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광활한 경지 면적을 가진 러시아의 스마트팜 산업 현황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4-05-08
  • 출처 : KOTRA

세계 최대규모 국토와 경지 면적, 전체 GDP의 3.7%가 농축산업

농업 분야 디지털 기술 활용 비율은 20-25%로 비교적 낮지만, 2030 년까지 전체 농가의 80%에 스마트 기술 보급 목표

중국과는 시베리아 등지에서 농업 분야 교역 활발

러시아의 농축산업 현황

 

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국토와 경지 면적을 가진 국가이지만, 러시아의 농축산업 분야의 발전은 농작물 경작에 불리한 지리적 위치와 기후적 특징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2023년 러시아의 GDP에서 농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7%로 높지 않다. 러시아의 농축산업 부문을 농업과 축산업으로 나눌 경우 2022년 전체 농축산업 생산량의 57.8%는 농업 부문이, 나머지 42.2%는 축산업 분야에서 담당하였다.


러시아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1월 기준 러시아에서 농업에 활용할 수 있는 전체 토지의 면적은 1억9369만1000헥타르(ha)이다. 이 가운데 8120만3000헥타르가 실제 농지로 사용되고 있다. 러시아의 실제 농지 면적은 2021년과 2022년에 각각 전년 대비 0.6%와 2.4% 증가하였지만, 2023년에는 2022년보다 1.3% 감소하였다.

 

<2021-2023년 실제 농지 면적 변화>

구분

2021

2022

2023

면적(백만 헥타르)

80.4

82.3

81.2

전년도 대비 변화량(%)

+0.6

+2.4

-1.3

[자료: 러시아 연방 연방통계청]

 

러시아 곡물 생산의 약 80%는 '빵 바구니'라 불리는 흑토 지대에서 이뤄진다. 흑토는 토양에 부엽토가 많이 포함되어 검은 빛을 띄는 땅으로 토질이 농작물 경작에 매우 적합하다. 러시아의 흑토 지대는 우크라이나 및 벨라루스와 인접한 쿠르스크 주, 벨고로드 주 및 보로네시 주에서부터 리페츠크 주, 탐보프 주를 거쳐 북캅카스, 볼가강 유역, 우랄산맥 남부 그리고 동시베리아까지 펼쳐져 있다.


러시아에서는 밀, 호밀, 옥수수, 보리, 귀리, 수수, 메밀, 쌀, 콩류, 사탕무, 해바라기 그리고 아마 등 다양한 작물이 경작된다. 이 가운데 밀은 2023년 전체 곡물 생산량의 65%를 차지한 가장 주요한 경작물이다.

 

<농작물 유형별 총 생산량 추이>

(단위: 백만 톤, %)

구분

2021

2022

2023

전년 대비 2023년 증감량(%)

2023년 기준 비중1

곡물류 전체

121.4

153.83

142.6

-7.3

100

76.1

104.44

92.8

-11.1

65.1

호밀

1.7

2.22

1.71

-23.0

1.2

옥수수 낱알

15.2

11.8

14.4

+22.0

10.1

보리

18.0

23.5

21.2

-9.8

14.9

귀리

3.78

4.56

3.3

-27.6

2.3

수수

0.368

0.308

0.449

+45.9

0.3

메밀

0.919

1.234

1.485

+20.3

1.0

1.076

0.798

1.066

+ 33.6

0.7

콩류

3.8

4.42

5.95

+34.6

4.2

오일 시드

24.85

29.076

27.6

+3.0

-

해바라기

15.656

16.357

16.7

+2.1

-

아마씨

0.0259

0.024

0.02

-16.7

-

감자류

17.9

18.9

20.5

+8.6

-

채소류

13.03

13.6

13.8

+1.2

-

과일류

4.75

5.19

4.662

-10.2

-

비고1: 곡물류만 포함;

비고2: 과일류 2023년 생산량의 경우 추정치

[자료: 러시아 연방 연방통계청, Interfax.ru, Agroobzor.ru, Sdelanounas.ru, RG.ru, Dzen.ru, TASS.ru 및 Specagro.ru]


한편 러시아의 축산업 종사자들은 소, 돼지, 양 및 가금류 등 다양한 가축들을 사육한다. 이러한 축산 농가들은 가축의 유형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서부 러시아, 북캅카스, 우랄 산맥 인근, 볼가 강 유역 및 서시베리아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특히 가금류 농장의 경우 사실상 러시아 전역에 존재하며, 소비시장 인접성 및 원활한 사료 수급을 고려하여 대도시와 주요 농업 지역 인근에 주로 위치한다.


