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베트남 리튬-이온 배터리 산업 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고우람
  • 2023-03-27
  • 출처 : KOTRA

전기차(EV)와 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으로 견인되는 베트남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

배터리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주요 기업들의 탈중국 움직임, 대체투자자로서의 베트남이 얼마나 기능할지 귀추가 주목

 상품명 및 HS Code


HS 코드

품명

8507.60

리튬-이온 배터리

(격리판을 포함하며,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인지에 상관없다)

 

시장 동향


아직 베트남 배터리 시장은 리튬-이온 전지보다 납축 전지가 이끌고 있다는 의견도 많다. 수요자(바이어)에게 두 배터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에너지밀도와 가격이다. 비용을 많이 들여서라도 높은 에너지밀도를 필요로 하는 산업이라면 리튬-이온 전지를 써야겠지만, 그렇지 않다고 하면 납축 전지를 쓰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지게차나 골프 카트에는 두 배터리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지게차나 골프카트는 구조적으로 높은 에너지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베트남 바이어는 비용이 낮은 납축 전지를 주문하는 비율이 압도적이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베트남 리튬-이온 전지의 전방 산업은 높은 에너지 밀도의 배터리가 필수 불가결한 산업으로 한정지어야 한다.


세계적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시장은 전기차(EV)가 이끌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로 2차전지 ‘22년 세계시장 규모는 820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6년까지 연평균 15.6%의 성장을 거듭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 중국, 일본의 메이져 기업이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과반을 점유하고 있는데 거듭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생산이 더 간단해지고 비용이 효율적인 구조로 변화되었다. 특히 중국은 2차 전지의 원재료 및 소재 공급망까지 장악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미국과 EU 등 주요국은 배터리의 공급망 확충과 자급을 위해 움직이는 등 블록화되는 추세이다.

 

<2011~2020년 리튬-이온 배터리 가격 추이>

(단위: 달러)

[자료: Bloomberg]

 

베트남의 리튬-이온 배터리 전방산업은 전기차와 ESS

 

1) 전기차에 대한 빈그룹(VinGroup)의 투자 확대


빈그룹의 자회사인 자동차 제조기업 빈패스트(VinFast)는 2022년 1월 내연 자동차 생산 중단을 발표했다. 2023년 말까지 모든 내연기관 생산시설을 폐쇄하고 전기차 생산에 집중할 것이라는 내용이다. 이에 2022년 7월 내연기관 차량 주문 접수를 중단하면서 전기차 완전 전환 계획의 시작을 알렸고 같은 해 11월 SUV 전기차 모델 999대가 미국으로 수출되면서 전기차 수출의 첫 발걸음을 내딛었다. 빈패스트는 2022년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 참가해 5종의 전기차 모델을 전 세계에 처음으로 선보였고 2023년에도 4종의 전기차 모델을 공개하면서 전기차에 대한 해외시장 진출 의지도 보이고 있다.


빈패스트(VinFast)는 수직적 계열화를 위해 배터리 생산에도 뛰어들었다. 비교적 늦게 전기차 시장에 뛰어든 빈패스트는 해외 배터리 메이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도약을 도모하고 있다. 빈패스트는 2019년에는 LG 에너지솔루션과 배터리팩 합작사 VLBP(VINFAST LITHIUM BATTERY PACK)를 설립하였다. 베트남 하이퐁에 있는 빈패스트 공장 내 배터리 생산설비와 재고 관리는 빈패스트가 맡고 LG 에너지솔루션으로부터 기술지원, 관리감독, 직원교육 등을 지원받는 형태다. 


이어 배터리셀 제조를 위해 빈에너지솔루션(Vin Energy Solution, VinES)을 설립하고 중국의 Gotion High-Tech와 함께 배터리 자체 생산을 위한 베트남 최초의 공장을 짓고 있다. 총 2단계로 이루어진 배터리 공장 건설 프로젝트는 1단계에서 약 1억6960만 달러, 2단계에서는 약 2억5520만 달러를 투자하여 연산 5GWh 규모, 연간 100만 개 배터리 팩 생산을 최종 목표로 한다. 2023년 4분기까지 완공, 설비 도입 및 시험가동을 거친 뒤 2024년 3분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아울러 빈패스트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에도 참여하는 모양새다. 2022년 7월에는 대만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업체인 Prologium과의 협약 체결을 통해 투자를 한 것으로 알려지며, 2022년 11월에는 중국의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과의 협약을 체결하여 CTC(Cell to Chassis) 배터리 개발을 협력할 예정이다. 후방 산업과 관련해서는 최대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인 Li-Cycle사와 VinES(Vin Energy Solution)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Vines는 배터리 제조와 더불어 폐쇄형 루프 모델을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

