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2년 러시아 항만 및 철도 물류 동향
  • 경제·무역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2-11-02
  • 출처 : KOTRA

러시아 항만수송은 2022년 1-9월 전년동기 대비 0.5%감소한 6억 192만톤이며, 특히 상트페테르부르크 항구를 통한 컨테이너 운송량은 작년 동기대비 36.7% 감소

2022년 1-9월 러시아 철도 수송량은 전년동기대비 3.6% 감소한 9억 2천만톤

2022년(1-9월) 러시아 항만 물류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주요 선사들은 러시아로 물류운항을 중단하거나 컨테이너 운송을 줄였다. 이러한 여파로 인해 유럽과 인접한 발트해 유역 및 상트페테르부르크항의 컨네이너 화물운송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30% 급감하였다. 반면 항만 운송량은 전년대비 0.5% 감소한 6억 192만톤으로 급격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은 상황이다. 이중 수출화물이 4억 9180만톤(전년동기 대비 -0.4%), 수입화물은 2679만톤(-10.2%), 통과화물은 4460만톤(-4.7%), 카보타지 화물은 5620만톤(+8.6%)이다. 화물종류별로는 건화물 운송량이 2억 9330만톤(-5.5%)이며 그 중 석탄 1억 5030만톤(-2.6%), 곡물 1억 8700만톤(-10.8%)을 차지했으며 액체화물 수송량은 3억 2590만톤(+4.6%)이며 이 중 주요 품목으로는 원유가 1억 9260만톤(+10.8%), 석유제품이 1억 270만톤(-7.1%)을 차지했다.

<주요 선사별 대러 물류중단 현황>


국가

회사명

내용

발표일

스위스

MSC

러시아 출발도착 화물 예약 중단

* 발트해와 북해, 극동 러시아 등

러시아로 접근하는 모든 해역에 적용

** 식량과 의료인도적 물자는 예외

3.1

덴마크

Maersk

러시아에서 운영 중단, 러시아 내 자산 매각 결정

3.22

프랑스

시엠에이(CMA CGM)

안전상의 문제로 러시아 화물 운항 중단

* 식량과 의료인도적 물자는 예외

3.1

싱가포르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ONE)

러시아 운항 중단

2.28

독일

하이크로이드(Hapag-Lloyd)

러시아 운항 중단

2월말


[자료원: 모스크바 무역관 자체 자료]

 

<건화물 수송량(2022.-1-9월)>
(단위 : 백만톤)

 

[자료원: 러시아 해양무역항구협회 홈페이지]

 

<액체화물 수송량(2022.-1-9월)>
(단위 : 백만톤)

 

[자료원: 러시아 해양무역항구협회 홈페이지]

 

  

<주요 항만별 물류 흐름1: 극동항구>


[자료원: alta.ru]


러시아 극동 항구는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주요 해상 관문의 입지를 다졌다. 블라디보스토크 항구의 가장 큰 터미널을 통한 컨테이너 수입은 지난 3개월 동안 1.5배 증가했다. 외국 해상 운송업체의 운송이 중지된 이후 “Fesco”와 “Sinokor” 선사가 주요 물류 업체가 되었다. 극동항구를 통한 주요 반입 국가는 중국, 방글라데시, 인도, 베트남이다. 해상 운송 기간은 다음과 같다.

<운항로별 해상 운송 기간>

중국 – 블라디보스톡

10-12일

인도 – 블라디보스톡

33-35일

베트남 – 블라디보스톡

23-25 일

방글라데시 – 블라디보스톡

45-55 일

 [자료원: 각 물류사 및 모스크바무역관 자료 종합]


<주요 항만별 물류 흐름2: 노보시비르스크 항구>

 

[자료원: alta.ru]


흑해에 위치한 노보로시스크 항구로 들어오는 화물은 주로 튀르키예발이며 그외 중국, 아랍에미레이트, 이탈리아발 화물이 들어오고 있다. 제재로 인해 외국선사가 러시아산 물품 운송을 하지 않음에 따라 수출운송은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주요 항만별 물류 흐름3: 상트페테르부르크 항구>

[자료원: alta.ru]


유럽과의 물류운항이 중심인 상트페테르부르크 항만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정기 컨테이너 운송을 거의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화물운송량이 전년동기대비 30% 가량 급감하였다. 주로 컨테이너 운송량이 줄었으며 기타 석유 및 석탄 등의 제품 운송도 줄어들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이용하던 일부 운송은 흑해의 노보로시스크항구와 튀르키예로 방향을 바꾸었다..

