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성시별 2021년 주요 경제 목표
  • 경제·무역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1-05-11
  • 출처 : KOTRA

- 주요 키워드는 "발전", "건설, "경제" -

-고용 안전, 민생 개선, 삶의 질 향상을 주요 목표로 정책 추진 -

 



2021년 <중국 정부업무보고> 주요 키워드

 

중국 <2021년 정부 업무 보고>  발전, 건설, 경제를 언급한 횟수가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더불어, 미중 경쟁 심화에 따른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혁신과 개혁을 강조한 것이 또다른 특징이기도 하다. 또한 취업, 교육 등 민생 개선 관련 분야도 중국 정부의 중점 분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사회를 안정시키고 경제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현재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방 양회 정부업무보고에서 제시된 각 지역의 경제지표를 살펴보자.

다수의 성시, GDP 성장률 목표치는 전국 평균 이상

코로나 여파로 인해 2020년 중국 GDP 성장률이 2.3%에 그쳤으나,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나라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중국 2021년 경제성장률을 8.3%로 상향 조정하는 등 해외 주요 연구 및 조사기관들이 중국 경제에 대해 낙관적 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올해 전체 경제성장 목표치를 “6% 이상”으로 설정했다. 이는 코로나19의 지속적 위험, 미중 갈등 심화 등에 따른 대내외 불확실성 등을 감안해 고속 성장보다는 안정적이고 질적인 경제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2020년 낮은 경제성장에 따른 기저효과 및 최근 높은 속도의 경제회복 상황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지역은 성장목표치를 지난해 목표에 비해 상향 조정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31개 성시의 경제성장 목표치는 6~10% 사이에 분포돼 있다. 중국 경제중심지인 베이징시, 상하이시, 광둥성의 목표치는 전국 평균과 동일하게 6% 이상으로 설정했고, 2020년 경제 성장률이 가장 높았던 시짱자치구(7.8%), 구이저우성(4.5%), 윈난성(4.0%) 2021년도 목표치를 각 9% 이상, 8% 내외, 8% 이상으로 제시했다.

또한 하이난성과 후베이성은 중국 31개 성시 중 경제성장률 목표치가 10%로 가장 높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후베이성은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2020년 마이너스 성장률(-5.0%)을 기록했으며 기저효과 등을 감안해 올해는 10% 이상의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리고 자유무역항 건설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관광수입, 면세산업 발전 등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는 하이난성도 금년도 10% 이상의 성장률을 목표로 세웠다.

2021년 중국 31개 성시의 경제성장률 목표치

성시

경제성장률 목표치(%)

베이징시

6.0

텐진시

6.5

허베이성

6.5

산시성

8.0

네이멍구자치구

6.0

()시성

6.5

간쑤성

6.5

청하이성

6.0

신장위구르자치구

6.5

닝샤회족자치구

7.0

광둥성

6.0

광시장족자치구

7.5

하이난성

10.0

랴오닝성

6.0

지린성

7.0

헤이룽장성

6.0

상하이시

6.0

장쑤성

6.0

저장성

6.5

안후이성

8.0

푸젠성

7.5

장시성

8.0

산둥성

6.0

허난성

7.0

후베이성

10.0

후난성

7.0

충칭시

6.0

쓰촨성

7.0

구이저우성

8.0

윈난성

8.0

시짱자치구

9.0

자료: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자료, 중신징웨이(中新经纬)

고정자산투자 목표

2021년 광시(광시장족자치구), 윈난성, 랴오닝성, 하이난성, 신장(신장위구르자치구) 5개 지역은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목표를 10% 이상으로 설정했다. 특히 광시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목표치는 15%로 가장 높다.

2021년 성시별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전망치

성시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전망치(%)

칭하이성

6.0

헤이룽장성

6.0

허난성

6.0

충칭시

6.0

구이저우성

6.0

허베이성

6.5

쓰촨성

7.0

간쑤성

7.0

광둥성

8.0

텐진시

8.0

산시성

8.5

장시성

8.5

안후이성

9.0

신장위구르자치구

10.0

하이난성

10.0

랴오닝성

10.0

윈난성

11.0

광시장족자치구

15.0

자료: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자료

소비(사회소비재 판매총액)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2020년 중국의 사회소비재 판매총액은 39198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9% 감소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8월 이후 코로나가 안정세를 찾으면서 월별로는 꾸준히 플러스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하이난성, 광시장족자치구, 윈난성, 쓰촨성, 지린성, 산시(山西)성은 2021년 사회소비재 판매총액 증가율 전망치를 모두 10%대 이상으로 예상했다. 그 중 하이난성은 2021년 사회소비판매총액 증가율을 15% 이상으로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 2020년 하이난성 사회 소비재 판매총액은 1,975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2%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바가 있으며 리다오(离岛) 면세혜택 등에 힘입어 하이난 소비시장이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요 성시의 2021년 사회소비재 판매총액 증가 전망치

