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황금기를 맞이한 중국 복합소재시장, 탄소섬유를 주목하라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5-02-14
  • 출처 : KOTRA

중국 복합소재 산업은 향후 고성능, 다기능, 친환경 방향으로 발전

탄소섬유 복합소재가 전체 복합소재 시장의 40% 이상 차지

정의


중국에서 “복합소재”란 통상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성질의 재료들이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통해 조합된 새로운 기능의 소재를 의미하며, 사용되는 기본 재료에 따라 금속 기반(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티타늄 및 합금) 및 비금속 기반(합성수지, 고무, 세라믹, 흑연, 탄소 등) 복합소재로 구분된다.

 

<복합소재 밸류체인>

업스트림: 원자재

 

미드스트림: 복합소재

 

다운스트림: 응용 분야

 

 

 

 

 

 

 

 

 

금속 기반

 

알루미늄, 마그네슘, 동, 

티타늄 및 합금

 

기본자재로

분류

· 수지기반 복합소재

· 금속 기반 복합소재

· 무기 비금속 기반 복합소재 

 

항공우주

 

풍력발전

 

 

 

 

 

 

 

 

 

비금속 기반

 

합성수지, 고무, 흑연,

세라믹,탄소 등

 

강화섬유 

유형으로 분류

· 유기 섬유 복합소재

· 세라믹 섬유 복합소재

· 금속섬유 복합소재

 

자동차

 

건축

 

 

 

 

 

 

 

 

 

강화자재

 

섬유, 휘스커, 금속사, 경질, 미세알맹이 등

 

강화체 형태로 

분류

· 연속섬유강화* 복합소재

  *CFR(Continuous Fiber  Reinforcement)

· 휘스커강화 복합소재

· 입자강화 복합소재

· 나노 복합소재

 

기타 분야

* 업스트림은 원자재를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며, 미드스트림은 다양한 원자재를 복합하여 제조·생산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시장동향: 탄소섬유를 중심으로 복합소재 시장 성장세

 

글로벌시장에서 중국은 이미 복합소재 주요 생산기지 중의 하나로 성장했다.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4~2029년 중국 복합소재산업 발전 전망과 전략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 복합소재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0.3% 성장한 2327억 위안에 달했으며, 2024년에는 2561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2018~2024년 중국 복합소재 산업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58158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5pixel, 세로 494pixel

[자료: 중국복합소재학회, 중상산업연구원]

 

중국 탄소섬유 복합소재(탄소 함량이 90% 이상인 고강도, 고탄성, 고성능 소재)는 중국 복합소재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풍력발전 설비, 항공우주, 자동차 제조, 스포츠 장비 및 기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탄소섬유 복합소재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해 2023년 시장 규모는 약 986억 위안에 달하며, 중국 전체 복합소재 시장규모의 42.4%를 차지했다.

 

<2019~2023년 탄소섬유 복합소재 시장규모 및 전체 복합소재 산업 내 비중>

(단위: 억 위안,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5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61pixel, 세로 490pixel

[자료: Chinabaogao.com, 중상산업연구원, KOTRA 상하이무역관 취합 정리]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4~2029년 중국 복합재료 산업 발전 현황 및 전략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탄소섬유 복합소재 총 생산량은 10만 8394톤, 생산액은 1551억6000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2020~2024년 중국 탄소섬유 복합소재 생산총량 및 생산액>

(단위: 만 톤, 억 위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a5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43pixel, 세로 424pixel

[자료: 중상산업연구원]

 


수요 동향: 항공우주 및 풍력발전 분야가 전체 시장의 40% 이상 차지

 

복합소재는 주로 항공우주, 신에너지(풍력발전 등), 자동차, 인프라, 해양, 스포츠 등 분야에 널리 사용되며, 그 중 항공우주 분야는 25%, 풍력발전 분야는 15%로 2가지 분야가 전체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항공기 경량화 수요의 증가로 비행기 기체, 날개, 엔진 등 분야에 복합소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 분야의 경우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에, 자동차 산업의 경우 차체, 단열 제품에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중국 복합소재 응용 분야 시장 점유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d7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52pixel, 세로 500pixel

[자료: 중국복합소재산업협회, 중상산업연구원]

 

중국 군사기술의 지속적인 발전 및 대형 항공기 프로젝트 성공에 따라 중국 항공우주 산업이 빠르게 성장했고 이에 따라 관련 분야의 복합소재도 동반 성장했다. 중국 항공우주 복합소재 제품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696억8600만 위안에 달했으며, 수요량은 전년 대비 약 12% 증가한 2만 4245톤에 달했다.

