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i ESG Framework 소개
  • 경제·무역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신승옥
  • 2023-10-16
  • 출처 : KOTRA

말레이시아 정부의 ESG 경영 도입을 위한 실행 계획 소개

I-ESG 프레임워크 도입 배경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도 세계 추세에 맞춰 ESG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ESG(E) 탄소 배출량 감소 및 자원 보존과 같은 환경적 요소 (S) 다양성, 직원 복지 및 지역사회 참여를 포함한 사회적 요소 (G) 윤리적 리더십 및 투명한 기업 지배구조와 같은 거버넌스 요소로 설명한다.


그러나 현재 말레이시아의 기업들은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움에는 인식 부족, 복잡한 ESG 정책과 규정, 관련 지표의 정량화 어려움, 신기술 도입 및 기술 교육에 따른 조직 비용 추가, 매우 다양한 ESG 표준 및 프레임워크의 존재 등이 있다. 따라서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ESG 관행의 광범위한 채택을 촉진하기 위해 i-ESG 프레임워크를 올해 공표하였다.

 

목표 및 기대효과


i-ESG 프레임워크는 제조부문에서 기업들이 ESG 경영을 수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기업이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스스로 작성하고 서로 평가하는 선순환 구조 조성,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지속가능성 보고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목표를 향한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여 대외 공표하고, 내부 및 외부 이해관계자에게 책임을 지우는 제도이다. 최근 들어 고객, 투자자, 직원, 비정부기구(NGO)와 같은 이해관계자들은 거래 및 투자하는 조직의 투명성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ESG 트렌드에 부합하는 비즈니스 활동에서 시작하여 지속가능성 보고서 작성 및 공개가 정착된다면 투자자의 평가를 거쳐 자본이 유입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I-ESG 프레임워크는 말레이시아의 지속 가능한 개발뿐만 아니라 수출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을 준다. EU의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 탄소 국경 조정 메커니즘(CBAM) 등 세계의 경제 활동에서 탄소배출 관련 규제들이 강화되고 있다. I-ESG 프레임워크와 ESG 경영의 보편화는 말레이시아의 기업들이 ESG 규제가 강한 나라들에 문제없이 수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도 할 것이다.

 

아래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보고서를 통해 제시한 I-ESG의 목표와 기대효과이다.


목표


1) 명확하고 일관된 지침 제공


제조업계가 ESG 관행을 운영에 통합하고 이후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가이드라인 제공. 기업이 ESG 관행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이를 직관적으로 공개할 수 있도록 유도


2) 기업 준비도 평가


MSME 기업의 ESG 도입 과정에서 준비도를 평가하여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맞춤 지원


3) ESG 관행 도입 지원 


적절한 환경과 도움을 제공하여 기업이 ESG 관행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 재정적 인센티브, 역량 강화 프로그램, 리소스 및 지식 공유 플랫폼 제공 등이 포함


4) 온실가스 감축 목표 산정


제조산업에 대해 연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정기적으로 평가


기대효과


1)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소비로의 원활한 전환


제조부문에서 ESG 관행의 광범위한 채택 촉진.


2) 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 역량 강화 


기업이 ESG 운영을 수용하고 지속가능성 보고를 시작하여 ESG 경영에 대한 선순환 구조 조성.


3) ESG 준수 투자 유치


ESG 원칙에 부합하는 투자 유입.


4) 수출 경쟁력 강화 및 시장 확대


세계 시장에서 지속가능성을 통해 경쟁 우위를 강화하여 시장 확대, 국제 무역 성장 촉진.


5)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량 제로 달성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

 

이행 전략


i-ESG 프레임워크는 2024~2026년까지 진행되는 1단계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action)’2027~2030년까지 진행되는 2단계 ‘ESG 경영(관행)의 가속화로 구성된다. 정부는 이번 보고서에서 1단계의 내용을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1단계는 제조업계가 ESG 경영과 보고를 도입하기 위한 기반을 닦는 기초 단계라 할 수 있으며 해당 기간 관련 기업들은 이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


보고서에서는 17개의 I-ESG 프레임워크 이행 전략을 4개의 구성요소(Standard, Capacity Building, Financing, Market Mechanism)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정부의 계획대로 프로젝트가 진행된다면 2026년 말까지 대다수의 중견 및 대기업이 지속가능성 보고를 표준 관행으로 삼을 것이다


지속가능성 보고(Sustainability Reporting)의 확대는 기업의 ESG 경영 도입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아래 표와 같이 ESG 경영이 익숙하지 않은 ESG 초보 기업들은 보고 첫 해에 I-ESG Start(이행 전략, 아래의 도표상 A2 참고) 가이드라인에 따라 보고할 수 있다. 해당 기업들이 I-ESG Start에 따른 보고가 익숙해지면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Bursa)의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에 부합하도록 보고를 수정하고, 이후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보고서를 작성하게 만들어 제출하게하는 것이 정부의 계획이다. 한편, 이미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Bursa)ESG 경영 실적을 보고하고 있던 기업들은 I-ESG Start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성 보고를 마련하는 게 목표일 것이다.


