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다이오드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2-09-26
  • 출처 : KOTRA

중국 정부 다이오드 시장 국산화를 위해 재정 투입

다이오드 패키징 공정 기술은 중국이 선두권


상품명 및HS Code

 

상품명

HS코드

(한글)다이오드

(중문) 二

854110

                   *감광성 다이오드나 발광 다이오드는 제외

 

시장규모 및 동향

 

다이오드는 핸드폰, 컴퓨터, 가전제품 등 다양한 소비전자 제품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제조, 스마트교통, 의료전자 등 신흥산업에도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중국 다이오드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9.9% 증가한 978억 위안(약 19조 원)으로 조사되었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2020년 잠깐 -3.1% 하락했다가 2021년에 들어서 다시 플러스로 전환됐으며 2022년에는1,024억 위안(약 2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17~2022년 중국 다이오드 시장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은 다이오드 제품의 국산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미국의 반도체소자에 대한 무역제재와 코로나 19로 인한 수입산 다이오드 조달이 어렵게 되면서 국산화가 더욱 절박해졌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다이오드, 전자집적회로 등 반도체 관련 기업 기술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중국 정부는 119개 사 반도체기업을 대상으로 총 149억1,100만 위안(약 2조 9,763억 원)의 기술개발 지원금을 지급했다.

 

또한 기업들도 제품 연구개발에 자금 투입을 늘리고 있다. 특히 SiC 분야에서 대다수의 대형 다이오드 기업은 연구개발 자금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국산 다이오드 시장의 집중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패키징 공정 기술은 중국이 전 세계에서 앞선 수준으로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수입동향

 

중국 다이오드 수입액은 최근 3년간 증가 추세이다. 2021년 기준, 수입액은 전년대비 26.6% 증가한 44억3661만1000달러(약 6조1057억 원)이다. 주요 수입국은 대만, 말레이시아, 일본, 태국, 한국 순이다. 상위 10대 수입국으로부터 수입한 금액이 전체 수입액의 39%를 차지했다.

2021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22.3% 증가한 1억4325만8000 달러(약 1971억 원)으로 국가별 수입액 5위를 차지했다.

 

<중국 다이오드 국가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2019

2020

2021

2022년/2021년

총계

3,319,635

3,504,113

4,436,611

26.6

1

대만

310,569

344,398

440,118

27.8

2

말레이시아

298,046

321,755

407,208

26.6

3

일본

174,355

238,854

297,253

24.4

4

태국

116,303

127,737

150,163

17.6

5

한국

128,837

117,105

143,258

22.3

6

필리핀

102,406

94,037

103,343

9.9

7

베트남

37,618

43,433

55,493

27.8

8

오스트리아

25,407

24,428

39,782

62.9

9

프랑스

21,304

33,217

39,241

18.1

10

독일

27,914

26,662

33,233

24.6

[자료: KITA]

 

경쟁기업

 

중국은 쟝수성(江省),저장성(浙江省), 광둥성(广省) 3개 지역에 중국 전체의 약 66% 다이오드 생산기업이 소재한다. 중국산 다이오드는 가격경쟁이 심하고 주로 중저가 제품으로 시장 포지션을 잡고 있다. 둥관증권(券)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중국 다이오드의 수출 평균 단가가 0.0138달러로 수입 평균 단가 0.0191달러에 비해 현저히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주요 다이오드 생산기업은 화룬웨이전자(华润子), 양지예과기(杰科技), 졔졔웨이전자(捷捷微子), 스란웨이전자(士子), 화웨이전자(子) 등이 있다.

중국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주요 해외브랜드는 Vishay, ROHM, Onsemi, infineon, NXP, TOSHIBA 등이 있다. 한국산 브랜드는 LG, SAMSUNG, KEC, DAWIN등이 있다.

 

 

<중국 다이오드 주요 생산기업>

기업명

대표 제품

소개

화룬웨이전자

(华润电子)

- 기업소재지: 쟝수성(江)

- 설립연도: 2002년

- 특징: 당사는 2020년에 상장했고, 중국 다이오드 생산기업 중 생산규모가 1위임.

양지예과기

(杰科技)

- 기업소재지: 쟝수성(江)

- 설립연도: 1998년

- 특징: 당사는 2014년에 상장했고, 생산 제품은 주로 소비전자제품, 공업자동화 제어, 자동차전장, 신생에너지 등 분야에 활용되고, 내수가 75%, 수출이 25%임.

졔졔웨이전자

(捷捷微子)

- 기업소재지: 쟝수성(江)

- 설립연도: 2010년

- 특징: 당사는 2017년에 상장했고, 주로 일본, 한국, 스페인, 싱가포르 등 국가에 수출중임.

스란웨이전자

(子)

- 기업소재지:저장성(浙江省)

- 설립연도: 1997년

- 특징: 당사는 2003년에 상장했고, 생산한 제품은 주로 가전제품, 공업자동화 제어, 신에너지자동차, 태양광 발전 등 분야에 활용됨. 판매방식은 100% 내수임.

