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정부 관계자에게 듣는 2024년 베이징시 경제정책
  • 현장·인터뷰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4-01-19
  • 출처 : KOTRA

리오프닝 이후 서비스업 중심으로 안정적 회복세

서비스업, 하이테크, 본부기업 유치에 주력

KOTRA 베이징 무역관과 베이징시 상무국은 우리 진출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베이징시 경제전망과 다양한 외자기업 우대정책을 소개하고 네트워킹 기회를 마련하고자 지난 1월 10일 ‘2024 베이징시 경제정책 설명회’를 개최했다.


발표 내용

 

베이징시 정부 관련 부처 담당자들이 연사로 나서 베이징시 경제 현황, 산업동향과 외자기업 대상 정책 혜택 등을 설명했다. 베이징의 경제 규모, 서비스업 주도형 경제구도, 전국 선두를 달리는 과학혁신 역량, 지역본부 인기 도시인 점, 외자 유치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 등을 강조했다.

 

<발표 내용 및 연사>

내용

연사

2024년 베이징시 거시경제 전망

Xia Mingjun

베이징시 발전개혁위원회 종합처 부처장

국가서비스업 확대·개방 종합시범구 지원정책

Zhao Wenjie

베이징시 서비스업개방시범구·자유무역시범구(兩區) 사무국 제도혁신처 처장

외자기업 본부 경제발전 지원정책

Du DaLin

베이징시 상무국 경영환경조율추진처 4급 조사연구원

법인세 감세 지원정책

Yu Yongqin

베이징시 세무국 기업소득세처 4급 조사연구원

외자기업 R&D센터 관련 정책

Ping Yudong

베이징시 과학기술위원회, 중관촌 관리위원회 주관 공정사

대외무역기업의 국제화 경영능력 향상 지원정책

Zhao Sicong

베이징시 상무국 대외무역 운행처 1급 주임 과원

 

1) 베이징시 경제·산업환경

 

베이징은 중국의 수도이자 상주인구가 2000만 명을 웃도 초메가시티이다. 베이징의 지역 GDP는 2007년 1조 위안을 돌파한 이후 빠른 증가세를 보이며 2021년 4조 위안을 넘어섰다. 중국 주요 도시 중 GDP 규모가 4조 위안에 달하는 곳은 중국의 경제수도인 상하이와 베이징, 2곳뿐이다. 베이징의 2023년 3분기 누적 경제성장률은 5.1%로, 연간 5% 내외 경제성장을 실현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의 1인당 GDP 또한 전국 평균치를 크게 웃돌고 있다. 2022년 약 19만 위안으로 전국 평균치(10만3000위안)의 2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중국 4대 1선 도시 경제 규모>

(단위: 억 위안, %)

도시

2022년 GDP

2023년 1~9월 GDP

2023년 1~9월 경제성장률

상하이

44,653

33,019

6.0

베이징

41,611

31,723

5.1

선전

32,388

24,468

5.4

광저우

28,839

21,770

4.2

[자료: 국가통계국, 각 지방통계국]

 

베이징은 서비스업 주도형 경제 구도가 뚜렷하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서비스업의 GDP 비중*, 현대 서비스업의 서비스업 내 비중이 모두 80%를 넘어선 도시이다. 금융, 정보서비스업, 과학기술 서비스의 지역경제성장 기여도는 50%를 웃돈다. 이러한 경제·산업환경을 기반으로 베이징은 디지털 경제 거점으로 도약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블록체인, 산업인터넷 등 디지털 산업 규모는 전국 1위를 달리고 있으며 전국 최대 규모의 집적회로 장비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했다. 베이징의 2023 3  디지털 경제 성장률은 8.3%로, 지역 GDP에서의 비중은 44.3%에 달했다.

