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교류발전기 산업동향과 유망품목
  • 상품DB
  • 인도
  • 뉴델리무역관 박혜은
  • 2018-11-17
  • 출처 : KOTRA

- 세계 3위의 전기 생산국이자 소비국 -

- 다수의 현지 제조사 보유에도 불구하고 수입 수요 상승세 -

- 농업 및 산업부문의 활성화로 에너지 효율 높은 전기모터와 발전기 수요 증가-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교류발전기


  ㅇ HS Code: 8501.61, 8501.62

  

인도 교류발전기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및 전망

    고효율 전기모터와 발전기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인도의 전기모터 시장규모는 2023년까지 22억5000만 달러를 넘어설 전망임. 중소도시의 인구 증가, 도시화와 더불어 제조업 육성정책(Make in India), Smart City Mission 프로젝트 등 성장 가능성이 다대

    - 전기모터의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농업 및 산업 부문에서 전기모터와 발전기 수요 증가, HVAC 시스템 적용 확대, 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요 증가 등이 예상됨. 하지만 대형 출력 발전기 및 고용량 모터는 가격 요인으로 인해 성장이 다소 제약 


교류전력에 따른 분류 및 HS Code

AC 전력 분류

HS Code

75kVA 미만

8501.61

75~375kVA

8501.62

375~750kVA

8501.62

750kVA 이상

8501.62

자료원: IBEF


인도 교류발전기산업

 

  ㅇ 교류발전기산업 현황

    - 인도는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의 전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전력 수요 증가세에 비해 전력 생산 및 전력망이 부족해 지난 몇 년간 백업 전력 시장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KPMG 보고서에 의하면 인도에서 약 30만 대의 통신타워가 만성적인 정전을 겪고 있음. 고급 호텔, 아파트, 병원, 공항, 데이터 센터, 제조시설, 상하수도 시설 등 다양한 산업에서도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고 있음.

    15~75kVA 디젤발전기는 주로 통신타워에 사용되며 전체 수요의 55~60%를 차지함. FY 2009/10 기준 디젤발전기의 매출점유율은 78%를 기록했는데 FY 2016/17 기준 56% 수준으로 하락

    - 민간부문에서는 대부분 작은 용량인 LHP(<160kVA)의 발전기를 선호하며, 연간 3만 대의 발전기가 판매되고 있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ㅇ 교류발전기산업 수요

    - TechSci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디젤발전기 시장은 2019년까지 199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인도의 경우 2017~2020년 인프라 시장의 수요 증가로 인해 디젤 발전기 수요가 연평균 10%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인도 정부는 FY 2018/19 예산안을 통해 2만5000km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전년도의 22km/일에서 41km/일로 40%가량 확대된 수치임. 향후 5년 동안 855km의 철도건설에 3조 루피의 자금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500~1000kVA까지 다양한 용량의 발전기가 사용될 전망임.

  

유망 수입품목

 

  ㅇ HS Code 8501.61(전력 < 75kVA)

    - Global Trade Atlas 2018년도 보고서에 의하면 75kVA 미만 전력 교류발전기의 대략 80% 이상은 중국, 이탈리아, 미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이는 고사양 제품 외에 저가의 중국산제품도 선호도가  높은 것을 의미함.

    - 현지 시장 내 발전기 수요 증가에 따라 해외 제품 수입이 증가되는 추세이므로 한국 기업의 발전기 제품에 대한 수입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인도 75kVA 미만 교류발전기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8501.61)

(단위: 달러, %)

순위

국가명

금액

점유율

2016

2017

2018

(~2분기 누계기준)

2016

2017

2018

 (~2분기 누계기준)

-

전 세계

1,035,194

1,355,542

2,565,238

100.00

100.00

100.00

1

중국

180,999

342,041

880,496

17.48

25.23

34.32

2

이탈리아

422,954

514,341

752,145

40.86

37.94

29.32

3

미국

120,028

41,436

551,282

11.59

3.06

21.49

4

영국

59,032

1,235

115,398

5.70

0.09

4.50

5

독일

39,532

116,442

82,380

3.82

8.59

3.21

6

스웨덴

570

69,269

72,737

0.06

5.11

2.84

7

네덜란드

0

0

46,416

0.00

0.00

1.81

8

캐나다

30,432

31,878

26,658

2.94

2.35

1.04

9

프랑스

3,325

3,850

7,438

0.32

0.28

0.29

10

리투베니아

0

0

6,822

0.00

0.00

0.27

11

스페인

14,117

115,442

6,629

1.36

8.52

0.26

12

한국

54,623

8,448

3,653

5.28

0.62

0.14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HS Code: 8501.62(전력 75~375kVA)

    - 2018년 미국산 수입액이 총 수입 수요의 약 60%로 현지 시장 내 중-고전력 교류발전기의 최대 수입국임.

    - 중-고전력 교류발전기의 경우, 수입수요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Mahindra사와 같은 현지 생산업체들의 시장점유로 수입액은 비교적 크지 않은 편임.


