9)

1298

(26.7)

1200

(7.5)

가동 준보석(Polished semi-precious)

(증감률)

309

(89.7)

609

(97.2)

576

(5.4)

[자료: 태국 주얼리연구소(GIT)]

 

태국 보석 산업의 주요 특징

 

1. 2024년 금 주얼리가 시장 성장 주도

조사 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태국의 보석 시장은 경제 불확실성과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위축됐으며, 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금 주얼리 수요가 감소했다. 투자 목적으로 거래돼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금괴 시장도 금값 급등으로 인해 영향을 받았다. 2024년 태국 경제가 점차 회복 조짐을 보이고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자 금 수요가 다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보석 시장도 성장세를 보이며 판매량과 매출이 모두 회복되는 흐름을 나타냈다.

 

2. 태국 보석 시장 소비자 특성, ‘실용성과 인증’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다이아몬드를 구매할 때 브랜드보다 가격과 미국보석연구소(GIA) 인증을 더 중요하게 고려한다. 금의 경우, 브랜드보다는 실물 전문 매장에서 직접 구매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그러나 중·고소득층 소비자들은 선호하는 디자인에 따라 브랜드를 고려하기도 하며, 이러한 경향은 주얼리뿐만 아니라 패션 액세서리에서도 나타난다.

 

1) 주빌리(Jubilee)

태국의 대표적인 주얼리 브랜드인 주빌리(Jubilee)는 다양한 소비층을 겨냥한 신규 컬렉션을 매년 출시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24년에는 중국 신화와 2024년 띠인 용에서 영감을 받은 황금용을 모티브로 한 Fu Long(번영의 용) 컬렉션을 선보였으며,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하기 위해 유명 배우를 첫 공식 브랜드 홍보대사로 임명하기도 했다.

 

2) 판도라(Pandora)

글로벌 주얼리 브랜드인 판도라(Pandora)는 혁신적인 리테일 경험을 강화하며 소비자와의 소통을 확대했다. 방카피 지역의 라이프스토어 몰(The Mall Lifestore Bangkapi)에 Pandora Concept Store를 개설하고, 유명 배우와 함께 스타일링 세션을 개최해 팬들에게 새로운 컬렉션을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했다. 이러한 고객 참여 전략으로 판도라는 2024년 태국 소셜 어워즈(Thailand Social Awards)에서 3년 연속 금·주얼리 부문 최고 브랜드 성과상을 수상했다.

 

보석 관련 관세율 및 정부의 지원정책

 

2025 투자유치 가이드에 따르면, 태국투자청(BOI)은 생산 제품 및 산업별로 등급(A1+~B)을 부여하는데, 주얼리 산업은 A3 또는 A4 등급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투자 기업은 최장 5년간 법인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편, 태국의 진주, 다이아몬드, 귀석에 대한 일반 관세율은 0%이며, 아세안(ASEAN) 협정세율이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활용해도 수입 시 면세 혜택이 적용된다.

 

<2025년 태국 보석 산업 등급별 법인세 및 투자 혜택>

구분

내용

혜택

A4

원자재 및 시제품(Prototype)을 포함한 

주얼리 또는 부품 제조

산업에 따라 최장 3년까지 법인세 면제

A3

주얼리 산업용 부동산(Real estate) 개발: 

보석 및 귀금속 산업 단지

(Gem and jewelry industrial zone)

5년간 법인세 면제

[자료: 태국투자청(BOI)]

 

<태국 진주∙다이아몬드∙귀석 관세율>

HS 코드

7101

7102

7103

품목명(한글/영어)

진주

다이아몬드

귀석

Natural pearls

Diamonds

Precious stones

수입관세

일반 세율: 0%

-아세안 협정세율: 면제

RCEP 협정세율: 면제

부가가치세

7%

[자료: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 시스템]

 

경쟁 동향

 

<태국 내 주요 주얼리 분야 업체 현황>

업체

설립연도

매출액(2023)

참고사항

PANDORA PRODUCTION CO., LTD.

2003

289억 바트
(약 8억4862만 달러)

- 본사: 덴마크
- 지분구조: 덴마크 100%

- 사업분야: 주얼리 및 장신구 제조
- 홈페이지: https://pandoragroup.com

SWAROVSKI MANUFACTURING 

(THAILAND) CO.,  LTD.

1988

64억 바트
(약 1억8793만 달러)

- 본사: 오스트리아
- 지분구조: 스위스 99%, 오스트리아 1%

- 사업분야: 모조 주얼리 및 관련 물품 제조
- 홈페이지: https://www.swarovski.com/en-TH/

KGK JEWELLERY MANUFACTURING (THAILAND) LIMITED

2007

64억 바트
(약 1억 8793만 달러)

- 본사: 인도
- 지분구조: 태국 49%, 인도 등 외국 51%

- 사업분야: 귀금속, 주얼리 및 장신구 제조
- 홈페이지: https://kgkjewellery.co.th/

YLG PRECIOUS CO., LTD.

1993

39억 바트
(약 1억1452만 달러)

- 본사: 태국
- 지분구조: 태국 100%

- 사업분야: 귀금속, 주얼리 및 장신구 제조
- 홈페이지: https://www.ylgbullion.co.th/th/home

BEAUTY GEMS FACTORY CO., LTD.

1973

32억 바트
(약 9396만 달러)

- 본사: 태국
- 지분구조: 태국 100%

- 사업분야: 귀금속, 주얼리 및 장신구 제조
- 홈페이지: https://beautygems.com/

[자료: 태국 사업개발국(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SWOT 분석 

 

태국 보석 시장은 오랜 전통과 숙련된 장인, 경쟁력 있는 생산 비용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 변동성과 통화 가치 변화에 민감하며, 사치품 소비 감소로 인한 수요 불확실성이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기술 발전을 통한 생산 효율성 증가는 기회 요인이지만, 경제적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가능성은 위협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태국 보석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 혁신과 글로벌 트렌드에 맞춘 제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Strengths)

W(Weaknesses)

숙련된 장인들 보유

- 경쟁력 있는 가격

시장 변동성(글로벌 경제 변동성, 통화 가치 변화에 민감, 수요의 불확실성 등)

O(Opportunities)

T(Threats)

- 기술 발전을 통한 생산성 증가

적 불확실성

- 경기 침체 가능성

[자료: KOTRA 방콕 무역관 정리]


시사점

 

태국 보석 산업은 2024년부터 회복세를 보이며, 금(Gold)을 중심으로 수출과 내수 시장이 성장하는 추세다. 특히, 글로벌 브랜드와 현지 브랜드가 공존하는 시장에서 실용성과 브랜드 전략이 함께 발전하고 있다.


2025년 정부의 보석 산업 투자 유치 정책과 무관세 혜택은 여전히 산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증가하는 업체들의 온라인 및 체험형 리테일 전략(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접점을 확대, 차별화된 쇼핑 경)은 주얼리 시장의 마케팅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태국 보석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디지털 트렌드 활용, 브랜드 경쟁력 강화, 글로벌 수요 변화 대응이 핵심 전략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태국 상무부(MOC), Global Trade Atlas, 태국 주얼리연구소(GIT), 태국투자청(BOI),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태국 사업개발국(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및 방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