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UAE 스포츠웨어 시장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이정모
  • 2021-05-04
  • 출처 : KOTRA

- 2023년에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 회복 전망 -

- 온라인 판매 비중 급증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스포츠의류, 스포츠슈즈를 포함한 스포츠웨어

 

  ㅇ HS Code

    - 6211(트랙슈트ㆍ스키슈트ㆍ수영복과 그 밖의 의류)

    - 640411(스포츠용 신발류, 테니스화·농구화·체조화·훈련화나 이와 유사한 것)

 

시장동향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0년 기준 UAE 스포츠웨어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약 13.5% 축소된 15억3430만 달러로 추산된다. 성장세를 이어오던 UAE 스포츠웨어 시장도 코로나19의 여파를 피하진 못한 것이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였던 2020년 3월부터 약 한 달간 지속된 전국 봉쇄령과 더불어 헬스장, 요가·필라테스 학원 등 운동시설 운영 중단 조치로 인해 예전처럼 활발한 운동이 어려워져 새로운 스포츠웨어에 대한 수요도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각종 스포츠 이벤트의 취소도 시장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문적 운동시설 이용을 위한 아웃도어용·기능성 스포츠웨어 소비는 크게 줄어들었으나 외출제한과 재택근무, 가정학습이 일반화되며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실내복으로 입기 편하면서 외출 시에도 입을 수 있는, 활용도 높은 운동복(Sports Inspired Wear)의 소비는 비교적 적게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운동시설 운영 재개와 UAE 정부의 공격적인 백신 접종으로 외부 활동 제약이 점차 줄어듦에 따라 스포츠웨어 시장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유로모니터의 전망치에 따르면, 2021년 UAE 스포츠웨어 시장 규모는 2020년 대비 7.5% 성장할 전망이며 2023년에는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UAE 스포츠웨어 시장규모

(단위: US$ 백만)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전체 스포츠웨어

1,730

1,774

1,534

1,650

1,719

1,774

스포츠의류

922

948

817

883

921

948

- 기능성 의류

449

462

397

426

446

459

- 아웃도어 의류

159

164

139

150

155

158

- 운동복(Sports-inspired)

314

322

281

307

321

331

스포츠슈즈

808

827

717

766

798

827

- 기능성 신발

446

456

396

425

444

463

- 아웃도어 신발

164

168

142

150

155

159

- 운동화(Sports-inspired)

198

203

180

192

199

205

자료: Euromonitor

 

수입동향

 

2019년 기준 UAE의 스포츠의류 주요 수입국은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이며 중국으로 부터의 수입 비중이 약 44%에 달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0.19%로 크지 않다.

 

UAE 스포츠의류(HS Code 6211) 수입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017

2018

2019

2017

2018

2019

전체

151,210

135,127

135,769

100.00

100.00

100.00

1

중국

74,203

63,132

59,503

49.07

46.72

43.83

2

인도

28,480

22,682

24,675

18.83

16.79

18.17

3

파키스탄

7,755

11,002

11,154

5.13

8.14

8.22

4

이탈리아

3,091

4,552

5,022

2.04

3.37

3.70

5

베트남

3,640

3,603

3,799

2.41

2.67

2.80

6

터키

2,883

3,558

3,653

1.91

2.63

2.69

7

인도네시아

2,699

3,154

3,505

1.78

2.33

2.58

8

모로코

4,810

3,806

3,228

3.18

2.82

2.38

9

영국

1,710

1,142

3,018

1.13

0.85

2.22

10

방글라데시

2,742

2,848

2,595

1.81

2.11

1.91

27

대한민국

3,961

209

253

2.62

0.15

0.19

자료: ITC Trade Map

 

한편, 스포츠슈즈 주요 수입국은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 등이며 베트남과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75% 이상으로 압도적이다. 이는 글로벌 스포츠슈즈 브랜드들이 양국에 제조 시설을 설립, 생산해 수출한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으로부터의 스포츠슈즈 수입 규모는 스포츠웨어와 마찬가지로 크지 않다.