인도 75~375kVA 교류발전기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8501.62)

(단위: 달러,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2016

2017

2018

 (~2분기 누계기준)

2016

2017

2018

 (~2분기 누계기준)

-

전 세계

200,530

590,553

8,747,388

100.00

100.00

100.00

1

미국

71,975

144,231

5,307,537

35.89

24.42

60.68

2

독일

14,512

231,408

1,577,264

7.24

39.18

18.03

3

중국

1,480

33,193

994,796

0.74

5.62

11.37

4

프랑스

4,254

0

331,062

2.12

0.00

3.78

5

싱가포르

0

330

231,459

0.00

0.06

2.65

6

이탈리아

16,243

0

169,613

8.10

0.00

1.94

7

영국

11,397

179,162

100,535

5.68

30.34

1.15

8

스위스

1,630

0

19,504

0.81

0.00

0.22

9

스웨덴

0

0

9,560

0.00

0.00

0.11

10

네팔

0

0

3,102

0.00

0.00

0.04

11

멕시코

0

0

2,751

0.00

0.00

0.03

12

한국

62,139

0

204

30.99

0.00

0.00

자료원: World Trade Atlas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경쟁기업 현황 

    - 인도는 교류발전기 시장이 체계화돼 있지 않으며 저가 제조품을 공급하는 인도 국내 제조업체가 다수 존재함

    - 인도의 Kirloskar는 발전기 세트 제조사에 교류발전기를 공급하는 가장 큰 업체임. 직접 발전기 세트를 제조하며 교류발전기를 세트의 한 부품으로 사용하는 주요 업체들도 있음.

 

용량별 주요기업 동향

Low HP(15~75kVA).

Mid HP(75~375kVA)

High HP(< 200kVA)

- Mahindra, Ashok Leyland KOELLow HP 부문 시장의 선두주자임.

- Cooper Industries, FG Wilson, JCB India, Cummins India와 같은 신규업체들도 진출 및 점유율 확대 하에 있음.

- 이 부문은 인도 디젤발전기 시장 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경쟁이 치열해 수익성이 낮음.

- KOELCumminsMid HP 부문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Mahindra, FG Wilson, Cooper Corporation, Ashok Leyland사들의 진출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 Mahindra는 현재 200kVA 미만의 시장 내 진출해 있지만 Navistar로부터 기술 전수로 회계연도 20182분기에 상용 출시를 계획하고 있음.

- CumminsKOEL사에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관측됨.

자료원: Cgglobal

 

기업별 시장점유율(단위: %)

기업명

점유율

Cummins

37

KOEL

25

Mahindra

16

Perkin

7

그 외

15

자료원: Cgglobal


  인도 시장 내 교류발전기 관련 주요 기업과 제품


이미지

기업명

제품 사진

세부사항

word_image

Kirloskar Electric Company

word_image

AC 발전기 5-650kVA

프레임: 160~355

출력: 7.5kVA~625kVA

전압: 240V/415V

주파수: 50/60Hz

단열재: H

RPM: 1,500

엔클로저: IP:20

규정:+/-1%

word_image

CG Power and Industrial Solutions Limited

  word_image

CG LV 3 Phase Brushless 발전기

프레임: 132~400

출력: 5kVA~1,010kVA

전압: 240/415V

빈도수: 50/60Hz

단열재: H

RPM: 1,500

엔클로저: IP:23

  word_image

Cummins Generator Technologies

     word_image

Alternator Range

프레임: 132~400

출력: 0.6kVA~20,000kVA

전압: 240V/415V

빈도수: 50/60Hz

단열재: H

RPM: 1,500, varies

엔클로저: IP:23

word_image

Fieldmarshal

word_image

Fieldmarshal Alternator

프레임: 132~160

출력: 2.5kVA~30kVA

전압: 240V/415V

빈도수: 50Hz

단열재: H

RPM: 1,500

엔클로저: IP:23

규정: +/- 5%

자료원: cgglobal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AC발전기 및 교류발전기 유통경로


  ㅇ 대개 수입 산업기기 유통은 다음과 같은 경로를 따름.


word_image

자료원: Cgglobal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관세율


제품명/HS Code

-인도 CEPA협정 관세율

기본관세율

교류발전기/

8501.61, 8501.62

협정관세: 0.0%

사회복지세: 0%

수입부가가치세: 18%

총 관세: 18.0%

기본관세: 7.5%

사회복지세: 10%

수입부가가치세: 18%

총 관세: 27.735%

자료원: Custom Tariff book 2018-2019

  

시사점


  ㅇ 중-고가 제품 시장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전략적 계획 필요

    - 인도의 전력 공급 부족, 도시화 진흥정책과 육성책으로 발전기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현지 제조업체의 저가 제품 공급으로 저가 상품의 수입 시장규모는 미미하나 중간 가격대 이상의 시장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 

    - 교류발전기는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지 진출 시 수입업체 및 판로를 확보하고 있는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진출하는 방식이 유력함.

 

  ㅇ CEPA 관세 및 진흥정책 유의사항

    - 발전기는 한-인도 CEPA 품목으로 원산지 기준 충족 시 기본관세가 0%임. 이에 양허가 없는 국가 제품과 비교할 때 총 관세에서 17.5%가량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가 있음. 인도 지역 관세청 관세협력관은 "한-인도 CEPA는 인도가 OECD 국가와 맺은 최초의 FTA로 아직까지 인도는 일본, 아세안 등과 제한적으로 FTA를 맺고 있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CEPA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음.

    - 인도 정부는 제조업 진흥을 위해 각종 제조 품목의 인도 내 생산을 권장하고 있으므로, 중장기적으로 공장 설립 등 현지 진출을 검토할 필요도 있음. 

   


작성자: KOTRA 뉴델리 무역관 Samiksha Sarna A.Mng.

자료원: Ibef, Cgglobal, GTA, 각사 홈페이지,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교류발전기 산업동향과 유망품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