< 말레이시아 제조업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 달성 목표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c84030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27pixel, 세로 426pixel

[자료: MITI]


 

ESG 경영을 정착하고 탄소배출 제로 달성을 위해 말레이시아 정부가 소개한 I-ESG 프레임워크는 4개 분야별 17개의 전략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는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i-ESG 프레임워크의 4개 분야별 17개 전략 및 시행계획 >


구분

전략

시행 계획

수행/협력기관

Standard

(A1) I-ESG Ready: ESG 준비도 평가 프로그램

I-ESG ready: ESG 준비도 평가 프로그램 설계 후 MITI 웹사이트에 프로그램 게시

MITI

세미나, 포럼 및 컨퍼런스를 통해 기업 참여 장려

준비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분기별 보고서 제공

(A2) I-ESG Start: 명확하고 일관된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

I-ESG start: 현지 및 국제 표준과 부합하는 필수 공식, 템플릿, 예시가 포함된 포괄적인 지속가능성 보고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중소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를 위한 스타터 키트로 활용

MITI, BNM, BURSA, CMM, SIRIM

상장 기업의 ESG 정보를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의 CSI(중앙집중식 지속가능성 인텔리전스) 플랫폼에 통합하여 중앙정보 저장소 역할을 수행

(A3) 지속가능성 보고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디지털 도구 활용

기업의 배출량 계산을 돕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TNB(Tenaga Nasional Berhad) 법안에 포함

MGTC, MITI, BURSA, TNB, SIRIM, Suruhanjaya Tenaga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ESG 관행을 기반으로 조직을 평가하는 등급 시스템 개발

(A4) 탄소배출 제로 산업단지로의 전환

격차 분석을 수행하여 친환경 산업단지로 전환하기 위한 요건 파악

MITI, SIRIM, World Bank, MATRADE, EU

환경을 생각하는 투자자나 사업장을 설립할 지속 가능한 장소를 찾고 있는 기업의 투자를 유치

(A5) 탄소 가격 인증서 도입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요건에 대한 피드백 측정

MITI, MATRADE, SIRIM, EU, MGTC

탄소 인증서 발급을 위한 적절한 기관과 방법론 수립

(A6) 제품 탄소발자국 개발

유럽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대한 제품 탄소발자국 평가(원자재부터 생산까지)CBAM에 따라 수행

MITI, 관련 대학, SIRIM, MATRADE, MOF, MGTC

점진적으로 탄소발자국을 기준으로 삼아 GGP(정부 녹색 구매) 프로그램 가속화

Capacity

Building

(B1) ESG 원칙의 중요성, 혜택 및 잠재적 기회에 대한 인식 제고

전 지역에 걸쳐 인식 제고 프로그램 실시, 특히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MITI

매년 국가별 ESG 포럼을 개최하여 I-ESG의 목표를 명확화, 모범사례 공유

세미나, 포럼, 미디어 플랫폼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I-ESG에 대한 설명 배포

I-ESG 전용 사이트를 제작해 관련 정보 제공

(B2) 정부 부처와 기관의 ESG 인식을 제고

연방, 주 및 지방 의회에서 GSEP(정부 지속가능성 참여 프로그램) 실시

MITI, MATRADE, Ministries, State and Local Authorities

연방, 주 및 지방 당국의 지속가능성 부문 책임자 임명 장려

(B3) 중소기업 ESG 교육 프로그램

국가 교육 기관, 대학 및 국제기관과 협력하여 교육 이니셔티브를 위한 자금 확보

MITI, HRDC, 관련 대학, UN, AEPEC, InvestKL, BURSA, MGTC

다국적 기업과 중소기업 간 멘토링 프로그램 조직

코칭 클리닉을 개최하여 i-ESG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

(B4) 공무원 ESG 교육 프로그램

INTAN 교육 프로그램에 ESG 모듈 도입

MITI, INTAN

(B5) CSRMatch 플랫폼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다국적 기업과 지역사회의 요구를 모두 충족하는 CSR 프로그램 발굴

MITI, MNCs, 사회적기업, MWFCD, 복지부

CSRMatch: 제공자와 수혜자 간 CSR 프로그램을 매칭해 주는 디지털 플랫폼 개발

Financing

(C1) 자금 조달 시장 구축

다양한 ESG 프로젝트를 지원하고자 하는 자금 제공자 및 금융기관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

MITI, FIs, 투자자, MATRAD, MGTC

ESG 프로젝트 관련 자금/투자 기회를 연결할 수 있는 가상 금융 시장을 구축

가상 시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온보딩 및 실습 안내 세션 촉진

(C2) 성과 기반 인센티브

기존 친환경 투자 세액 공제(Green Investment Tax Allowance, GITA)와 친환경 소득세 면세(Green Income Tax Exemption) 평가 및 개선

MIITI, MIDA, MOF, SEDA, MATRADE, MGTC

NIMP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과 제품 탄소발자국에 대한 보조금 제공

에너지 감사에 대한 보조금 제공

ESG 모범사례를 보유한 기업에 ESG 우수상 수여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시장 개발 보조금(MDG)을 비롯한 MITI 및 여타 기관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자격 기준으로 설정