성시

사회소비재 판매총액 증가치(%)

텐진시

5.0

신장위구르자치구

6.0

광둥성

6.0

랴오닝성

7.0

충칭시

7.0

허베이성

8.0

닝샤회족자치구

8.0

구이저우성

8.0

안후이성

9.0

장시성

9.0

허난성

9.0

()시성

10.0

지린성

10.0

쓰촨성

10.0

윈난성

10.0

광시장족자치구

12.0

하이난성 

15.0

자료: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자료


도농주민 소득과 소비자물가지수(CPI) 안정적 상승 예상

2021년 중국 각 성시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폭 목표치는 대체적으로3% 내외이다. 지방양회에서 제정한 2021 CPI 목표를 살펴보면, 상하이시 2.5%, 충칭시 3.2%이다. 그 외에 대다수 성시의 CPI 상승폭 전망치는 3%이다. 이는 앞으로 각 지방정부가 수요공급 보장, 식품가격, 주택임대가격 안정에 중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물가안정 정책을 추진해나가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요 성시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폭 예상치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자료

2020년 중국 전체 주민의 인당 가처분 소득은 전년대비 4.7% 증가한 3만2189위안으로 집계되며 지역별로 보면 도시주민 및 농촌 주민의 인당 가처분소득은 각 전년대비 3.5%, 6.9% 성장했다. 다만중국 정부업무보고는 중국 전체의 국민소득에 대한 구체적인 증가율 전망치는 따로 제시하지 않았고 ‘안정적 증가’를 도모한다고만 밝혔다그러나 민생 개선과 관련된 주민소득 제고 추진을 통해 각 지방정부는 2021년 도농주민의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전년도 평균치보다 높게 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1년 성시별 도시 및 농촌주민 가처분 소득 증가율 예측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자료

고용안정 보장

고용안정 개선을 통한 삶의 질 제고를 도모하기 위해 중국은 도시 신규 취업자 수 목표를 총 1100만 명으로 정했다. 각 성시는 지역별 현황을 바탕으로 신규 일자리 창출 목표를 설정했다. 그중 장쑤성의 도시 신규 취업자 목표는 120만 명, 광둥성, 산둥성, 후베이성은 모두 110만 명이다.

2021년 성시별 도시 신규취업자 목표

성시

도시 신규취업자 목표(만 명)

장쑤성

120

광둥성

110

산둥성

110

후베이성

110

허베이성

86

쓰촨성

85

저장성

80

후난성

70

충칭시

70

안후이성

63

푸젠성

60

구이저우성

60

윈난성

50

신장위구르자치구

46

()시성

45

랴오닝성

42

()시성

40

장시성

38

텐진시

35

간쑤성

32

광시장족자치구

30

헤이룽장성

30

네이멍구자치구

23.2

지린성

23

하이난성

15

시짱자치구

5

자료: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자료

식량 수급 확보 강화

경제의 안정적 발전 외에 식량안보 문제도 중국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식량 안보에 대해 위기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2021년 중국은 경작지를 18억 무( 120), 식량 생산량을 13,000억 근(, 1=0.5kg)이상 유지하는 것으로 목표를 제시했다.

각 지역 정부는 안정적 식량 안보를 추진하기 위해 주로 작물 재배면적 보장 강화, 식량 생산량 제고 및 주요 식량 자급자족 물량 보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중 중국 최대 식량 생산기지인 헤이룽장성은 2021년 식량작물 재배면적을 2억1609만 무( 14.5)로 계획하고 있고 허난성과 안휘이성도 각 1억6000만 무(약 10.7), 1억940만 무( 7.3)로 정했다.