화웨이전자

()

- 기업소재지:지린성(吉林省)

- 설립연도: 1999년

- 특징: 당사는 2001년에 상장했고, 기술직원이 전체의 30%를 차지하며 제품기술 향상에 노력을 기울임. 생산한 제품은 자동차전장, 전력전자, 태양광 발전, 공업자동화 제어 등 분야에 활용됨.  

[자료: .phb123(排行榜123)및 각 업체 홈페이지 등]

 

 

<다이오드 주요 해외 브랜드>

브랜드명

대표 제품

소개

Vishay

(威世)

- 브랜드 소속 국가: 미국

- 글로벌 시장점유율: 10%

- 중국법인: Vishay General Semiconductors

(China)Co.,Ltd.(通用半体中有限公司)

- 진출연도: 1995년

ROHM

()

- 브랜드 소속 국가: 일본

- 글로벌 시장점유율: 8%

- 중국법인: Rohm Semiconductor(Shanghai)Co.,Ltd. (姆半体上海有限公司)

- 진출연도: 1999년

Onsemi

(安森美)

- 브랜드 소속 국가: 미국

- 글로벌 시장점유율: 7%

- 중국법인: On Semiconductor SSL(Shenzhen Nanshan) Co.,Ltd.(深南山安森美半体有限公司)

- 진출연도: 1984년

infineon

()

- 브랜드 소속 국가: 독일

- 글로벌 시장점유율: 7%

- 중국법인: Infineon Technologies China Co., Ltd.

(凌科技有限公司)

- 진출연도: 2003년

NXP

(恩智浦)

- 브랜드 소속 국가: 네델란드

- 글로벌 시장점유율: 7%

- 중국법인: NXP(China)Management Ltd.

(恩智浦(中)管理有限公司)

- 진출연도: 2006년

TOSHIBA

()

- 브랜드 소속 국가: 일본

- 글로벌 시장점유율: 6%

- 중국법인: Toshiba Devices & Storage (Shanghai) Co.,Ltd.(子元件上海有限公司)

- 진출연도: 2017년

[자료: .이룽왕(易容각 업체 홈페이지 등]


 

유통구조

 

중국 다이오드 수입품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구조로 유통하고 있다.

1. 해외 공급 업체-> 중국 자회사(수입업체)-> 대리상-> 딜러-> 최종 사용자

2. 해외 공급 업체-> 대리상->최종 사용자

3. 해외 공급 업체-> 최종 사용자

 

주요 오프라인 유통채널은 전자 부품 전문점, 전자부품쇼핑몰 등이 있다.

코로나 19 이 후로 온라인 거래가 활발해 지면서 전자부품 온라인 쇼핑몰이 많이 생겼다. 주요 온라인 유통채널은 1688(阿里巴巴), ickey(云芯城), ICGOO szlcsc(商城), hqchip(秋商城), allchips (硬之城), xcc(芯查查등이 있다.

 

수입 관세 및 인증제도

관세율

다이오드의 중국 수입 관세율은 최혜국, RCEP, 한중FTA등 협정으로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2022년 중국 다이오드 관세율 비교>

HS Code

관세율

일반세율

MFN(최혜국세율)

RCEP세율

한중FTA세율

854110

30%

0%

0%

0%

[자료: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自由务网)]

 

인증제도

 

중국 세관 세칙에 따르면 수입 다이오드는 중국의 인증을 받을 필요는 없다. 정상적인 수입통관신고를 거쳐 수입이 가능하다.

통관시 필요서류는 1)수출입 경영권; 2)packing list, invoice, 계약서; 3)제품 모델; 4)통관 의뢰서; 5) GTIN, CAS; 6)다이오드 제품 정보 (모델, 수량, 중량 등)

통관절차는 다이오드 수입 통관신청 자료 준비▶수입항 물품 검사 진행▶ 세관신고서류 발급▶수입 통관서류 및 관세 심사 ▶세금 납부▶세관 현장 검사 확인 ▶출하▶지정 목적지까지 배송.

 

시사점

 

중국의 다이오드 시장규모는 전세계 1위이다. 또한 소비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신에너지산업, 자동차전장, 스마트제조, 의료전자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에 대한 중국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중국은 아직 소규모기업이 많아 제품 품질 향상보다 원가 절감에 더욱 신경을 써왔다. 그래서 시중에 판매되는 중국산 다이오드는 중저가 제품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첨단기술 개발을 위한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중국 다이오드 시장은 국산화, 프리미엄화 및 브랜드화의 방향으로 가고 있다. 특히 SiC, GaN등 신재료를 활용해서 생산하는 다이오드의 시장 전망이 밝다.

 

아직도 중국은 다이오드 수입 의존도가 약 30%에 달한다. 거대한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시장 트렌드 변화에 민첩하게 반응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대로 신소재를 활용하여 프리미엄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가성비 높은 제품으로 중국 로컬 제품과 비교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이룽왕(易容), phb123(排行榜123), KITA,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中自由务网) 및 KOTRA항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다이오드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