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우크라이나 세제 시장 '경기회복세로 수요 증가'
  • 상품DB
  • 우크라이나
  • 키이우무역관 박대희
  • 2018-09-05
  • 출처 : KOTRA

- 우크라이나 경기 회복과 함께 세제 수입 시장도 점차 회복 추세 -

- 미국, 유럽계 브랜드가 시장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우리 제품 진출 가능성 상존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유기계면 활성제 (HS Code 3402) 

    - 세탁용 세제, 섬유유연제, 세정제, 표백제 등(비누 제외)


□ 품목 선정 사유


  ㅇ 품목 특성상 계절의 변화와 관계없이 항상 제품 수요가 많은 편

    - ‘14년 발발한 우크라이나 동부 내전 이후 유기계면 활성제 수입 시장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최근 빠르게 회복되는 추세 


 2015년~2018년 우크라이나 유기계면 활성제 수출입 현황 (HS 3402)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분기

수입

155.521

171.675

189.308

101.287

수출

33.272

18.363

20.17

8.219

전체

188.793

190.038

209.478

109.506

자료원: WTA


  ㅇ '17년 우크라이나의 대 한국산 제품 수입은 약 1백만 달러로 많지 않으나, 우크라이나 경기 회복과 함께 한국산 제품 수입에 대한 바이어들의 문의 증가

    - 16년 대한 수입은 49만 달러에서 17100만 달러로 2배 이상 증가

    - '18년 2분기 기준 대한 수입은 25.79% 감소한 37만 달러로 나타났으나, 음이온 유기계면활성제(HS 340220) 수입은 83% 가까이 증가


   ㅇ 우크라이나 바이어들 사이에선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식이 좋고 가격 조건만 맞으면 수입 수요 또한 있는 것으로 확인


한국산 제품에 대한 우크라이나 바이어 의견

회사명

회사 소개

한국 제품에 대한 의견

ISEI

- 2011년 설립

- 한국, 일본, 유럽산 화장품 및 헤어제품,

세탁 제품 등 취급 전문 소매 업체

- 우크라이나 내 100여개 이상의 매장 보유

-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 증대 추세

- 우크라이나 내 관련 상품 군이 적은 편

- 따라서 한국의 다양한 제품을 우크라이나에 출시할 시

시장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

BETTA

- 1997년 설립

- 우크라이나 가정용 화학제품 유통 및 수입 업체

- 우크라이나 내 약 1,500여개 이상의

도소매 유통망 보유

- 한국산 제품의 우크라이나 시장 점유율은 낮은 편이나,

한국제품의 품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는 높은 편

- 신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출시한다면

시장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

 자료원: 키예프 무역관 인터뷰


□ 시장 동향


  ㅇ '14년 발발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사태로 인해 정치, 경제, 군사 불안이 심화되면서 우크라이나 주요 경제 지표 하락

    - 특히 우크라이나 흐리브냐 화폐 가치가 폭락함에 따라 시장 구매력이 크게 약화


2014년~2018년 우크라이나 경제 성장률 및 환율 추이

지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경제성장률

-6.60%

-9.80%

2.40%

2.50%

3.10%

환율(UAH/U$)

11.9

21.9

25.5

26.6

26.5

자료원: IHS


  ㅇ 이로 인해 '15년 우크라이나의 유기계면 활성제 수입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2% 감소

    - 또한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우크라이나 동부지역 분쟁으로 우크라이나 동남부 시장 유통이 어려워지면서 시장 규모도 크게 축소


  ㅇ 그러나 '16년 들어 우크라이나 경제가 회복기에 들어서면서 유기계면 활성제 수입 시장도 점차 회복세를 타고 있음.