 

러시아의 스마트팜 산업 현황

 

세계 스마트팜 시장은 2023년 기준 최대 181억1000만 달러 규모를 형성하였다고 평가받으며 꾸준한 성장이 기대되는 사업 분야이다. 하지만 세계 스마트팜 시장에서 러시아 시장이 점유하는 비중은 약 1.2%로 높지 않으며, 러시아 산업형 농업 분야의 디지털 기술 활용 비율은 20~25% 수준이다. 따라서 러시아 농축산업 분야의 ‘스마트’화는 아직 초기 단계에 놓여 있다.

 

<주요 분석기관별 2023년 세계 스마트팜 시장 규모 전망>

(단위: US$ 백만)

Future Market Insights (FMI)

Technavio

Mordor Intelligence

14,480

17,515

18,110

[자료: EMIS, Futuremarketinsights, RBC.ru]

 

러시아 농축산업계의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은 2019년을 기점으로 이전보다 20배 이상 높아졌다. 그럼에도 러시아의 지역 및 농축산업 세부 부문 및 관련 종사 기업의 규모에 따라 농축산업의 디지털화 정도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러시아의 스마트팜 기술 도입은 그 과정이 더 용이하고 소요 비용이 축산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농업 부문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오늘날 러시아의 농업 부문에서는 주로 1)농업용 기계에 탑재되는 네비게이션 및 위치확인 시스템, 2)농작물 상태 원격 감지 시스템, 3)원격 토지 정보 제공 시스템 그리고 4)시비량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이 이용되고 있다.

 

<러시아 정밀(스마트) 농업 활용 기술별 비중>

[자료: 러시아 연방 농업부]

 

러시아 농가에서는 최근 농작물의 현황 파악 및 관리 전반에 “드론 및 로봇공학 기술”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의 밀 농가에서 AI자율주행 체계를 탑재한 로봇 농기계를 도입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러시아 밀 농가에서 현재 사용되는 러시아 및 벨라루스산 스마트 트랙터와 콤바인의 수량은 1500대를 넘어섰다. 러시아 일부 지역의 경우 전체 밀 재배의 3분의 1을 로봇 농기계가 담당하기도 한다.

 

<러시아 ‘Cognitive Pilot'사의 AI 자율주행 체계 탑재 스마트 트랙터>

야외, 교통, 차량, 하늘이(가) 표시된 사진 자동 생성된 설명

[자료: 현지 전문매체(IT-world)]

 

한편 타 산업 분야와 비교하여 다소 떨어지던 러시아 농업 부문의 인공지능 및 인공 신경망 기술 활용 수준도 증가세를 보인다. 2022년 초를 기준으로 러시아 경제 전 부문에서 AI기술을 도입한 기업의 비중은 전체의 20.8%였던 데 반하여, 러시아 농축산업 부문에서는 그 비중이 11.9%로 두 배 가까이 낮았다. 하지만 최근 농작물의 재배, 저장 및 처리 등 산업 전 과정에서 인공지능 및 인공 신경망 기술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에 더해 2024년 봄부터는 러시아의 ‘코그니티브 로보틱스(Cognitive Robotics LLC)’사에서 새롭게 개발한 “토양 검사 및 적정 시비 수준 판단용 인공지능”의 시범적용도 예정되어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농기계가 농지의 화학적 구성과 산성도 및 밀도 등을 파악하여 ‘토양환경지도’를 작성하는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러시아 농업 기술 시장은 연간 2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인다. 농업 부문의 혁신 상품 및 서비스 도입 규모도 2022년 기준 전년 대비 135.9% 성장한 855억 루블로 평가되었다. 이에 러시아 연방 농업부는 2018년 2월 3,600억 루블로 평가된 러시아의 농업 관련 정보 및 컴퓨터 기술 시장 규모가 2026년까지 5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2020-2022년 농축산업 부문별 혁신 제품 및 서비스 도입 규모>

(단위: 백만 루블)

구분

2020

2021

2022

전년 대비 2022년 변화량

점유율

경제 전 부문

2,925,556

3,389,581

3,726,589

10

100

농축

산업

부문

전체

37,855

34,969

85,503

144

2

일년생 작물 재배

21,714

9,242

17,767

92

1

가축 사육

15,482

25,319

65,414

158

2

혼합 재배

N/A

N/A

2,014

-

0.05

보조 작물 재배 및

수확 후 관리

658

407

306

-24

0.008

환율: 92.13 루블/1달러 (2024.4.26 러시아 중앙은행)