 

전 세계적으로 항공우주 복합소재 시장은 미국과 유럽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의 정책 지원과 기술력 향상으로 항공우주산업이 신속히 발전하면서 항공우주용 복합소재의 보급과 응용이 더욱 촉진되었고, 이에 따라 미국, 유럽 등 국가와의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2018~2023년 항공우주산업 복합소재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c1033b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6pixel, 세로 434pixel

[자료: 즈옌컨설팅(智研咨询)]

 

전 세계 탄소섬유 다운스트림 산업 발전, 중국 항공우주 산업 및 풍력 발전 산업의 성장으로 탄소섬유 복합소재에 대한 수요량도 2018년의 4만 7700톤에서 2023년의 9만 100톤으로 2배 가까운 수준으로 급증했다.

 

 

경쟁 동향: 광둥, 산둥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된 중국 복합소재 기업들

 

중국 복합소재 산업은 많이 세분돼 있고, 응용 분야도 다양해 관련 기업이 매우 많다. 중국 복합소재 기업은 주로 주강 삼각주(珠三角), 환발해(环渤海) 등 지역에 분포돼 있으며, 특히 광둥(广东), 산둥(山东)이 그 대표 지역이다. 이 지역들은 상대적으로 완전한 산업 체인을 형성했으며, 복합소재 수요도 집중돼 있어 기업 발전에 유리하다.

 

<2024년 상반기 중국 복합소재 산업 주요 기업 및 영업액>

 

기업명

2024년 상반기 영업액(억 위안)

비고

1

楚江新材

(TRUCHUM)

248.19

- 1999년 설립

- 2023년 영업액 463억1100만 위안, 전년 대비 14.08% 증가

- 경쟁력 있는 선진 소재 연구, 개발

- 동합금 소재, 정밀 특수강, 탄소섬유, 프리미엄 열 가공 장비 등 제품 취급

2

金发科技

(KINGFA)

233.47

- 1993년 설립, 60개 자회사 보유

- 2023년 영업액 479억4100만 위안, 전년 대비 18.63% 증가

- 화학 신소재 연구, 개발, 생산, 판매

- 탄소섬유 복합 소재, 개질 플라스틱(改性塑料), 친환경 고성능 재생 플라스틱, 생분해 플라스틱 등 생산

3

中材科技

(Sinoma Science)

105.40

- 2001년 설립

- 2023년 영업액 258억8900만 위안, 전년 대비 0.29% 증가

- 풍력발전 블레이드, 유리섬유, 리튬배터리 분리막 등 3대 주도산업이 전체 영업액의 78% 이상 차지

4

中航高科

(AVIC AVIATION)

25.47

- 1988년 설립

- 2023년 영업액 47억8000만 위안, 전년 대비 7.5% 증가

- 중국 항공 복합소재 선두기업, 고성능 수지, 복합소재 등 개발, 생산

- 전체 영업액 중 신소재 제품 비중 96.59%

5

光威复材

(GW COMPOS)

11.56

- 2002년 설립

- 2023년 영업액 25억1800만 위안, 전년 대비 0.26% 증가

- 중국 국방 탄소섬유 주 공급 기업으로 탄소섬유, 편직물, 수지, 복합소재 등 연구개발, 생산

- 탄소섬유 및 직물이 영업액의 66.23% 차지

[자료: 중상산업연구원]

 

정책: 중국정부의 산업 정책 지원 지속

 

최근 몇 년 동안 복합소재는 정부의 높은 관심과 국가 산업 정책의 중점 지원을 받고 있으며, 중국은 복합소재 산업의 발전과 혁신 지원 정책을 잇달아 발표했다. 예를 들어, <정밀화학 산업 혁신 발전 실행 방안(2024~2027년)>, <미래 산업 혁신 발전 추진에 관한 실행 의견> 등이 있으며, 관련 정책은 복합소재 산업 발전에 명확하고 광범위한 시장과 기업에 양호한 생산 및 운영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최근 3년간 복합소재 관련 주요 정책>