 

2) 탄소제로화 목표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개발 증가


베트남은 2021년 11월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 회의에서 2050년까지 넷제로(Net Zero) 달성 목표를 선언하면서 베트남 각지에서는 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제8차 국가 전력 발전 계획의 초안에는 바이오매스,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재생 에너지 활용을 늘리며 특히 2030년까지 태양광과 풍력의 발전 용량을 각각 18.6GW와 18.0GW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중 해상 풍력 발전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베트남은 3000km가 넘는 해안선과 산악 지형 덕분에 풍력을 활용하기 좋은 기후와 지형을 갖고 있다. 메콩강 삼각주의 연안 지역은 풍력 발전에 중요한 지역으로, 베트남 정부는 2022년과 2023년에 속짱(Soc Trang)성에 설치될 풍력 발전소 건설 사업의 20건을 승인하였다. 닌투언(Ninh Thuan)성에서는 2021년에 151.95MW를 생산하는 베트남 최대의 풍력 발전소가 운영을 시작하였다.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발간한 베트남 해상풍력 로드맵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해상 풍력과 육상 풍력의 발전량은 각각 1GW와 1.26GW에서 2030년까지 5~19GW와 17.34GW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2050년 베트남 풍력발전 장기 고성장 시나리오>

(단위: 왼쪽: 연간설치용량(GW), 오른쪽: 누적가동용량(GW))

 

주: Nearshore-육상풍력발전, Fixed–고정형 해상풍력발전, Floating-부유식 해상풍력발전, All–전체

 [자료: World Bank]


재생 에너지 발전은 그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고 발전된 전력을 소모하거나 비축하지 않으면 발전된 전력이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저장 시스템은 필수적인 요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를 활용하는데 이는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한 후 필요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신재생에너지의 발전과 함께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장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수입 동향


1) 주요 수입국

2022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속하는 HS Code 8507.60 제품군에 대한 베트남의 전체 수입 규모는 40억4353만 달러이다. 이 중 최대 수입 대상국은 중국으로 전체 수입규모의 약 61%(24억7647만 달러)를 차지하며 수입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2년 상위 수입국인 중국, 말레이시아, 홍콩, 독일에서의 수입 규모는 2021년 대비 10% 이상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하지만 대한국 수입은 2021년 대비 13% 상승해 호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2021년 대비 수입이 13배 증가하면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2020~2022년 베트남의 리튬-이온 배터리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

총계

2,832,424

4,398,159

4,043,539

100.00

100.00

100.00

-8.1

1

중국

1,383,499

2,862,367

2,476,477

48.85

65.08

61.25

-13.5

2

한국

446,903

369,776

418,052

15.78

8.41

10.34

13.1

3

말레이시아

353,339

383,015

341,297

12.47

8.71

8.44

-10.9

4

홍콩

99,795

240,253

198,973

3.52

5.46

4.92

-17.2

5

독일

115,783

142,065

77,699

4.09

3.23

1.92

-45.3

6

일본

5,159

4,805

68,650

0.18

0.11

1.70

1328.7

7

폴란드

10

3,494

8,561

0.00

0.08

0.21

145.0

8

대만

1,144

4,117

4,717

0.04

0.09

0.12

14.6

9

싱가포르

15,303

4,469

3,853

0.54

0.10

0.10

-13.8

10

유럽연합

0.3

214

1,784

0.00

0.00

0.04

732.9

[자료: World Trade Atlas]

 

한국 수입 동향


<2018~2022년 HS CODE 8507.60 한국산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수입액

294,909

436,536

349,390

349,021

420,973

증감률

-

48.0

-12.0

-0.1

20.6

[자료: 통계청]

 

베트남의 리튬-이온 배터리 대 한국 수입 동향은 2019년 정점을 찍은 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전반적인 베트남 산업들의 위축으로 인해 그 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며, 팬데믹 이후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물량은 베트남 FDI 기업(한국 진출기업 등)으로의 납품 및 자사 간 거래의 성격을 띄며, 핸드폰 및 가전기기용 배터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파악된다.