2021년 성시별 식량 경작지 계획

성시

식량 경작지(만)

식량 경작지()

헤이룽장성

21,690

144,672

허난성

16,000

106,720

안후이성

10,940

72,970

허베이성

9,586

63,939

지린성

8,550

57,029

윈난성

6,250

41,688

장시성

5,659

37,746

산시성

4,500

30,015

신장위구르자치구

4,100

27,347

간쑤성

4,000

26,680

저장성

1,500

10,005

푸젠성

1,250

8,338

닝샤회족자치구

1,019

6,797

텐진시

526

3,508

 자료: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자료; 주: 만 ()=6.67㎢으로 환산


녹색 생태 개선

중국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환경보호, 녹색 생태 개선 강화도 추진하고 있다각 지역은 환경 지표를 중시하며, 녹색 생태 분야에서 각각 지표를 제시했다. 간쑤성과 네이멍구자치구는 2021년 녹지 확보 면적을 각각 약 1만7375, 9155 ㎢로 정했다.

  

2021 성시별 녹지확보 면적

성시

녹지확보 면적(만 무)

녹지확보 면적(㎢)

간쑤

2,605

17,375

네이멍구자치구

1,372.6

9,155

허베이성

600

4,002

쓰촨

550

3,669

()

400

2,668

구이저우

360

2,401

랴오닝

202

1,347

닝샤회족자치구

150

1,001

안후이

140

934

시짱자치구

110

734

헤이룽장

100

667

푸젠

50

334

장시

50

334

저장

40

267

베이징

15

100

하이난

10

67

자료: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자료; 주: 만 ()=6.67㎢으로 환산 

 

혁신주도 성장

중국정보통신연구원(中国信息通信研究院)에 따르면 2020년 중국 디지털 경제규모는 39조2000억 위안으로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8.6%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9년에 비해 2.4%p 증가한 수치이다.

혁신주도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각 지방정부는 디지털화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경제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추진한다는 측면에서 대부분 성시는디지털 경제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지표를 제시했다. 그중 푸젠성, 베이징시의 2021년 디지털 경제 부가가치 규모 증가율 목표는 각 전년 대비 15%, 25% 증가한 23000억 위안, 17000억 위안이다. 하이난성과 장시성의 증가율은 30%로 높은 목표를 제시했다.

 

2021 부분 성시의 디지털 경제 부가가치의 GDP 비중

성시

증가율(%)

디지털경제 규모(조 위안)

베이징시

25

1.7

허베이성

23

1.1

닝샤회족자치구

20

-

하이난성

30

-

랴오닝성

10

-

저장성

10

-

푸젠성

15

2.3

장시성

36

1.1

후베이성

15

-

 주: 중국 일부 지역만 해당 목표 제시, 미제시한 지역도 존재함

자료: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중국은 신인프라 투자 확대를 통해 미래 성장동략을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각 지역은 5G 기지국 설치를 중심으로 미래 산업의 기초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중 장쑤성은 2021년 신규 5G 기지국 건설 목표를 6만 , 후난성은 5만5000, 허난성은  5만 , 산동성은 4만 개로 제시했다.

 

중국 주요 성시의 5G 기지국 건설 목표 (단위: )

성시

2020 수량(누적)

2021년 신규 건설 계획

2021 수량(누적)

베이징

5.3

0.6

5.9

텐진

2.4

0.9

3.3

산시(山西)

1.6

1.5

3.1

네이멍구자치구

1

-

-

산시(陝西)

1.8

-

-

광둥

12.4

-

-

광시장족자치구

3.1

2

5.1

랴오닝

2.3

2.5

4.8

지린

1

1.5

2.5

헤이룽장

1.89

1.8

3.69

장쑤

7.1

6

13.1

저장

6.26

-

-

안후이

2.94

2.5

5.44

푸젠

1

3

4

장시

3

2.1

5.1

산둥

5.1

-

9.1

허난

4.54

4

9.54

후난

2.9

5

8.4

후베이

3.1

5.5

6.6

충칭

4.9

3.5

7

구이저우

2.07

2.1

4.07

윈난

1.8

3.2

5

자료: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시사점


지방별 제시한 경제발전 목표를 살펴보면, 중국 각 지역은 지역별 특성에 따라 경제구조 조정과 전환, 또는 민생 개선 등 조금씩 다른 부분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중국 경제의 디지털 전환과 녹색경제 발전에 따라 새로운 산업이 고속 성장하는 가운데, 우리 기업은 중국 진출 시 지역별 경제환경 및 추진정책을 면밀히 살펴보고 유리한 지역을 선별하여 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 우리 기업의 성공적인 중국 진출을 기대한다.



자료: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각 지방정부 업무보고 자료, 중신징웨이(中新经纬), 중국정보통신연구원(中国信息通信研究院), 南方财富网 KOTRA 광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 중국 성시별 2021년 주요 경제 목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