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요소 공급망 동향
  • 트렌드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3-07-12
  • 출처 : KOTRA

요소 산업 친환경 전환 가속

중국 요소 산업 현황

 

중국은 전 세계 44%의 요소를 생산하는 요소 생산 대국이자 주요 수출국이다. 중국 비료협회 발표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요소 생산량은 5600만 톤에 달했으며, 2023년 상반기 생산량은 2971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만 톤이 증가했다. 2023년 예상 생산능력은 7738만 톤으로 전년 대비 362만 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요소 생산 능력 및 생산량 추이>

(단위: 만 톤)



[자료: 베이팡농즈저우간(北方农资周刊), 중신졘서터우치훠(中信建投期)]

 

중국은 요소 생산 시 사용 에너지와 원자재에 대해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고 있고, 국가 보조금 지원 조건도 까다로워지고 있다. 또한 요소 생산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강화된 에너지 절약 정책과 배출 감소 정책 적용은 요소 생산에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요소는 중성소재 비료의 원료로 토양에 유해한 물질을 남기지 않지만, 주요 원료가 석탄이기 때문에 생산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석탄 및 천연가스 등 대량의 화석에너지가 소비되며, 생산 과정에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요소 생산기업의 오염원에 대해 엄격한 환경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동시에 생산기업에 에너지 절약과 배출량 감소, 친환경 생산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때문에 중국의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효율성 개선과 저탄소 경제 추세가 요소산업에도 적용돼 고효율 친환경 제품이 산업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소비동향

 

2022년 중국 요소 소비 구조를 분석해보면, 농업분야 소비가 4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 내 식량생산이 확대되면서 농업분야 사용 비중이 증가했다. 다음으로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사용 비중은 전년 대비 1.33% 감소한 20%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복합비료 사용 비중은 전년 대비 0.18% 증가해 전체의 17%를 차지했다. 멜라민은 7%, 차량용 요소 2%, 전력 탈질 2%, 기타(사료, 시안 산, 발포제 등)가 4%의 비중을 차지한다.

 

<2022년 중국 요소 소비구조>

[자료: 룽중즈쉰(隆众资讯)]

 

가격동향

 

지난 2년간 중국 요소 가격은 크게 변동해왔다. 2021년 초 중국의 요소 가격은 톤당 2000위안(약 36 )이었으나, 2021년 10월에는 톤당 3000위안(약 54만 원) 이상으로 상승세를 보이다 이후 2000위안(약 36만 원) 대로 급락했다. 2022년 5월까지 중국의 요소 가격은 톤당 3200위안(약 57만 원) 이상으로 상승했다가 7월에 톤당 2500위안(약 45만 원) 수준으로 하락했다. 중국 요소 가격 변동의 주요 원인은 지난 2년간 반복된 코로나 유행, 국제 에너지 수급 경색, 원자재 가격 상승, 중국 내 환경 규제, 인플레이션 등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현지 전문가들은 판단했다.

 

<2021~2023년 상반기 중국 요소 가격 추이>

(단위:위안/톤)

[자료: 바이인포(BAIINFO)]

 

요소 주요 생산지역 

 

중국 주요 요소 생산지는 화북지역과 서북 지역에 집중돼 있다. 화북지역과 서북지역 두 지역의 요소 생산 능력은 중국 전국 총 생산능력의 68%를 차지한다. 원료 생산지역, 판매지역과 인접해 있어 두 지역중내에서도 특히 네이멍구(蒙古)와 산시(山西)에서 주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2022년 실제 생산량 기준으로는 네이멍구, 산시, 산둥, 신장, 허난 등 5개 지역의 생산량이 전국 총 요소 생산량의 55.3%지했다.


소비지역 분포 현황을 보면, 농업용 요소 사용지역으로는 주로 황하 중하류, 양쯔강 중하류, 북동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 북부지역의 산업 및 농업용 요소 수요 분포는 중국 전체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성별 요소 소비 상위 5개 성은 산둥, 허난, 장쑤, 안후이, 베이 등이다.

 

<요소 성별 생산량 분포>

(단위: 만 톤)

[자료: 베이팡농즈저우간(北方农资周刊)]

 

중국 요소 수출 동향

 

중국은 매년 약 500만 톤의 요소를 수출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중국 요소 수출액은 15억5721만 달러였고, 2023년 상반기 수출액은 4억4207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041만 달러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액을 보면 한국은 중국 요소 수출 1위국으로 총수출액 중 17.8%를 차지하고 있다. 이어 인도, 미얀마, 멕시코, 호주, 필리핀, 일본, 칠레, 대만, 스리랑카 순으로 요소를 수출하고 있다.   


<중국 국가별 요소 수출 동향(HS Code 31021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0

2021

2022

증감률

'22년/'21년

2023년 상반기


총계

1,421,899

2,144,486

1,571,207

△26.7

442,078

1

한국

142,323

246,021

240,417

△2.3

78,919

2

인도

766,826

1,174,299

680,514

△42

71,344

3

미얀마

57,259

21,548

40,092

86

29,949

4

멕시코

101,209

160,100

9,414

△94.1

27,504

5

호주

37,453

50,416

30,910

△38.7

26,206

6

필리핀

16,278

23,902

46,191

93

25,807

7

일본

44,217

51,536

53,779

4.4

24,594

8

칠레

38,419

95,357

12,822

△86.6

21,146

9

대만

16,146

28,974

48,192

66

17,738

10

말레이시아

10,328

8,952

44,468

397

16,840

[자료: KITA (기준일: 2023.8.1.)]


시사점

 

요소는 농업 생산에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화학비료 원료로 중국은 세계 최대의 요소 생산 및 소비국가이다. 중국 요소 산업은 이미 자급자족을 실현했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외부적으로는 식량 수급, 원자재 수급 불균형 문제, 내부적으로는 친환경 정책으로 인해 요소 산업은 중국에서 주목받는 산업 중 하나이며 정책적으로 수출을 관리하는 품목이기도 하다. 


현재 중국의 요소 수출 관련 정책을 살펴보면 첫째, 요소 수출 허가제도를 실시하고 있어 수출을 위해서는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 수출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수출자의 자격, 제품 품질, 수출 수량 및 가격 정보를 사전에 허가 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둘째, 요소에 대해 약 10%의 수출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셋째, 요소 수출 할당량이 지정돼 있어 일정한 양 만을 수출할 수 있다. 또한, 2023년 5월 5일 중국 해관 총서는 요소를 포함한 비료의 수출입 검사에 통일된 방식을 적용하는 ‘수출입 비료 검사 규정’을 발표했다. 


비료 수출입 진행 시 법률, 수출입 통관 검사 및 소요시간, 검사 표준을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2023년 12월 1일 시행되며, 향후 중국에서 요소 수출 시 법적으로 검사와 규제가 진행될 것이다. 중국의 내부적인 수출 정책 외에도 국제 요소 수요와 가격이 중국의 요소 수출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지 공급망 분석 전문가 리우슈위엔에 의하면 ‘최근 유럽 지역의 비료 수요 성수기가 지났고, 인도에서 대량으로 요소 수입 입찰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돼 국제 요소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국제가격과 국내 요소 가격이 역전되면서 중국 내 생산자들이 요소 수출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며 요소 수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했다.

 

2021년 이후 중국에서 수입하는 주요 품목들에 대해 공급망 다양화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농업, 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전히 요소가 사용되는 만큼 중국의 수출 정책과 수출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료: 베이팡농즈저우간(北方农资周刊), 룽중즈쉰(隆众资讯), KITA, 성이서(生意社) KOTRA 항저우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요소 공급망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