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신재생에너지 산업현황과 시사점
  • 트렌드
  • 인도
  • 뉴델리무역관 임성식
  • 2018-05-05
  • 출처 : KOTRA

- 현재 330GW, 회계연도 2026/27 기준까지 640GW로 2배 증설 예정 -

- 환경오염, 화석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적 육성 -




인도 전력발전 현황

 

  ㅇ 경제의 고속성장과 함께 빠르게 증가하는 전력수요 

    - 인도는 2014년 이래 6~7%대의 경제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IMF(2017년 10) 등은 2020년 이후 인도가 8%대의 성장을 10년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인도 전력부(Ministry of Power)는 회계연도 2017/18 기준 발전목표를 12294억 유닛으로 설정는데 이는 전년동기대비 500유닛이 증가한 수치임. 인도 정부는 2017년 말 현재 330GW인 발전용량이 회계연도 2026/27 기준까지 640GW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ㅇ 인도 에너지원별 발전현황 

    - 2017년 말 현재, 인도의 총 발전용량은 약 330GW이며, 이 중 화력발전이 218GW, 66.1%로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수력을 제외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60.1GW로 화력발전 다음으로 많은 발전량을 생산하고 있으며, 수력은 44.9GW

    · 인도 정부는 수력발전을 제외한 재생·신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로 규정하고 있으며, 수력발전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통계를 별도 집계  


인도 에너지원별 발전현황

(단위: MW)

부문

2014/15

2015/16

2016/17

201712월 말

총발전량

261,006.46

288,644.97

314,106.33

330,861.00

화력

182,666.89

201,360.04

215,168.90

218,960.00

원자력

5,780

5,780

5,780

6,780

수력

40,867.43

42,703.42

43,139.43

44,963.00

신재생

31,692.14

38,821.51

50,018.00

60,158.00

료원: 인도 중앙전력청(Central Electricity Authority)

   

인도 신재생에너지 현황 


  ㅇ 풍부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잠재력 

    - 2016년 기준 수력발전을 제외한 인도 신재생에너지 잠재발전량은 1199GW로 추정됨. 이 중 62%가 태양에너지이며, 34%가 풍력, 바이오매스, 소수력 등 기타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은 4% 

    - 20173월 기준 수력발전의 잠재 발전량은 145GW.

 

2016년 인도 신재생에너지원별 잠재발전량 비중

external_image

료원: 인도 통계청(Ministry of Statistics and Programme Implementation)


    - 지역별로, 사막이 많은 중서부 라자스탄(Rajasthan)과 구자라트(Gujarat) 각각 14%, 13%로 잠재성이 가장 큼. 상위 12개 주가 전체의 86%, 하위 17개 주의 잠재력 비중이 14%로 지역별 편차가 큼

 

2016년 인도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잠재발전량 비중 external_image

료원: 인도 통계청(Ministry of Statistics and Programme Implementation)

 

활발해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ㅇ 회계연도 2026/27 기준까지 신재생 발전 275GW 달성 목표  

    - 인도 정부는 환경오염, 높은 화석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기 위 신재생에너지, 수력, 원자력 발전을 적극 진흥하고 있음

    - 이 중, 수력발전의 경우 환경파괴와 발전 잠재력이 풍부한 북동부 지역 주변국가와의 갈등 우려가 있으며, 원자력은 과거 국제사회로부터 핵연료 반입 제재를 받았던 터라 기술발전이 더딘 상황임. 

    - 이에, 풍부한 일조량과 고도가 높은 산악지형을 이용해 태양력과 풍력을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적극 촉진하고 있음. 인도 정부는 2025년까지 화석연료의 신재생에너지원으로의 대체를 통해 발전비용을 150억 달러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회계연도 2026/27 기준 인도 발전수단별 발전량 예상

(단위: MW)

 external_image

자료원: 현지 언론(LiveMint Newpaper) 20173


  ㅇ 급속히 확장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 

    - 20144월부터 2017년 말까지 추가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27.07GW임. 이 중 태양광이 12.87GW, 풍력이 11.7GW로 대부분을 차지함. 바이오 매스 0.79GW, 소수력 0.59GW 등임

    - 최근 인도 정부가 본래 2022년까지 20GW였던 태양력 추가 발전 목표를 100GW로 크게 확대함. 향후 5년간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은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2014~2017년 인도 신재생에너지원별 추가 발전용량

(단위: GW)

external_image

료원: 인도 신재생에너지부(Ministry of New & Renewable Energy)


  ㅇ 낮아지고 있는 전력생산 비용 

    - 2017년 기준 풍력발전의 전력생산비용은 kWh0.04달러로 추정되고 있음. 인도 정부는 2021년까지 태양력, 풍력 전력생산비용을 kWh0.03달러까지 낮추겠다는 계획임

    - 태양광 전지판(Solar PV)의 경우 현재 kWh0.07~0.1달러 수준인데, 최근 패널가격의 하락으로 균등화 발전단가(LCOE)의 그리드 패러티를 수년 내 달성할 것으로 예상됨.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부 진흥책 


  ㅇ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목표 

    - 인도 신재생에너지부는 2015년 태양력 발전 확대목표를 크게 확대한다는 내각 결정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2022년까지 175GW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음. 2017년 말 기준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은 60GW 수준임.   