 

<2021-2022년 1-9월 해역별 수송량(2022.-1-9월)>
(단위 : 백만톤)

[자료원: Infra News]

 

 

2022년(1-9월) 러시아 철도 물류 현황

러시아 철도(RZD)의 2022년 1-9월까지 운송량은 전년동기대비 3.6% 감소한 9억 2120만톤이다. 건설화물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화물이 하락추세이다. 주요 감소원인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EU국가 등으로의 수출감소에 기인한다.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 철도의 석탄 운송량은 전년동기대비 5.9% 감소한 2억 6050만톤이며 석유와 석유제품의 운송량은 작년 수준과 비슷한 1억 6천만톤이며 철광석과 망간 광석의 운송량은 전년 동기대비 3.9% 감소한 8670만톤이었다.  


<2021-2022년 1-9월 러시아 철도 품목별 운송량(단위 : 백만톤)>

[자료원: Seanews]


<2021-2022년 1-9월 러시아 철도 운송량(단위 : 천톤)>

[자료원: 러시아 통계청]

2022년(1-9월) 러시아 철도 물류 변화

러시아 철도물류 운송량은 전년동기대비 감소세를 시현하고 있다. 이러한 감소세의 이유는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럽 시장으로 향하는 운송량의 감소에 기인한다. 러시아 남부와 동부 지역 철도 운송량이 증가했는데 이는 노보로시스크항구로 향하는 화물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아조프 흑해 항구쪽으로 가는 북카프카즈 철도의 수출수송량이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전년동기 대비 2.5% 증가했으며 주로 석탄, 광석, 등이 증가했다 아울러 철도의 1-5월까지의 철도의 컨테이너 운송량은 전년동기 대비 5.9% 증가한 104만 TEU에 달하는 반면 컨테어너 공급은 증가량을 따라가지 못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러시아가 컨테이너 부족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2022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물류 동향 관련 현지 물류회사 인터뷰 


공통질문 1. 러 항만 및 철도 운송량이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과 대비하여 큰 변화가 없는 원인은?

            2.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물류동향의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인가?

n  (현지물류회사 A)

1. 유럽으로가는 물량이 준 대신 중국 혹은 동남아쪽 물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임

2.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물류동향의 큰 변화는 글로벌 선사의 운행중단, 유럽으로 향하는 운송의 급감 제재로 인한 반입품목의 제한을 꼽을 수 있음

n  (현지물류회사 B)

1. 러시아의 해운 및 철도 수송량의 변화가 미미하다는 것은 동사도 느끼는 바이며 이는 유럽과의 감소된 물류량을 중동 혹은 아시아와의 증가된 물류량으로 상쇄하였기 때문으로 보고 있음

2.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물류동향의 큰 변화는 러시아로 운행하는 대형 물류업체의 수가 줄었다는 점과 아시아 국가들과의 철도 운송량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을 들 수 있음

n  (현지물류회사 C)

1.     동 사는 해상 및 철도 물류보다 항공물류를 취급하고 있음. 비록 항공으로의 운송량은 전체 운송량의 1% 미만이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급감하였음

* 2022년 1-6월까지 러시아 항공화물운송량은 전년동기대비 56.4% 감소한 18억 t-km임

2. 주된 물류루트가 변경되었고 물류비용 증가 및 배송시간이 증가하였음. 또한 특이사항으로 많은 고객들이 유통업체를 우회해서 받을 수 있는 병행수입 사업을 시작하였음

 

시사점

러시아 항만 및 철도 물류는 운송량으로 볼 때 우크라이나 이전과 이후의 차이가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대러 제재로 인해 러시아와 서방과의 운송량이 줄어든 대신 아시아 국가 및 기타 국가들과의 운송량이 증가하여 이를 상쇄한 효과로 보인다. 또한 현지 물류회사들의 인터뷰 등을 통해 종합해볼 때, 물류는 대형선사들의 러시아 운행 중단 등의 제재에 대응하여 새로운 물류루트를 활성화하는 등 외부 환경에 대해 일종의 ‘물류의 적응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과의 운송량이 많았던 상트페테르부르크항 대신 노보로시스크항 혹은 블라디보스토크항으로 물류량을 늘이는 방식이 사례가 될 것이다. 우리 수출기업들도 변화된 물류 루트, 컨테이너 부족, 정치적 경제적 변수 등 돌발사태가 발생할 여지가 많은 만큼 러시아의 물류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자료원: alta.ru, 러시아 통계청, Seanews, 러시아 해양무역항구협회, 모스크바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2년 러시아 항만 및 철도 물류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