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2년 캄보디아 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 경제·무역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이주영
  • 2021-12-06
  • 출처 : KOTRA

높은 백신접종률(80%)를 바탕으로 경제 재개

한-캄 FTA, RCEP 등 무역협정 발효 시 유망상품을 중심으로 양국 무역 확대 예상

신투자법, 디지털 전환정책으로 캄보디아 투자환경 개선

캄보디아는 2020년 코로나19로 관광업 등 산업 전반이 영향을 받으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높은 백신접종률로 관광 등 산업 전반이 재개될 것으로 보이며, 2022년은 경제가 빠른속도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역부분에서는 한-캄 FTA 등이 발효될 것으로 예상되며 캄보디아 교역규모가 성장하고 투자부문에서는 신투자법과 디지털 전환정책으로 투자환경이 개선되며 캄보디아 외국인 직접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캄보디아 경제 현황과 전망


2020년 캄보디아는 코로나19에 따른 해외수요 및 관광객 감소로 -3.5%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으나 2021년은 해외수출이 증가하고 위축된 투자심리가 회복하면서 1.9%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캄보디아 정부는 82.45%의 높은 백신접종률(2차접종완료, '21.11.11. 기준)을 바탕으로 2021년 11월 1일부터 고위험 사업(주점 등)을 제외하고 방역조치 완화 및 재개를 시작하였다. 또한 해외입국자 격리 기간도 기존 14일에서 백신접종자에 한하여 면제되면서('21.11.15.~), 2022년 경제성장률은 5.7%로 예상된다.

2022년 주요 이슈로는 한-캄 FTA, 캄-중 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발효, 신규 투자법, 캄보디아 정부의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 정책이 있다. 이는 코로나19에 따른 불확실성 속에도 경제 전반의 회복을 가속화하면서 2026년 경제성장률이 6.8%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캄보디아 경제성장률

external_image

자료: IMF

 

캄보디아 대외무역 현황과 전망; 한-캄 FTA, 캄-중 FTA 발효예정


2020년 캄보디아 무역수지는 코로나19에 따른 수요감소에 따라 -15억 달러로 이전에 비해 적자폭이 감소했다. 하지만 2021년 1~5월 5개월간 수입액이 크게 증가하여 5개월간 무역수지 금액은 -57억 달러로 적자폭이 증가했다. 2021년(1~5월) 캄보디아의 수출 시장은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캐나다 순이며 주요 수출품은 의류, 가죽제품, 신발, 전자기기 등이 있다. 2021년 1~5월은 플라스틱과 고무제품은 상위 10개 수출품으로 신규 진입하며, 캄보디아 정부 주도의 수출품목 다변화 노력을 일부 확인할 수 있다. 캄보디아의 2021년(1~5월) 주요 수입국가는 전년도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국은 1.9%를 차지하며 수입국가 9위를 기록했다.


캄보디아 대외무역 현황

(단위: USD 백만)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년 1-5월

수출

9,983

11,269

12,708

14,825

17,716

5,982

수입

12,313

14,290

17,393

20,279

19,296

11,767

무역수지

-2,330

-3,021

-4,685

-5,455

-1,580

-5,785

교역량

22,296

25,558

30,101

35,104

37,013

17,750

자료: ITC Trade Map


캄보디아 주요 수입국가

(단위: USD 백만)

순위

국가명

수입액(2021년 1~5월)

비중

1

중국

3,399

28.9

2

싱가포르

2,934

24.9

3

베트남

1,276

10.8

4

태국

1,253

10.6

5

대만

405

3.4

6

스위스

382

3.2

7

일본

274

2.3

8

인도네시아

249

2.1

9

한국

229

1.9

10

홍콩

229

1.9

전체

11,767

100

자료: ITC Trade Map


무역부분 주요 이슈는 한-캄 FTA 등 무역협정 발효이다. 한-캄 FTA, 캄-중 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가 2022년 발효됨에 따라 수출시장 다변화, 투자유치확대로 캄보디아 경제성장이 기대된다. 캄보디아 정부는 위의 무역협정을 통해 국내총생산 2%, 수출 7.3%, 투자 23.4%의 증가를 예상하며 일본, 인도 등과의 추가적인 무역협정을 검토하고 FTA활용 실무그룹을 구성하는 등 무역협정을 통한 경제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FTA활용 실무그룹에서 농산품(카사바, 망고, 후추 등), 고무를 유망상품으로 선정하고 FTA를 통한 해당품목 수출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캄보디아 FTA 발효 시 한국의 전자제품, 자동차 등의 수출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시장선점을 위한 바이어 발굴 및 현지 타깃팅이 필요하다.

