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아동복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오사카무역관 정병욱
  • 2018-06-27
  • 출처 : KOTRA

- 경제 회복 및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日 유아복 시장의 꾸준한 상승 기대 -

- 시장 선도브랜드는 없어 시장 진입은 상대적으로 용이한 편 -

- 아동복 관련 규제나 제도가 한국보다 까다로운 편임을 고려해야 -

 

 

 

시장 규모 및 전망

 

  ㅇ 시장 규모

     - Euromonitor에 따르면 일본 아동복 시장(유아복 포함)2017년에 8198억 엔을 기록하여 전년대비 1% 정도 감소했으나 연간 약 8,000억 엔의 안정적인 시장 규모를 유지하고 있음.

 

일본 아동복 시장 규모 (2013~2017년)

(단위 : 십억 엔)


2013

2014

2015

2016

2017

아동복(유아복 포함)

819.5

838.9

838.8

826.9

819.8

자료원 : Euromonitor

 

  ㅇ 시장 전망

    - 저출산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아베노믹스로 인한 일본 경제 회복으로 아동복 시장에 대한 전망은 긍정적임. 2010년 이후 세대 당 일본 아동복 구입 단가는 1,877엔에서 2,001엔으로 2010년 대비 약 7% 증가했으며 가계 소득의 증가로 프리미엄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임.

 

세대 당 일본 아동복 구입 단가 추이

연도

구입 단가()

2010

1,877

2011

1,875

2012

1,941

2013

1,878

2014

1,953

2015

2,004

2016

2,001

자료원 : 일본 총무성 가계조사연보

 

    - 최근 외국인 관광객에 의한 '인바운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데 (2013년 1조4,167억 엔 → 2017년 4조4,162억 엔) 중국 등 중화권 관광객에게 일본 아동용 의류가 인기를 얻고 있음. 중국 관광객의 의류 구입률은 44.6%로 한국과 미국 관광객에 비해 2배에 달하는데, 자국산 브랜드에 대한 불신 등으로 일본에서 아동용 의류를 구입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음.


2017년 방일 외국인 관광객 품목별 구입률 및 구입단가

자료원 : 일본정부 관광국


    - Euromonitor에 따르면 경제 회복 및 인바운드 수요 증가로 도쿄 올림픽 이후인 2022년까지 아동복 시장의 지속적인 증가가 전망되고 있음. 


일본 아동복 시장 규모 추이


 

자료원 : Euromonitor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일본의 아동복 수입규모는 HS Code 6111 기준 2017년에 215억 엔을 기록했는데, 엔저로 인한 수입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0.9% 감소함. 전체 수입액 중에 약 80%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일본 기업의 현지 공장이 있는 캄보디아, 베트남, 방글라데시가 주요 수입국임.

 

최근 3년간 일본 아동복 수입규모(HS CODE 6111)

(단위: 백만 엔)


2015

2016

2017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1

중국

26,144

11.7

중국

21,755

-16.8

중국

21,555

-0.9

2

캄보디아

1,086

123.3

캄보디아

1,171

7.8

캄보디아

1,414

20.8

3

베트남

985

12.6

베트남

1,034

5.0

베트남

803

-22.4

4

방글라데시

573

17.0

방글라데시

629

9.8

방글라데시

705

12.1

5

인도네시아

569

32.7

인도네시아

420

-26.2

미얀마

422

26.5

6

미얀마

273

20.6

미얀마

333

22.0

인도네시아

334

-20.5

7

인도

246

23.0

인도

237

-3.6

모로코

272

21.0

8

모로코

237

29.4

모로코

225

-5.1

태국

181

22.1

9

태국

130

-26.1

태국

148

14.4

인도

158

-33.3

10

튀니지

127

27.4

튀니지

118

-6.8

필리핀

104

-2.5

합계

30,938

13.5

합계

26,665

-13.8

합계

26,558

-0.4

자료원 : K-Stat

 

□ 對韓 수입규모 및 동향 

 

  ㅇ한국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2015년 2800만 엔 규모에서 다소 감소하여 2017년에는 900만 엔을 기록함. 특히 아베노믹스 이후 엔저 현상이 지속되면서 한국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약해진 것이 주요 원인임.

 

최근 3년간 對韓 수입액(HS CODE 6111)

(단위 : 백만 엔)

 

2015

2016

2017

증감률

한국

28

14

9

-30.7

자료원 : K-Stat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다수의 기업이 경쟁하고 있는 시장, 한국 기업의 진출 가능성 높아

    - 일본 아동복 시장은 다양한 브랜드들이 경쟁하고 있는데, 2017년 기준 SPA업체로 유명한 1 Shimamura사의 점유율이 8.5%, 유니클로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3Fast Retailing의 점유율이 5.6% 으로 상위 3개사를 합해도 시장 점유율이 21.9%에 불과함. 진입 장벽이 낮은 편으로 상대적으로 우리 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높음.

    - LOUIS VUITTON으로 유명한 LVMH사는 7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일본 아동복 시장의 프리미엄화, 고가화 경향을 반영하고 있음.