수출입 동향


  1) 수입 동향


  ㅇ 최근 3년간 우크라이나의 유기계면 활성제 수입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이는 우크라이나의 경제 회복세와 맞물려 있음


  ㅇ 한편, 전통적인 우방국이었던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로 인해 러시아로부터의 관련 제품 수입은 해마다 감소 추세

    - '13년도 러시아로부터의 수입액은 약 64백만 달러로 가장 많았으나, 그 이후 지속적으로 수입액 감소

    - '17년 우크라이나의 대 러시아 수입은 13백만 달러로 '13년 대비 약 79% 감소


  ㅇ 한국산 제품 수입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급락했다가 최근 다시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우크라이나의 유기계면 활성제 주요 수입국 (HS 3402)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15년

2016년

2017년

점유율

증감률

2015

2016

2017

2017/2016

0

전 세계

155.521

171.675

189.308

100

100

100

10.30%

1

폴란드

28.597

34.946

38.494

18.4

20.4

20.3

10.20%

2

독일

22.608

25.404

27.316

14.5

14.8

14.4

7.50%

3

체코

10.668

13.330

18.162

6.9

7.8

9.6

36.20%

4

러시아

15.531

14.700

13.635

10

8.6

7.2

-7.20%

5

오스트리아

6.365

10.684

12.266

4.1

6.2

6.5

14.80%

6

스웨덴

12.413

11.949

10.151

8

7

5.4

-15.10%

7

영국

7.133

8.492

9.364

4.6

5

5

10.30%

8

미국

7.937

8.417

8.556

5.1

4.9

4.5

1.70%

9

헝가리

6.231

6.507

7.040

4

3.8

3.7

8.20%

10

중국

4.205

5.587

6.062

2.7

3.3

3.2

8.50%

19

한국

1.276

0.497

1.034

0.8

0.3

0.6

107.90%

자료원: WTA


 2) 수출 동향


 ㅇ 수출 시장도 마찬가지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사태를 기점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가 최근 다시 회복되는 추세


 ㅇ 전통적으로 이어온 CIS 국가들과의 경제적 유대 관계, 우크라이나 제조업체들의 제한적 제품 포트폴리오로 인해 주로 CIS 국가로의 수출이 주를 이루고 있음.

    - 벨라루스, 몰도바,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러시아로의 수출이 상당히 높은 편임.


 ㅇ 그러나 최근 러-우크라이나 관계 악화로 대 러시아 수출은 매우 큰 폭으로 감소

    - '15년도 대 러시아 수출은 18백만 달러로 우크라이나의 최대 거래처였으나, '17년 1백만 달러로 약 94% 하락


 ㅇ 한편, 우크라이나의 대 한국 수출은 없는 것으로 확인


우크라이나의 유기계면 활성제 주요 수출국 (HS 3402)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15년

2016년

2017년

점유율

증감률

2015

2016

2017

2017/2016

0

전 세계

33.272

18.363

20.170

100

100

100

9.80%

1

벨라루스

2.021

1.619

2.295

6.1

8.8

11.4

41.70%

2

몰도바

1.773

2.170

2.208

5.3

11.8

11

1.70%

3

카자흐스탄

1.94

1.736

1.826

5.8

9.5

9.1

5.20%

4

영국

0.345

1.933

1.761

1

10.5

8.7

-8.90%

5

아제르바이잔

1.768

1.171

1.630

5.3

6.4

8.1

39.20%

6

프랑스

0.848

2.084

1.611

2.6

11.4

8

-22.70%

7

터키

0.672

0.814

1.443

2

4.4

7.2

77.30%

8

조지아

0.535

0.835

1.375

1.6

4.6

6.8

64.60%

9

이탈리아

1.855

1.566

1.326

5.6

8.5

6.6

-15.30%

10

러시아

18.605

0.866

1.106

55.9

4.7

5.5

27.80%

90

한국

0

0

0

0

0

0

0

자료원: WTA


□ 대한 수입 동향


  ㅇ 한국의 대 우크라이나 유기계면 활성제 수입은 없으나, 한국의 대 우크라이나 수출은 '16년부터 조금씩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 '17년 대 우크라이나 수출은 약 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7.85% 증가

     - '18년 2분기 기준, 대 우크라이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79% 감소하였으나, 음이온계면 활성제(HS 340211)의 수출은 크게 증가


2016년~2018년 우크라이나 유기계면 활성제 대한 수입량

(단위: 백만 달러)

품목명(HS Code)

2016년

2017년

2018년 2분기

2018/2017 증감률

유기계면 활성제 (HS Code 3402)

0.497

1.034

0.378

-25.79

- Anionic Cleansing (HS Code 340211)