발표 시기

발표기관

정책명

주요 내용

2022.4

공신부(工业和信息化部), 발전개혁위원회(发改委)

<화학섬유산업의 고품질 발전에 대한 지도 의견

(关于化纤工业高质量发展的指导意见)>

- 고성능 섬유의 생산 및 응용 향상

- 탄소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섬유 등 생산 및 응용 향상

- 항공우주,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교통 운송 등 분야 고성능 섬유의 응용 확대

2022.8

공신부(工信部), 재정부(财政部) 등 5개 부처

<전력설비 녹색탄소 혁신발전 계획 발전에 대한 통지

(关于印发加快电力装备绿色低碳创新发展行动计划的通知)>

- 8MW 이상 육상(陆上)과 13MW 이상 해상(海上) 풍력발전기 세트 중점 개발

- 심해, 원양 해상풍력발전 장비 연구개발

2022.12

국무원

<내수 확대 전략 계획 개요

(扩大内需战略规划纲要(2022~2035年))>

- 첨단 신소재 연구개발 및 응용 촉진

- 핵심 장비 응용 및 산업화 발전 촉진

- 대형 항공기, 항공 엔진 및 기계 장비 연구개발 강화

2023.1

공신부(工信部) 등 6개 부처

<에너지 전자산업 발전 추진에 대한 의견

(关于推动能源电子产业发展的指导意见)>

- 자동차 엔진, 변속기 등 고효능 가공 및 장비 연구개발

- 항공우주 복합소재 가공 등 설비 연구개발

2023.6

중국 에너지국

(国家能源局)

<풍력발전소 업그레이드 및 퇴역 관리방법

(风电场改造升级和退役管理办法)>

- 풍력발전 개선, 고도화 및 퇴역 관리 추진, 기술 발전 장려

- 풍력발전의 활용 효율성과 발전 수준 향상

- 풍력 산업의 고품질 발전 촉진, 탄소 피크, 탄소중립 지원

2024.1

공신부(工信部) 등 7개 부처

<미래산업 혁신 발전 추진에 관한 실시 의견

(关于推动未来产业创新发展的实施意见)>

- 미래 소재 분야에서 비철금속, 화공, 무기 비금속 등 첨단 기초 소재 고도화 추진

- 고성능 탄소섬유, 첨단 반도체 등 핵심 전략 소재 발전

- 초전도 소재 등 첨단 신소재의 혁신 응용 강화

2024.7

공신부(工信部) 등 9개 부처

<정밀화공산업 혁신발전 실시 방안(2024~2027년)

(精细化工产业创新发展实施意见)>

- 신에너지, 신소재, 바이오 기술, 의료 장비 등 분야에 중점을 두고 혁신 작업 협력 수행

- 특수 고무, 고성능 섬유, 필름, 고성능 필름 소재 등 분야의 핵심 제품 공급능력 향상

[자료: 즈옌컨설팅, 중상산업연구원, 첸잔산업연구원, Handi산업연구원 등 자료 KOTRA 상하이무역관 정리]

 

시장 전망 및 시사점

 

중국복합소재산업협회 담당자는 복합소재는 중국에서 중점적으로 발전하는 신소재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발전 추세는 시장수요, 기술 혁신, 정책 지원 등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복합소재 산업은 현재 급속한 발전의 황금기에 있으며, 시장 수요의 지속 증가, 기술의 지속 발전, 강력한 정책 지원은 산업 발전에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경쟁 심화, 기술 혁신의 압력, 환경보호 요구의 증가는 기업 발전에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A 기업 담당자는 KOTRA 상하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향후 복합소재 산업은 빠른 성장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성능, 다기능, 친환경 등의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그중, 고성능 복합소재는 항공우주, 자동차, 신재생 에너지 등 분야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소재가 될 것이다. 또한, 5G 기술 보급과 사물인터넷 시대에 발맞춰 복합소재 산업도 생산 효율성과 제품 품질 향상을 위해 디지털화와 스마트 제조 분야에 더 많은 노력을 기해야 하며, 산업 고도화와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업계 내외의 모든 당사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자료: 중국복합소재산업협회, 중상산업연구원, 즈옌컨설팅, 치엔짠산업연구원, Handi산업연구원, Chinabaogao.com 등 자료 KOTRA 상하이무역관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황금기를 맞이한 중국 복합소재시장, 탄소섬유를 주목하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