    주*: 2023년 3분기 누적 서비스업의 GDP 비중 85.5%


<설명회 현장>

[자료: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체 촬영]


베이징의 과학기술 역량도 전국 평균을 크게 앞서고 있다. 수십 개의 명문 대학, 수백 개의 다국적 기업 R&D센터와 국가급 연구기관들이 ‘산학연’ 협력 체계를 구축해 중국 과학기술 혁신을 이끌고 있다. 2022년 베이징의 R&D 투입 강도는 6.8%로 전국 평균치(2.5%)의 2배 수준을 웃돌고 있으며 1인당 발명특허 보유량(누적)은 218.3건으로 전국 1위를 달리고 있다.

 

정치, 행정의 중심으로서 베이징은 녹색 발전, 탄소중립 전환에 힘을 쏟고 있으며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일체화 전략, 현대화 수도권 건설을 주도하고 있다.

    주*: 2014년 시진핑 주석에 의해 국가전략으로 채택된 중국 수도권 건설계획으로, 베이징의 전통산업 기능을 허베이로 이전해 인구 과밀화와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경제 통합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베이징 개방 확대 정책

 

베이징은 처음으로 ‘서비스업 확대 개방 종합시범구’로 지정된 중국의 서비스업 개방 테스트 베드이다. 2021년 이후 중앙정부가 두 차례에 걸쳐 상하이, 난징, 우한, 청두 등 10개 도시를 추가 지정했지만 서비스업 주도형 경제 구도에 힘입어 베이징의 서비스업 개방 수준은 전국 최고 수준이다. 역내 주요 산업단지와 과학기술, 디지털 경제, 금융, 문화관광, 교육, 의료, 전문 서비스업, 비즈니스 서비스업, 항공 서비스업 등 개방 확대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베이징 개방 지도>

 

[자료: 연사 발표 자료]

 

베이징시는 무역투자 제도 개혁, 정책환경 개선, 기업권리 보호 체계와 리스크 예방 체계 구축 등을 통해 서비스업 개방을 확대하고 개혁을 심화한다는 방침이다. CPTPP 등 고수준 무역규칙에 맞춰 관련 규제를 완화, 제도를 정비해 서비스 분야의 외자 유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3) 외자 유치 및 기업 부담 경감책

 

베이징시는 외자 유치 확대를 위해 다양한 우대,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베이징시에 기업 본부를 설립할 경우 정책적 혜택을 제공하는 본부 기업 지원책, 중소 영세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과 하이테크기업 대상 기업소득세 감면책은 물론, 베이징시에 R&D센터를 설립할 경우에도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베이징은 4000여 개 기업이 지역본부를 두고 있으며 2014~2022년 9년 연속 ‘세계 500대 기업 지역본부 최다 도시’ 자리를 지키고 있다. 베이징시는 기업 본부를 크게 ‘중점 경제 기여형 본부’와 ‘전략형 본부’로 나눠서 관리한다. ‘전략형 본부’는 또 ‘다국적 기업 본부’, ‘외자 R&D 본부’와 ‘업종내 시범기업 본부’로 구분된다. 정부가 규정한 조건을 충족하는 외국계 기업들은 기업 신청, 관련 부처의 심사 및 승인 등 절차를 거치는데 본부 기업으로 지정될 경우 상여금, 핵심 인재 관련 정책, 통관 편리화, 지재권 지원 등 정책적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본부기업 구분>

구분

중점 경제 기여형 본부

전략형 본부

다국적 기업 본

외자 R&D 본부

업종 내 시범기업 본부

선정

방법

시정부 지정

기업 신청에 따라 시 상무국 승인

관련 부처·구정부 추천 => 시정부 심사 및 승인

조건

- 간 매출액≥2000 위안

- 2개 이상 자회사

- 전년도 베이징시 경제기여≥1000만 위안

- 해외 모회사 총자산 ≥US$ 2억

- 베이징시 내 등록자본금≥US$ 1000만

- 베이징내 등록자본금(누계)≥US$ 200

- 핵심업무가 R&D

- 연간 매출액≥2000 위안

- 전년도 베이징시 경제기여≥500만 위안

주: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는 기업의 산업생산치, 매출, 취업효과, 투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산출

[자료: 연사 발표 자료]

 

