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식물육 시장동향
  • 트렌드
  • 중국
  • 정저우무역관
  • 2021-12-10
  • 출처 : KOTRA

채식주의 열풍, 식물육(대체육) 산업 주목 받아

주력 소비자 80-95허우(后)가 대부분, 젊은 세대의 새로운 선택

2020년 중국 육류 공급 부족 856만 톤에 달해, 식물육 대체제품으로 뜰까

 

최근 중국요식업협회에서 발간한 <중국요식업발전보고서2020[中国餐饮产业发展报告(2020)]>에 따르면 58%의 소비자는 채식을 좋아하지만 채식주의자가 아니고 채식을 싫어하는 비중은 11.2%로 나타났다. 채식을 좋아하는 소비자 수치만 보더라도 식물육의 시장잠재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데, 2020년 중국 육류 공급 부족이 856만 톤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옴에 따라 식물육이 육류의 대체식품으로 시장이 진일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육류 및 식물육 시장현황

 

중국농업부(中国农业部)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후 생돈 출하량이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 양의 출하량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기준 중국의 생돈, , 양 출하량은 각각 5억2704만 두, 4565만 두, 3만1945만 두를 기록했다.

 

<2016-2021년 중국 생돈//양 출하량 통계>

(단위: 만 마리)

[자료: 중국농업부]


중국세관총서(中国海关总署)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12월 기준 중국 육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39.1% 증가한 96만4000톤을 기록했으며, 2020년 육류 수입총량은 전년 동기 대비 60.4% 증가한 991만1000톤에 달했다. 이를 반영한 듯 중국 육류 공급이 부족한 가운데 향후 해외 수입량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육류 소비 비중을 살펴보면, 중국 내 돈육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국 소비자의 식탁에서 돈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39.57%에 달했다. , 기타 육류의 생산량이 증가세를 드러내지만 돈육 부족을 채울 수 못하는 상황이며, 이는 식물육(대체육)이 돈육의 대체식품으로 급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육류 수입 통계>

[자료: BTC(Beef to China)]

 

<2019년 중국 육류 소비 비중>

[자료: 중국국가통계국(中国国家统计局)]

 

The Good Food Institute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중국 식물육 시장 규모는 약 70억 위안,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14%에 달했으며 뒤퐁(DuPont, 미국의 화학 제품 회사)에 따르면 향후 5년 내 중국, 태국의 식물육 소비는 200%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중국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2025년쯤 중국 식물육 시장규모는 154억 위안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한 바 있다.

 

<2020-2025년 중국 식물육 시장규모 예측>

(단위: 억 위안)

[자료: 쳰잔산업연구원]

 

남성보다 여성 소비자 높음, 젊은 세대가 주요 소비층

 

스타필드(星期零, 중국 인공육 제조회사)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소비자 중 여성 차지하는 비중이 63%에 달하며 80허우(80), 90허후(90), 95허우(95)가 주력 소비자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7%, 20%, 35%에 달했다. 또한 2019년 기준, 입소스(益索普, Ipso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소비자 중 70% 이상은 식물육이 동물보호, 환경보호, 다이어트에 도움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채식주의 열풍이 불고 있어 식물육이 식탁에 오르기 시작하고 이에 대한 중국 내 인지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2020년 중국 소비자 식물육류 제품에 대한 이미지 인지 현황 조사>

[자료: 입소스]

 

<스타필드의 소비자 구성>

[자료: <2021년중국식물육산업통찰백서(2021中国植物肉行业洞察白皮书)>]

 

중국 로컬 기업도 식물육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어

 

현재 중국 로컬 인공육 기업은 식물육과 인공 배양육 위주로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외국 식물육 관련 기업에 비해 기술/제품 품질 수준이 걸음마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국 내 유력 식물육 생산 기업으로는상기에 언급한 스타필드가 중국 인공육 산업의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이외 전통적인 육류/대두 가공품에 종사해온 솽타식품(双塔食品), 진즈햄(金字火腿)사가 식물육을 포함한 인공육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현재 중국 시장 내에 대부분 식물육은 티몰(天猫), 징동(京东), 허마(盒马) 등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중국 식물육 산업사슬 대표 기업>


[자료: 쳰잔산업연구원]

 

허난성식품과학기술학회(河南省食品科学技术学会) 옌이저(闫溢哲) 이사는 KOTRA 정저우 무역관의 인터뷰에서 중국 식물육 시장동향을 제시했다. 우선 중국 소비자들은 북미, 유럽 소비자보다 콩으로 만든 식품을 많이 식용하는 반면, 육류 소비가 적은 편이고 중국 소비자에게는 식물육이 일종 콩제품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중국 내에 플렉시테리안(Flexitarian, 반채식주의자, 채식을 위주로 식사하되 때때로 육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는 다이어트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고 동물보호, 환경보호를 위한 인식이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 점차 보편화되고 있음을 피력했다. 중국의 식물육 시장이 무한한 성장 잠재력이 있지만 아직 초창기라서 해외기업과의 기술, 품목 등 여러 방면에서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한국의 식물육 관련 업체들 또한 허난성을 포함한 중국 식물육 시장 진출 시 기술 이전, 제품 개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중국 인공육 시장의 트렌드를 철저히 분석한다면 안정적인 중국 시장 안착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료: 중국농업부(中国农业部), BTC(Beef to China), 중국국가통계국(中国国家统计局),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입소스(益索普, Ipsos), <2021년중국식물육산업통찰백서(2021中国植物肉行业洞察白皮书)> 등 KOTRA 정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식물육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