[자료: 러시아 연방통계청]

 

지난 2021년 모스크바 고등경제대학(Higher School of Economics)의 ‘통계연구 및 경제지식 연구소(Institute of Statistical Research and Knowledge Economics)’는 2020년 204억 루블 수준이던 “러시아 농업 분야의 디지털 기술 수요”가 2030년까지 연 평균 32%씩 성장하여 3,215억 루블에 이를 것이란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이와 함께 러시아의 스마트 농업 관련 주요 세부 지표의 점진적인 개선도 예상된다. 러시아 농업 분야의 스마트화가 전망대로 이뤄질 경우 2030년에는 러시아 전체 농가의 80%에 스마트(정밀) 농업 기술이 보급되어 1헥타르 당 곡물 생산량이 3,950kg까지 오르고, 디지털 농지정보도 작성 및 정부의 온라인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한 농경지 디지털화는 100% 완료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농업 부문에서 활용하는 신규 기술 및 소프트웨어의 수는 2019년 493개에서 2030년 869개까지 76.3% 늘어나고, 러시아 전체 농가 가운데 혁신 기술을 활용하는 농가의 비중은 14.5%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2019-2030년 러시아 스마트(정밀) 농업 관련 주요 지표 변화 전망>

구분

2019

2025

2027

2030

2019년 대비 2030년 변화량(%)

농작물 수확량(1헥타르 당 kg)

2,650

3,200

3,500

3,950

49.1

농경지 디지털화 수준(%)

15

25

70

100

566.7

스마트 농업 기술 활용 농가 비중(%)

10

50

65

80

700.0

신규 기술 및 소프트웨어 도입 수(개)

493

595

651

869

76.3

농작물 생산 시 혁신 기술 활용 수준(%)

4.8

8.6

10.5

14.5

202.1

[자료: 러시아 연방 농업부]

 

 

러시아 정부의 스마트팜 발전 전략

 

러시아 정부에서 발표하는 ‘2035 국가 기술 이니셔티브(NTI)’, ‘2035 러시아 연방 곡물 산업 발전 전략’ 및 ‘디지털 농축산업’ 등의 경제 발전 계획에는 스마트팜 기술 도입에 대한 내용들도 담겨 있다. 2018년 공개된 ‘디지털 농축산업’은 러시아 농축산업 분야의 디지털화 사업 추진 계획으로, 이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의 최종적인 목표는 2024년까지 농축산업 분야의 디지털 혁신과 노동 생산력 2배 향상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디지털 기술 도입 및 솔루션 플랫폼 구축 사업에는 1)연방 농지 정보 빅데이터 체계, 2) AI 기술 활용 스마트 농지 관리 체계, 3) 블록체인 기술 활용 스마트 정부 지원 체계, 4) IoT 기술 활용 스마트 농축산 사업 관리 체계 및 농축산물 수출 실시간 모델링 체계 등 다양한 등의 다양한 방안들이 포함된다.

 

<러시아 정부 ‘디지털 농축산업’ 사업 내용>

텍스트, 하늘, 야외, 구름이(가) 표시된 사진 자동 생성된 설명

연방 농지정보 빅데이터 체계

AI 기술 활용 ’스마트’ 농지 관리 예시

블록체인 기술 활용 ’스마트’ 정부 지원 체계

IoT 기술 활용 스마트 농축산업 체계

[자료: 러시아 연방 농업부 산하 “농업 디지털화 센터”]

 

<러시아의 농업용 드론 활용>

Согласно целевым показателям проекта «Цифровое сельское хозяйство», в общей структуре инвестиций предприятий АПК доля затрат на внедрение «умных» решений должна составлять сейчас не менее 7%.

[자료: 현지언론]

 

 

중국은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 스마트팜 관련 진출 활성화 중

 

러시아의 노보시비르스크 주는 시베리아 지역의 무역 및 물류 중심지로, 중국계 기업의 시장 진출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2024년 3월 기준 노보시비르스크 주에서 활동하는 중국 자본 기반 기업체의 수는 233개로 최근 2년 새 3배가량 늘어났다. 중국계 기업들은 식품 배달을 포함한 음식공급업, 온라인 쇼핑 및 도매업 분야 진출에 주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중국계 기업 또는 중-러 합작회사들이 노보시비르스크 주의 대규모 기반시설 확충을 비롯한 다양한 사업에 참여하고자 한다.