(C3) 친환경/ESG 금융 옵션 홍보

MNB(말레이시아 중앙은행)LCTF(저탄소 전환 기금) 홍보

MITI, BNM, FIs, BURSA, 투자자

금융기관 및 투자자와 협력하여 ESG 관련 금융 및 자금 조달 촉진

BURSA(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CSI를 통해 투자 유치

(C4) 탄소 중립 기술 홍보

탈 탄소화 과정 설계

MITI, NRECC, UNITEN, MOSTI, 관련 대학

친환경 기술 R&D를 위한 샌드박스 구축

Market

Mechanism

(D1) 탄소 가격 측정 지표 도입

탄소 가격 메커니즘의 경제 영향과 탄소 배출량 감축에 따른 비용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MOF, NRECC 및 세계은행과 협력하여 탄소 가격 지수(Carbon Price Index, CPI) 설계

MITI, MOF, NRECC, World Bank, BURSA

탄소 거래, 탄소세 및 탄소 상쇄 메커니즘의 장점에 대한 업계의 인식 제고

기업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도록 자발적 탄소 시장(Voluntary Carbon Market, VCM)장려

(D2) SDG 투자자 지도 도입

MIDA UNDP와 협력하여 IOA(투자 기회 영역)을 식별하는 SDG 투자자 지도 개발 후 기관 플랫폼에서 이를 제공

MITI, MIDA, UNDP, FIs, SC, 투자자


 [자료 : I-ESG Framework,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구성]

 

말레이시아의 ESG 도입 현황 및 추이


말레이시아 정부는 I-ESG 프레임워크 발표 이전부터 여러 정부 정책에서 기업이 지향해야 할 ESG 목표들을 제시해 왔다. MADANI 경제정책, 말레이시아 제12차 개발계획, 국가 에너지 전환 로드맵(NETR), 그리고 신산업 마스터 플랜(NIMP) 등에서 환경, 사회, 거버넌스 요소의 다양한 ESG 목표를 엿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의 기존 ESG 도입 현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 말레이시아 ESG 동향. 


ESG를 중시하는 세계적인 추세와 정부의 ESG 경영 요구로 인해 말레이시아 기업들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ESG 관행 수용을 확대해왔다. 실제로 FTSE RUSSELL(ESG 점수 평가 사설 기관)에서 2022년에 발간한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기업들의 평가 점수는 2018년 이래로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22년에는 2018년 점수보다 33.7% 상승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ESG 관행 도입은 아직 더딘 편이다. Rafizi Ramli 말레이시아 경제부 장관은 지난 6ESG 관련 질의응답에서 일반적으로 중소기업 사이에서는 ESG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ESG 실천 성과가 낮은 수준임을 밝혔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중소기업 사이에서 ESG 채택을 장려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를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바로 I-ESG 프레임워크가 될 것이다.

 

시사점


기존 정책들이 주로 어떤 ESG 목표들을 달성해야 하는지 제시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 I-ESG 프레임워크에서는 ESG 경영에대한 실질적인 평가와 지속가능성 보고체계 관련 정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이번 I-ESG 프레임워크 보고서에서는 중소기업들의 현재 ESG 경영 도입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로 하여금 일정 기간 내 국제적 표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 경영을 실천하게끔 유도하고자 하는 정부의 노력이 보인다. 이에 따라 가장 핵심적인 I-ESG 프레임워크의 이행 전략은 상기 도표에서 A1A2로 표기된 I-ESG ready(ESG 준비도 평가 프로그램)I-ESG start(지속가능성 보고서 초기 지침)라고 할 수 있다.


지속가능성 보고서 작성은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다. 정부도 아직 기업들을 대상으로 ESG 준수 관련 사항을 법제화할 계획이 없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정부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까지 ESG 경영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정하고 있으므로 관련 정책이 의무화될 가능성이 없는 것이 아니다. 특히 올해 초 EU에서는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RSD) 법이 발효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가 의무화 되었다. CRSD에 따라 EU 기업들은 2024년 회계연도부터 2025년까지 지속가능성 관행에 대해 보고를 의무적으로 작성하게 되며,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EU 진출 외국 기업 또한 보고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말레이시아가 현재 ESG 관련 정책에서 상당 부분 EU의 정책들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는 점을 착안하면 말레이시아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외국기업들은(한국기업들 포함)은 근 미래에 관련 ESG 정책들이 의무화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말레이시아 내 대기업의 ESG 경영 수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과 반대로 중소기업의 수용은 더디다. 이와 비슷하게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한국의 대기업들은 말레이시아 정부가 요구하는 ESG 경영을 실천하여 성과도 발표한 바 있는 한편, 중소기업은 현재 더딘 편이다. 이번에 발표 된 I-ESG 프레임워크가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까지도 ESG 관련 정책들을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증대 되었음을 시사한다. 지속가능한 경영체계 수립이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환경 속에서 진출기업들이 정부의 ESG 요구사항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것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여타 아세안 국가들로의 판로 개척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자료원 : 말레이시아 I-ESG Framework,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SB), 말레이시아 투자청(MIDA),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i ESG Framework 소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