 

베트남 내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업체


1) 한국 기업


1

기업명

삼성 SDI

웹사이트

https://www.samsungsdi.co.kr

진출형태

생산법인

내용

- 베트남 북부(박닌성)에 위치한 100% 한국투자기업

- 제품: 핸드폰, 노트북, 배터리로 작동되는 공구, 전기 자전거, 전동 리프트에 사용되는 고성능 2차 전지

2

기업명

ITM SEMICONDUCTOR VIETNAM CO., LTD.

웹사이트

it-m.co.kr, eng.it-m.co.kr

진출형태

생산법인

내용

- 베트남 북부(Bac Ninh)에 위치한 100% 한국 투자 회사

- 제품: 핸드폰용 배터리팩 및 셀,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PMP(Protection Module Package),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Switch) 등 배터리팩용 부품

3

기업명

YOUNGBO VINA CO., LTD.

웹사이트

www.youngboeng.com

진출형태

생산법인

내용

- 베트남 북부(박닌성)에 위치한 100% 한국투자기업

- 제품: 핸드폰용 배터리팩

4

기업명

DONGHWA ES VINA., LTD

웹사이트

www.dh-corp.kr

진출형태

생산법인

내용

- 베트남 북부(하이즈엉)에 위치한 100% 한국투자기업

- 제품: 가전제품 및 핸드폰용 리튬배터리팩

5

기업명

VINFAST LITHIUM BATTERY PACK CO., LTD. (VLBP)

웹사이트

확인불가

진출형태

생산법인

내용

- 베트남 북부(하이퐁시)에 위치한 LG와 VinFast의 합작회사

- 생산품: 전기오토바이용 수입소재의 배터리팩

6

기업명

세방 배터리 비나

웹사이트

https://sebangbatteryvina.com

진출형태

생산법인

내용

- 베트남 북부 동나이성에 위치한 100% 한국투자기업

- 제품: 납축전지(베트남), 리튬배터리(한국)

- 사업 전개 전략: 2025년부터 베트남 리튬이온전지 제조


2) 베트남 기업


1

기업명

VINES ENERGY SOLUTIONS JSC

웹사이트

https://vines.net.vn/

진출형태

생산법인

내용

- 빈그룹 자회사, 빈패스트 전기차에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예정

- 현재 공장 건립 중(2023년 4분기 완공, 2024년 가동 예정)

- 연산 5GWh 규모, 연간 100만개 배터리팩 생산 목표


3) 외국 기업


1

기업명

VISION TECHNOLOGY JSC (VISION-TECH JSC)

웹사이트

https://vision-tech.vn/

진출형태

생산법인

내용

- 중국 기업

- 제품: 리튬 배터리

- 골프카트에 이용되는 배터리팩 제조

 [자료: 각 사 홈페이지, 호치민 무역관 종합]


관세율


한국에서 HS Code 8507.60을 수입할 경우 무관세가 적용되며, VAT 10%가 붙는다. 


HS Code

품목명

MFN

VAT

AKFTA

VKFTA

RCEPT-E

8507.60

리튬-이온 축전지(격리판을 포함하며,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인지에 상관없다.)

0

10

0

0

0


 

시사점


베트남의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은 아직 생산기반이 미비하더라도 전기차 산업과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가능성을 볼 때 확장성이 다분하다. 빈패스트의 사업 영역 확장 및 신규투자는 우리 소재, 부품 기업이 새로운 밸류체인(Value Chain)에 편입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주요국의 탈중국 움직임이 활발한 시점이라 베트남이 얼마나 대체투자처로서 기능하게 될지 주목해야 한다.


또 하나의 가능성은 베트남 광물 자원이다. 인도네시아가 동남아에서 전기차 공급망의 핵심지역으로 급부상하는 이유 중 하나는 풍부한 니켈 매장량이다. 베트남도 과거 수익성이 없다 평가되던 니켈 광산을 호주의 광산업체 블랙스톤 미네랄스(Blackstone Minerals)와 함께 다시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니켈 뿐 아니라 코발트, 망간 등 배터리 주요 원자재에 주목하고 있다. 2025년부터  18000톤의 니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니켈 광산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



자료: Bloomberg, World Bank, 현지 언론, World Trade Atlas, 통계청 등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리튬-이온 배터리 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