베이징시 정부는 중국 중앙정부의 ▲기업 R&D 비용 세전 추가공제, ▲중소영세기업·스타트업 대상 감세 등 세금부담 감면정책을 전면 시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역내 외국계 R&D 센터에 대해서도 보조금 지원, 지재권 보호 등 우대정책도 제공하고 있다. 일반기업의 R&D 비용은 무형자산으로 형성되지 않을 경우 실제 발생액의 100% 기준으로 세전 공제, 무형자산으로 형성된 경우 무형자산 비용의 200% 기준으로 세전 상각한다. 집적회로와 공작기계 관련 기업일 경우, 해당 비율은 각각 120%, 220%를 적용한다. 소형 박리기업 및 자영업자일 경우에는 2027년 말까지 과세소득액을 25%로 계산하고 20%의 기업소득세율을 적용 기업소득세를 징수하는 등 세비감면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감세정책>

적용대상

주요 내용

일반기업

 - 2023.1.1.부터 R&D 비용 세전 추가 공제

  · 무형자산 형성되지 않은 경우 실제 발생액의 100% 기준으로 세전 공제, 무형자산 형성된 경우 무형자산 비용의 200% 기준으로 세전 상각

집적회로 및 공작기계 관련 기업

 - 2023.1.1.~2027.12.31.  R&D 비용 세전 추가 공제

  · 무형자산 형성되지 않은 경우 실제 발생액의 120% 기준으로 세전 공제, 무형자산 형성된 경우 무형자산 비용의 220% 기준으로 세전 상각

소형박리기업 및 자영업자

 - 2027.12.31.까지 과세소득액을 25%로 계산하고 20%의 세율에 따라 기업소득세 징수(중국 기업소득세율 25%)

스타트업

- 2027.12.31.까지 지분투자 방식을 채택한 기술형 스타트업 기업은 설립 2년 이후, 투자액의 70% 기준으로 당해 연도 과세소득액을 공제 가능

[자료: 연사 발표 자료, KOTRA 베이징 무역관 정리]

 

외국계 R&D센터를 베이징에 설립할 경우 베이징시정부는 혁신력·대외개방협력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대 5000만 위안의 자금지원을 제공한다. 역내 기업 기술 혁신력을 강화하고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도 향상 및 상용화를 위해 지재권 보호를 강화하고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교류·전시 플랫폼을 구축해 역내 기업의 국내외 전시 참가를 지원하고 있다.

 

베이징 외자 유치 동향 및 시사점

 

코로나 기간에도 베이징은 매년 150억 달러 이상의 외자를 유치했다. 2022년엔 174억 달러로 201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3년은 역기저 효과, 국내외 경제 회복 둔화 등으로 하락세로 돌아설 가능성은 있지만 베이징시 정부가 서비스·하이테크 분야 외자진입 규제를 완화하고 지원폭을 넓히고 있어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다는 게 중론이다. 현지 증권기관의 애널리스트 A씨는 KOTRA 베이징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베이징의 글로벌 선도기업, 명문대, 국가급 연구기관들이 과학기술 혁신의 기반을 더욱 탄탄하게 만들어가고 있으며 베이징시 정부가 과학기술 미래 통신과 글로벌 디지털 생태계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폭넓은 지원 정책을 과감하게 추진하고 있어 서비스업, 하이테크 산업 중심으로 외자 유치가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이징 외자 유치 규모 추이>
(단위: US$ 억)

 

[자료: 국가통계국]

 

한편, 상하이 등 주요 도시와의 기업 본부, 테크기업 유치 경쟁이 날로 심화하면서 베이징시는 관련 외자기업에 대한 지원책을 지속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은 중국의 정치·문화·과학기술 중심지로 글로벌 선도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각축장이다. 우리 기업들은 베이징 진출 시의 이득과 리스크, 경쟁력 등을 꼼꼼하게 분석하고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자료: 국가통계국, 베이징시통계국, 연사발표 자료,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정부 관계자에게 듣는 2024년 베이징시 경제정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