 

일본 아동복 시장 주요 기업별 점유율 (2013년-2015년)

순위

기업명

2013

2014

2015

2016

2017

1

Shimamura Co Ltd

6.2

6.5

7.3

7.7

8.5

2

Nishimatsuya Chain Co Ltd

7.5

7.4

7.5

7.8

7.8

3

Fast Retailing Co Ltd

3.9

4.1

4.8

5.0

5.6

4

World Co Ltd

4.0

3.4

3.4

3.4

3.3

5

Miki House Co Ltd

2.2

2.2

2.4

2.5

2.7

6

Mizuno Corp

1.0

1.1

1.1

1.1

1.2

7

LVMH

1.0

0.8

0.8

0.9

0.9

8

TSI Holdings Co Ltd

1.0

1.0

1.0

1.0

0.9

9

adidas Group

0.6

0.6

0.7

0.8

0.8

10

Onward Holdings Co Ltd

0.7

0.7

0.7

0.7

0.7

자료원 : Euromonitor

 

  ㅇ SPA 브랜드가 브랜드 가치에서 상위권 유지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Retail Value 기준 브랜드 가치는 Nishimatsuya, Uniqlo와 같은 SPA 브랜드가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Miki House, Gap Kids와 같은 아동복 전용 브랜드들도 10위권 안에 포함됐음.

 

2017년 기준 일본 10대 아동복 브랜드 (소매판매액 기준)

word_image

자료원 : Euromonitor


  ㅇ 한국산 아동복에 대한 현지 평가

    - 바이어 H사 Tanaka 사장에 따르면, '한국산 아동복은 일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자인이나 컬러가 다양하며, 일본에서 보기 어려운 파스텔톤의 색상이 많다.'

    - 무역관 조사 담당 하마다 과장에 따르면, 일본에서 판매가 잘되는 한국 아동복의 경우 백화점 브랜드 못지않게 디자인, 색감이 우수하며 가격이 저렴하다고 함. 컨테이너 베이스로 수입하는데 부담을 느끼는 인터넷 소매업자가 항공으로 수입하거나 직접 한국으로 구매 투어를 가서 구입하는 경우도 있음.

    -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한국 중소기업 또는 일부 브랜드 제품 중에서는 봉제 수준이 일정하지 않거나 의류에 부착된 장식물들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 만큼 안정적인 제품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함.


유통구조

 

  ㅇ 백화점과 양판점은 감소, 인터넷 쇼핑몰 증가

    - 일본의 경우 아동복은 사이즈의 문제 때문에 주로 백화점, 양판점(홈센터, 대형슈퍼), 전문점에서 판매됐으나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기타)에서의 판매 비중이 늘고 있음.

 

일본 아동복 유통채널 현황

 

자료원 : 야노경제연구소

 

    - 특히 최근에는 SNS의 발달로 유행에 민감한 젊은 주부들이 인터넷을 통해 주문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 상대적으로 유통관련 진입장벽은 완화된 추세임.

 

관세율 및 수입 규제

 

  ㅇ 관세율

유아용 의류 (HS Code 6111) 관세율

자료원 : 일본 세관, 韓 관세청 포털

 

  ㅇ 관련 규제

    1. 포름알데히드 규제 : 아동복의 경우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가정 용품의 규제에 관한 법률에 따라 포름알데히드 관련 규제가 있음


포름알데히드 규제 내용

구분

대상 섬유제품

규제치

아기

(24개월 이하)

기저귀, 기저귀 커버, 턱받이, 모자, 침구, 속옷, 장갑, 양말,

겉옷, 평상복, 잠옷

검출 한계 이하

(16ppm 이하)

어린이, 어른용

속옷, 잠옷, 장갑, 양말, 버선

75ppm 이하

자료원 : 일본 도쿄도 사회복지건강국

 

    2. JIS (일본공업규격) 기준 : 아동복 관련하여 규제는 아니나 권고 사항으로 '아동 의류 끈'에 대한 안전 기준으로 JIS L4129 기준이 있음 (13세 미만 착용 아동의류 대상)


JIS L4129에 규정된 안전 기준의 예


머리나 목에 둘러서 내려오는 끈은 사용하면 안됨

(걸림 방지)


허리에서 등쪽으로 나오게 되는 끈도 사용하면 안됨

(걸림 방지)


길이가 긴 재킷이나 바지 자락 등에 있는 끈도 사용하면 안됨

(걸림 방지)

자료원 : 일본 경제산업성

 

시사점

 

  ㅇ 경제 회복 및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아동복 시장의 꾸준한 성장이 기대되고 있음

    - 아베노믹스로 인한 경제 회복으로 세대당 아동복 지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 급증으로 인한 인바운드 수요 증가로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고 있음.

    - 특히 장기 불황시기에 저가제품을 주로 찾았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프리미엄 브랜드 제품이 판매 순위권에 진입하는 등 고가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ㅇ 안전에 대해 까다로운 일본, 제품 제작시 고려해야

    - 일본은 유아 및 아동 관련 제품에 대해서 한국보다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음. 특히 포름알데히드 규제와 같이 법률로 제한하는 내용도 있으며, JIS 기준과 같이 법적 규제는 아니나 제조업체들이 준수하도록 권고하는 내용도 있음

    - 일본 소비자들은 안전에 대해서 예민한 편이므로 일본 진출을 희망한다면 제품 설계 및 제작부터 관련 내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Euromonitor, 경제산업성, 야노경제연구소, 일본 세관, 일본 정부 자료, 한국 관세청, 무역관 자체 보유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아동복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