 

캄보디아 투자 현황과 전망; 신투자법, 디지털 전환 정책


캄보디아 개발위원회(CDC)의 2021년 1~9월 투자 신고금액은 약 1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수치이다. 전체 투자신고 금액의 57.91%는 자국 투자이며, 외국인 직접투자는 47.01%인 5억3000만 달러이다. 투자 국가는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 국가를 제외하고는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의 소규모 투자 신고만 있었으며 과거 해외투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던 한국, 영국, 미국 등의 투자신고는 없었다. 2021년 캄보디아 내 코로나19 지역확산이 심해지면서 입국금지와 경제활동 위축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캄보디아 투자신고 국가별 현황(2021년 1~9월)

(단위: USD 천, %)

순위

국가

신고금액(Fixed Assets)

비중

1

캄보디아

601,714

52.99

2

중국

273,360

24.07

3

홍콩

105,417

9.28

4

대만

97,011

8.54

5

태국

37,462

3.3

6

말레이시아

16,506

1.45

7

마카오

2,136

0.19

8

싱가포르

1,890

0.17

총계

1,135,496

100

자료: 캄보디아 개발위원회(CDC)


분야별로는 봉제투자가 가장 많은 건수를 기록했으나 전년 동 기간 137건 대비해 크게 감소했다. 투자 분야 역시 전년도에는 건축, 통신, 유통 등 다양했으나 올해는 농업, 봉제, 관광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다.


캄보디아 투자신고 분야별 현황(2021.1~9월)

(단위: 건, USD 천)

분야

승인 건수

신고금액(Fixed Assets)

농업

4

47,807

농산업

6

32,447

엔지니어링

1

9,462

에너지

4

68,316

의료서비스

4

28,770

봉제제조업

55

292,117

관광

2

127,842

기타

7

528,736

총합

83

1,135,497

자료: 캄보디아 개발위원회(CDC)

 

투자부문 주요 이슈는 2021년 신 투자법 도입과 캄보디아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이다. 캄보디아 정부는 1994년 발표된 투자법과 2003년 개정안을 대체하는 2021년 신규 투자법을 제정했다. 신 투자법에서는 투자 인센티브 제도 확립, 자국 산업 생산성 증대 및 현대화, 글로벌 공급망으로의 통합, 경제 다각화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신 투자법에 따라 과학, 기술, 고용 창출, 기술훈련, 연구혁신, 중소기업발전을 위해 우선 분야에 대한 인센티브(VAT 및 법인소득세 면제, 과세 공제 등)를 제공한다. 캄보디아 정부는 2021-2035 디지털 경제 및 사회정책 프레임워크를 발표, 경제성장의 신 동력으로 디지털 경제 구축하고 관련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신투자법과 디지털 전환 정책을 통해 캄보디아 투자환경이 개선되고 정부 유망 분야(IT, 과학, 농업)를 중심으로 투자인센티브가 확대되며 해외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사점


2022년 캄보디아 경제는 무역협정 발효와 신투자법과 디지털 전환으로 비즈니스 환경이 개선되면서 2022년 경제성장률은 5.7%를 기록하면서 경제가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캄 FTA에 따른 한국-캄보디아 교역확대, 신 투자법과 디지털 전환 정책에 따른 투자기회 확대는 캄보디아 진출을 준비하는 우리 기업에 큰 기회 요인이 될 것이다. 우선 관세혜택 및 캄보디아 인센티브 등을 고려하여 유망상품,산업을 선정하고 현지 시장조사를 통해 시장성을 확인해야 한다. 현지 바이어 및 유통망 발굴 등 네트워크 구축도 중요하다.



자료: IMF, ITC TradeMap, 캄보디아 개발위원회 등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2년 캄보디아 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