0.270

0.592

0.331

83.09

- Retail Sale Washing (HS Code 340220)

0.221

0.404

0.046

-84.09

- Nonionic Cleansing (HS Code 340213)

0.001

0.023

0

-98.28

- Other Organic (HS Code 340219)

0.005

0.011

0

-100

- Non Retail Washing (HS Code 340290)

0.000

0.004

0

-100

자료원: WTA


  ㅇ 현재 우크라이나 내 한국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높지 않은 편

    - 일반적으로 유럽산 제품에 대한 인지도와 신뢰도가 높은 편이고, EU-우크라이나 FTA로 인해 무관세 수입이 가능

    - 아직까지 한국산 유기계면 활성제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수준

    - 우크라이나 유통업자들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식이 좋아 향후 시장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는 충분히 있는 것으로 보임.


  ㅇ LG생활건강, 애경, CJ라이온 등 우리 대기업의 제품들은 이미 우크라이나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 기업


  ㅇ 우크라이나 유기계면 활성제 시장의 약 70% 이상을 해외 브랜드가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ㅇ 우크라이나에 진출한 해외 기업으로는 Procter & Gamble, Henkel, Nevskaya Kosmetika(러시아), Reckitt Benkiser, SC Johnson, Unilever, ABC Chemical Industries, MilaM, Ficosota, Amway, Cussons 등이 있음.


  ㅇ 우크라이나 로컬 제조사들도 있으나, 그 규모가 영세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주요 기업: San Clean Int., Slobojanskiy Mylovar, Karapuz, Garmoniya, Yusi, Est Etolie Group, ZBPH, Pirana, Velta Cosmetic 등


□ 관세율 , 수입규제, 인증
  


  ㅇ 관세율

    - EU-우크라이나 FTA, 캐나다-우크라이나 FTA로 EU 회원국 및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품목은 무관세 통관

    - FTA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최대 6.5%의 관세 부과

    - 우크라이나에서 유통되는 모든 제품에는 부가가치세(VAT) 20% 부과


  ㅇ 수입규제: 해당 제품에 대한 별도의 수입 규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


  ㅇ 인증: 우크라이나로 관련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검역과 위생허가를 받아야 함.


우크라이나 유기계면 활성제 수입 관세율

HS Code

3402 11 1000

3402 11 9000

3402 12 0090

3402 13 0000

3402 19 0000

3402 12 0010

3402 20 2000

3402 20 9000

3402 90 1000

3402 90 9000

관세율 (EU 및 캐나다)

0%

관세율 (기타 국가)

2%

0%

6.5%

VAT

20%

 자료원: MD office


□ 관련 전시회 리스트


전시회명

기간

개최 도시

홈페이지

Cleanexpo Ukraine

2019년 4월 11일 ~ 13일

키예프

www.cleanexpo.com.ua

ECO EXPO

2018년 9월 26일 ~ 29일

키예프

www.eco-expo.com.ua

Household Trade Show

2018년 9월 12일 ~ 14일

키예프

www.pem.com.ua

International Cleaning Forum

2018년 10월 2일 ~ 5일

키예프

www.theprimus.com

자료원: 해당 전시회 홈페이지 


□ 결론 및 시사점

 

  ㅇ 우크라이나 시장은 해외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매우 높은 시장으로 신규 제품의 초기 진입 장벽이 높은 편임.


  ㅇ 그러나 우크라이나 내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좋은 편이고, 적지만 우리 제품 수입 문의가 놀고 있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 진출이 가능한 시장으로 사료됨.


  ㅇ 기본적으로 우리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 친화적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 필요

    - (참고) 우크라이나에서 유통되는 일부 한국 제품의 경우 제품 표지를 현지어화(우크라이나어)하지 않고 판매하는 경우가 있어 기본적으로 우크라이나 소비자들이 쉽게 구매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음.


  ㅇ 아울러 우크라이나의 좋지 못한 경기 상황으로 인해 아직까지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높지 않음. 따라서 적정 수준의 가격 설정이 매우 중요.


자료원: WTA, MD Office, 바이어 인터뷰 및 무역관 자료 종합.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우크라이나 세제 시장 '경기회복세로 수요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