중국은 무엇보다 노보시비르스크 주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을 구입하는 핵심 거래대상국이다. 2023년 1월부터 2024년 3월까지 노보시비르스크에서 산출된 농산물 8만3500톤이 열차편을 통해 중국으로 수출되었다. 노보시비르스크 주와 중국 사이의 교역액은 2022년 이미 1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양자 사이의 경제협력은 점점 더 심화하고 있다.

 

<노보시비르스크발 중국향 화물 운송 노선>

텍스트, 지도, 아틀라스, 도표이(가) 표시된 사진 자동 생성된 설명

[자료: 현지 전문매체(Chinalogist)]

 

최근 다수의 중국 기업들이 노보시비르스크 주 스마트팜 시장에 투자할 의향을 밝힘에 따라 중국 기업들의 러시아 진출은 더 활발해질 전망이다. 2022년 3월 중국의 기업가 Qu Fei가 설립한 Maslov사는 37억 루블을 투자하여 2025년 말까지 노보시비르스크 주의 ‘유즈니(Yuzhny)’ 산업·물류 단지 내에 아마씨유 및 카놀라유 제조 공장을 건설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연간 최대 45만 톤의 식물성 기름이 노보시비르스크 주에서 정제된 뒤 중국으로 수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서 2023년 6월 중국의 경제 사절단은 노보시비르스크 농축산업 당국과 역내 육류 가공 및 소 사육 분야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기업들은 노보시비르스크 주 서부의 치스토오제르니 군(Chistoozerny district)에 건설될 육류 가공 공장에 대한 투자에 관심을 보였다.

 

끝으로 2024년 1월 중국의 주요 스마트농업 관련 기업인 ‘베이다황(Baidahuang)’은 노보시비르스크 소재 러시아계 곡물회사인 '노보시비르스크흘례보프로덕트(NovosibirskKhleboProduct JSC)’사의 곡물 저장 설비를 활용하여 2026년 말까지 ‘스마트’ 곡물가공공장을 건설하는 사업 구상을 발표하였다. 중-러 두 기업이 공동으로 출자한 10억 루블을 통해 진행될 설비 현대화를 거쳐 연간 7000톤의 건조 글루텐이 러시아 및 해외 시장으로 판매될 계획이다.

 

또한, 2022년 7월 러시아와 중국 학자들로 구성된 공동 연구진은 인공위성 관측을 활용하여 벼의 재배적지 및 상태를 판단하고 쌀 생산량을 추정하는 새로운 농업 방식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스마트’ 농법은 토양 내 무기성분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다중 분광 위성 기술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농작물의 경작 및 수확 효율을 더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사점

 

세계 최대 규모의 경작면적을 보유한 러시아는 2023년에만 1억4300만 톤의 곡물을 수확하며 전 세계 곡물 시장의 20%를 목표하고 있을 정도로 농업 분야 성장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 연방 농업부 산하 “농업 디지털화 센터”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면 “러시아에서는 모스크바로의 인구 편중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노동 인력이 부족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베리아 및 남서부 지역 농경 지대에 대한 스마트 농업화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러-우 사태 이후 대두된 식량 주권 실현을 위해서도 자국 내 농업산업 진흥을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러시아 농업 부문의 경우 20303년까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기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① 친환경 및 고효율 스마트팜 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 소프트웨어 

② 로봇 · GPS · 컴퓨터통신에 기반한 파종 및 시비 자동화 기술 

③ 글로나스(GLONASS) 위치정보체계를 활용하는 고효율 ‘스마트’ 농기계 

④ 디지털화된 토양 내 농약 및 미생물 수준 관리 기술 

⑤ 빅 데이터 기반 곡물 수확 · 분석 · 가공 및 토양 분석 기술 


따라서 러시아 스마트팜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스마트팜 관련 기업의 정밀 농업 솔루션에는 농지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여 경작 계획 수립을 돕고 원거리에서 스마트 농기계를 운영하고 수확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들이 포함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또한, 농약 및 농업 용수 살포 드론, 스마트 LED 전구, 트랙터 등 중소기업들이 비교적 쉽게 취급할 수 있는 제품들의 납품도 농업 기자재를 대량으로 취급하는 Petersburg Tractor Plant 사, Cognitive Pilot 사 등을 중심으로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러시아 연방 농업부, 러시아 연방 통계청, Interfax, 러 현지언론,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광활한 경지 면적을 가진 러시아의 스마트팜 산업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