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튀르키예 농업용 트랙터 시장동향
  • 상품DB
  • 튀르키예
  • 이스탄불무역관 이요섭
  • 2024-10-29
  • 출처 : KOTRA

중소형 농지에 적합한 51-75 마력의 트랙터 수요 상존

전체 농업용 트랙터 수입시장에서 한국 농업용 트랙터 비중 미미

입소문 확산을 통한 점진적 시장 진출 모색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견인력(traction)을 일으키는 기계라는 뜻으로 트랙터(tractor)라고 불리게 된 이 농기계는 현대 농업에 있어 필수적인 품목이다. 사람이 직접 운행하던 전통적 트랙터는 오늘날 글로벌 농기계 메이커의 연구 노력으로 완전 자율주행 수준의 개발단계에 이르러 있다.


농업용 트랙터(마력 51~75)의 HS CODE는 870192다. 이 트랙터는 작고 기동성이 뛰어나 중소형 농장의 소규모 필지에서 운영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이 마력대 트랙터는 경작, 경운, 분무, 운반 등 다양한 작업에 적합해 중소형 농장들이 단일 기계로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시장동향

 

2022년 튀르키예의 국내 판매 트랙터 수는 총 6만7154대로, 조사기관인 Arizton에 따르면, 2028년까지 연평균 5.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20년 몬순으로 인한 농작물 생산량 증가로 지난해 대비 83.5% 이상의 증가 폭을 보인 이래 판매량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튀르키예 국내 트랙터 판매량>

(단위: 대)

[자료: 튀르키예 농기계 협회(TARMAKBIR)]

 

전 세계의 흐름과 마찬가지로 튀르키예 역시 농촌 인구가 줄어들고 도시로의 이주가 가속화되면서 농업 임금이 상승하고 있다. 그 결과, 수작업 비용이 커지고 있다. 튀르키예 통계청에 따르면, 상시 농업 노동자의 평균 임금은 2022년 6547 TL(미화 191.5달러)에서 2023년 1만3425 TL(미화 392.6달러)로 증가했다. 이에 대응해 농부들은 생산성을 유지하거나 향상하기 위해 인력 의존도를 줄이고 트랙터와 기계에 의존하고 있다.


<튀르키예 보유 트랙터>

(단위 )

[자료: 튀르키예 농기계 협회(TARMAKBIR)]


튀르키예 농업의 주축인 중소형 농장은 일반적으로 소규모의 필지를 가지고 있어 고출력 대형 트랙터가 필요하지 않다. 51-75 마력의 트랙터는 일상적인 작업에 충분한 출력을 제공하면서도 작고 기동성이 뛰어나 작은 구획에서 유리하다. 또한, 이 마력대 트랙터는 경작, 경운, 분무, 운반 등 다양한 작업에 적합해 중소형 농장들이 단일 기계로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초기 구매 가격과 운영 비용이 대형 트랙터에 비해 저렴해 비용 절감을 고려하는 중소형 농장에 최적이다. 


또한, 튀르키예 농장들은 과일, 채소, 올리브, 견과류와 같은 고부가가치 특산물을 재배한다. 이러한 작물은 정밀 농업 기술과 소규모, 비정형 필지 또는 과수원에서 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트랙터가 필요하다. 51-75 HP 트랙터는 이러한 환경에 적합할 정도로 작지만 필수 작업을 수행할 만큼 강력한 출력을 제공한다. 비용 효율적이고 현대적인 솔루션을 추구하는 경향과 맞물려, 이 마력대 트랙터는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수입동향

 

2023년 튀르키예의 농업용 트랙터 수입규모는 약 9억4000달러로 지난해 대비 170.8%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등의 유럽 3개국으로 73.3%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33만 달러로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04%로 매우 작은 규모다.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70191~870195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

점유율

증감률




전체

342,398

348,105

942,942

100.00

170.88


1

이탈리아

89,968

81,165

250,669

26.58

208.84


2

독일

54,773

60,502

226,754

24.05

274.79


3

프랑스

95,273

95,641

213,774

22.67

123.52


4

인도

24,356

48,398

73,643

7.81

52.16


5

일본

16,665

23,405

56,302

5.97

140.55


6

중국

12,208

9,878

50,089

5.31

407.05


7

영국

26,690

13,774

30,214

3.20

119.36


8

오스트리아

13,332

9,196

25,624

2.72

178.64


9

폴란드

3,843

1,437

5,485

0.58

281.51


10

멕시코

1,247

1,104

2,390

0.25

116.44


18

한국

688

138

331

0.04

139.14


 [자료: Global Trade Atlas('24.10월)]


한편, HS CODE 870192 기준으로 살펴보면 수입규모는 5200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165%가량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 인도,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이 92.5%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70192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