    - 175GW 100GW는 태양력, 60GW는 풍력, 10GW는 바이오매스, 5GW는 소수력 발전임. 목표량이 많은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다양한 진흥책이 마련.

 

회계연도 2017/18 기준 인도 신재생에너지 확충 목표와 달성현황

(단위: MW)

부문

목표

달성(20174~12)

누적 용량(201712월까지)

풍력

4,000

568.71

32,848.46

태양광(지상)

9,000

4492.05

16,070.07

태양광(옥상)

1,000

271.49

982.30

소형수력

200

38.30

4,418.35

바이오매스

340

232.10

8,413.80

폐기물 에너지화

10

0

114.08

총계

14,550

5,602.65

62,847.06

: 인도 회계연도는 당해년 4월부터 차년 3월까지임.

료원: 인도 재생에너지부(Ministr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ㅇ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확대를 위한 제도적 노력 

    - 발전 차액 지원제도(Feed in Tariff):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해 공급된 전기의 전력거래가격을 전력 구매자인 전력규제위원회가 일부 보조해주는 제도 

    - 신재생에너지 의무 구매(RPO, Renewable Purchase Obligation): 인도 전력법 86항에 따라 전기공급 사업자는 일정 비율 이상의 신재생에너지를 조달해야 함. 인도 정부는 태양력 에너지 발전확대를 위해 20161월 기존 3%였던 의무조달비율을 2022년까지 8%로 상향.  

    - 신재생에너지자격(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PO제도를 보완하기 위한 제도로, RPO에 의거한 의무 발전량을 맞추기 위해 전력공급 사업자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거래하는 것임.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소(DISCOMs)20164월 개소.  


  ㅇ 신재생 에너지원별 정부 진흥정책 

    - 2003년 전력법 제정 이래, 인도는 전력생산과 배전분야에서 외국인 직접투자를 100% 허용하고 있음

    - 인도 신재생에너지시장에는 일본, 독일, 중국, 미국 등이 적극 진출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공적자금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 

    · (일본) India-Japan Coordination Forum for Development of North East 등을 통해 인프라 구축사업을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연결하는 부분에 초점 

    · (독일) 태양열에너지, 에너지 효율성 제고, 기술협력 부문을 중심으로 진출 

    · (중국) 중국내 태양광 셀, 모듈 수출판매를 위주로 인도 시장 침투

    · (미국) GE사를 필두로 풍력에너지 개발 프로젝트에 참가

    - 2010년 태양력 발전촉진을 위한 National Solar Mission 정책이 수립으며, 이를 근거로 태양력 산업단지조성, 공공부문 태양력 발전 조달책이 제시

    · 태양광 산업단지조성(Solar Park Scheme 2019-20) : 태양광 산업 및 발전단지 조성촉진을 위한 산업단지 조성 및 사업자 인센티브 제공

    · 중앙 공공부문 보급사업(Central Public Sector Undertaking Scheme): 2015~2018년 동안 1000MW의 태양광 발전을 공공부문에서 창출 

    · 국방 태양광 보급사업(Defense Scheme): 300MW의 태양광 발전을 국방관련 분야에서 창출

    · 기타, 태양광발전 펀드조성(Viability Gap Funding) 등  

    - 풍력의 경우 2012Wind Power Programme 정책이 마련으며, 그리드 통합을 위한 주(州) 간 풍력발전 연계 시스템 구축(Inter-State Transmission System) 프로그램 등이 진행되고 있음

 

□ 시사점


  ㅇ 인도 전력시장 진출 시 신재생에너지 진흥책을 고려 

    - 현재 인도의 전력발전원의 60% 이상이 화석연료이나 이는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빠르게 대체 가고 있음.

    - 수입량의 20~30%에 달하는 원유는 인도의 고질적인 무역수지 불균형을 가져오는 원인이며, 실제 유가에 따라서 인도 거시경제는 영향을 크게 받았음. 이러한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가 신재생에너지 발전촉진임.

 

  ㅇ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  

    - 인도는 아대륙 국가로 한반도의 15배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보유하고 있으며 위도 30도에 걸쳐서 남북으로 길게 형성 있는데다가 삼면이 바다이며 북부와 중부에 큰 산맥과 고원이 형성있음.

    - 이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원도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임. 태양력의 경우 사막이 많은 북부 라자스탄, 서부 구자라트주를 중심으로 발전이 용이하며, 수력발전은 히말라야 산맥으로 인 고저차와 수량이 풍부한 북부지역에 집중 있음. 풍력의 경우 인도 중부 데칸 고원을 중심으로 남부와 서부가 유리한 지형을 가지고 있음. 

    - 익명의 인도 태양광 관련 현지업체는 "태양광 분야의 경우 중국산 제품의 가격이 워낙 낮기 때문에 한국산 제품이 그리 선호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나, 최근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규제 조치에 들어가면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라고 음.

 


작성자: KOTRA 뉴델리 무역관 임성식 과장, Ashish Verma Executive

자료원: 인도 신재생에너지부, TechSci Research, 인도 중앙 전력규제위원회, 인도 통계청, 인도 전력부, Live Mint, 현지 언론 등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신재생에너지 산업현황과 시사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