 

UAE 스포츠슈즈(HS Code 640411) 수입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017

2018

2019

2017

2018

2019

전체

321,643

272,536

320,478

100.00

100.00

100.00

1

베트남

129,303

114,628

143,975

40.20

42.06

44.93

2

중국

118,629

92,263

99,958

36.88

33.85

31.19

3

인도네시아

48,999

39,151

51,423

15.23

14.37

16.05

4

인도

4,093

3,840

5,355

1.27

1.41

1.67

5

캄보디아

6,363

3,764

4,466

1.98

1.38

1.39

6

이탈리아

4,985

8,271

3,946

1.55

3.03

1.23

7

미얀마

1,986

2,060

2,804

0.62

0.76

0.87

8

미국

896

1,032

2,708

0.28

0.38

0.84

9

독일

611

852

836

0.19

0.31

0.26

10

영국

423

624

818

0.13

0.23

0.26

28

대한민국

249

925

73

0.08

0.34

0.02

자료: ITC Trade Map

 

경쟁동향

 

UAE 스포츠웨어 시장은 Nike, Adidas, Reebok, Timberland, Asics 등 글로벌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해당 5개 브랜드의 점유율이 약 45%에 달했다. 일부 브랜드는 유명 스포츠 스타나 연예인을 모델로 한 콜렉션을 출시해 소비를 촉진하기도 했다. 일례로 글로벌 스포츠웨어 브랜드인 Fila는 세계적인 한국 아이돌 그룹인 BTS와의 콜라보레이션 콜렉션인 ‘BTS x Fila Voyager’을 UAE에서도 출시해 인기를 끌었으며, 해당 콜렉션 출시 소식이 현지 언론을 통해 보도되기도 했다.

 

BTS x Fila Voyager 컬렉션 UAE 출시 관련 현지언론 보도자료

external_image

자료: Gulf News

 

유통구조

 

UAE 국외 기업의 경우 현지 유통업체를 통해 수출, 유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로모니터 통계에 따르면, UAE는 아직까지 오프라인 소비가 활발해 스포츠웨어 브랜드별 매장과 의류·잡화 전문점을 비롯해 스포츠용품 전문점을 통한 판매 비중이 약 85%에 달한다. 한편, 2018년까지만 해도 판매 비중이 1%대였던 전자상거래가 2019년엔 3.1%, 2020년엔 7.8%을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0년에는 정부의 방역조치로 인한 외출 제한과 안전한 쇼핑을 위해 온라인 구매를 택하는 소비자가 급격히 증가한 것이 성장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발맞춰 다수의 스포츠웨어 브랜드가 Namshi, ASOS 등 의류 전문 온라인 쇼핑몰에 입점했으며 두바이의 대표적인 대형 쇼핑몰인 두바이 몰(The Dubai Mall)도 현지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 Noon.com을 통해 가상 매장(Virtual Shop)을 구성했다.

 

UAE 스포츠웨어 유통구조

external_image

자료: KOTRA 두바이 무역관

 

관세율 및 인증

 

GCC 관세협정에 따라 HS Code 6211, 640411 품목 모두 5%의 관세율이 적용되며 부가가치세 5%가 적용된다.

 

UAE 내 스포츠웨어 수입, 유통 시 별도의 인증이 요구되지 않는다.

 

시사점

 

코로나19 사태로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조깅, 걷기, 홈트레이닝 등 규칙적인 운동을 하려는 사람들이 늘어 러닝화, 레깅스 등 관련 제품의 수요도 함께 증가해 UAE 스포츠웨어 시장이 빠른 속도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스포츠웨어 브랜드 제품을 수입, 유통하고 있는 현지 기업 A사의 관계자는 KOTRA 두바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작년 코로나19 사태 초반에 매출이 급격히 줄어들었으나 작년 말 무렵부터 활기를 되찾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 판매액이 급격히 증가했다. 스포츠웨어는 생활필수품이 아니기에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 속 소비를 이끌어내기 위해 여러 할인행사를 진행했다.”라고 의견을 주었다.

 

UAE 내 핵심 소비층이자 인터넷, 스마트폰 활용이 능숙한 밀레니얼 세대, Z세대의 스포츠웨어 소비자들은 구매 결정 전 온라인으로 제품을 검색하고 가격을 비교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구매율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안전한 쇼핑을 위해 온라인 검색과 소비가 더욱 증가하고 있어 전자상거래 플랫폼 입점과 더불어 SNS, 웹사이트 배너 등을 통한 디지털 마케팅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서 친환경적인 소재와 방법을 사용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지속가능한 패션(Sustainable Fashion)의 중요성에 대한 UAE 소비자들의 인식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2021년 10월 1일 개최 예정인 두바이 엑스포의 공식 의류 파트너로 선정된 UAE 기반 의류 브랜드 Splash는 엑스포 콜렉션에 친환경 소재와 포장재를 사용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현지의 시장점유율이 높지 않은 우리 기업의 경우 이처럼 천연소재, 재활용 소재를 사용한 친환경 스포츠웨어 등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적극 홍보하여, 글로벌 브랜드들이 상위를 점유한 UAE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자료: Euromonitor, ITC Trade Map, 현지 언론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스포츠웨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