점유율

증감률




전체

18,481

19,629

52,020

100.00

165.0


1

중국

6,287

4,867

38,222

73.4

685.2


2

인도

1,861

6,902

7,512

14.4

8.8


3

일본

3,641

2,379

2,412

4.6

1.4


4

폴란드

2,296

841

1,453

2.7

72.7


5

이탈리아

4,051

4,250

1,224

2.3

-71.2


6

한국

47

138

331

0.6

139.1


7

멕시코

195

221

272

0.5

22.9


8

대만


16,694

157

0.3

843.7


9

독일



151

0.2



10

프랑스



139

0.2



[자료: Global Trade Atlas('24.10월)]


경쟁동향


2023년 튀르키예의 주요 농업용 트랙터 업체는 New Holland, TürkTraktör(튀르크트랙터), 그리고 Tumosan이다. 이들 세 업체는 튀르키예 농업 트랙터 시장에서 중요한 점유율을 차지한다. 특히, New Holland와 Tumosan의 시장 점유율은 약 52%에 달하며, 이 두 회사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TürkTraktör는 전체 트랙터 생산량의 약 55%를 담당하고 있으며, 튀르키예 트랙터 수출의 약 83%를 차지할 정도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TürkTraktör는 연간 2만6215대의 트랙터를 생산하며 주요 수출 시장으로 북미와 유럽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 및 수출 역량 덕분에 TürkTraktör는 튀르키예 농업 기계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모델과 가격대로 현지 농업의 요구에 부합하는 트랙터를 제공하고 있다.


유통구조


1차 공급업체는 주로 트랙터 및 관련 부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기업들이다. 주요 트랙터 제조사로는 Türk Traktör 와 Tumosan, Erkunt Traktör 등이 있으며, 일부 글로벌 브랜드인 John Deere와 Massey Ferguson도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대형 농업 장비 제조업체로서 튀르키예 내에서 직접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제품을 수입해 공급망을 형성한다.


2차 공급업체는 1차 공급업체에서 제품을 받아 이를 대리점이나 리테일 시장으로 유통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주로 대규모 도매업체나 지역 대리점 체인으로 구성되며, 각 지역의 소규모 리테일러 또는 지역별 농업 협회에 트랙터와 부품을 공급한다. 튀르키예 각 지역에 분포된 대리점들은 중소규모 농장을 대상으로 판매를 진행하며, 농부들이 트랙터를 구매하고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바이어는 대체로 중소규모의 농장 운영자들이며, 이들은 트랙터를 직접 구매해 사용한다. 여기에 농기계 렌탈 회사와 협동조합도 주요 바이어로 꼽을 수 있다. 소규모 농장주들이 트랙터를 임대할 수 있도록 장비를 구입하고, 필요에 따라 농부들에게 임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세율 및 인증


한국 원산지 증명서를 발급받을 경우 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HS Code 870192(51-75 마력 트랙터)로 분류되는 트랙터는 튀르키예에서 수입할 때 강제 인증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튀르키예는 EU 관세 동맹의 일원으로서 EU 규정과 연계된 인증 기준을 따른다. 이에 따라 수입 제품은 건강, 안전, 환경 보호 기준을 충족하는 CE 마크를 획득해야 하며, 이는 EU의 지침을 준수한다는 표시다.


한국에서 튀르키예로 해당 트랙터를 수출할 때 CE 마크가 부착된 경우, 현지에서 추가 인증 없이 수입이 가능할 수 있지만, CE 마크가 없을 경우 튀르키예 표준 연구소(TSE)의 인증이 필요할 수 있다. TSE는 현지 인증 기관으로, 제품의 적합성 및 안전성에 대한 검사를 담당한다.

 

시사점


튀르키예는 세계 7위 농업 강국으로 농업용 트랙터에 대한 충분한 잠재 수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지난 10월 25일 우리 농기계 기업 대동은 대형 농업 박람회 참가 등을 통해 튀르키예 공략 의지를 언론에 밝힌 바 있다. 현지 시장 진입을 위해 고객 경험을 통해 브랜드 강점인 제품 품질 및 성능에 대한 입소문 확산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각종 로드쇼 개최 및 전시회 참가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것이 대동 측 입장이다. 튀르키예 농업용 트랙터를 수출하려는 기업들이 참고할 만한 접근 방식이다. 튀르키예 농업용 트랙터 수입 시장에서 현재와 같이 우리의 비중이 작은 상황에서는 성능 면에서 튀르키예 농부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신뢰를 쌓는 점진적 입소문 마케팅이 효과적일 수 있다. 



자료:  Arizton, Mordor Intelligence, 튀르키예 농림부, 튀르키예 농기계 협회((TARMAKBIR), Global Trade Atlas, KOTRA 이스탄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튀르키예 농업용 트랙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