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일본 철강 산업동향
  • 트렌드
  • 일본
  • 도쿄무역관 이세경
  • 2018-01-10
  • 출처 : KOTRA

- 일본 철강시장은 견조 추이하고 있지만, 한국산 기초 철강제품은 수입시장 최대비율 점유 -

- 차세대 자동차 생산 등에 필요한 철강 박판 등의 바이어 수요 대응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할 것 -




일본 철강산업 규모, 동향 및 선정 사유

 

  ㅇ 철강은 산업기계, 자동차, 정보 통신 기계 등 여타 산업의 기반 산업으로, 한국은 최근 4년간 일본 기초 철강 제품(HS Code 72) 1수입국으로 자리함.

    - 특히 강판[중후판(열간압연박판(냉간압연) HS Code 7208, 7209, 7210] 관련 품목은 전체 수입량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일본에서의 수입 호조

 

  ㅇ 2017년도 철강 내수는 6930만 톤으로, 전년대비 2.8% 증가, 견조하게 추이

    - 건설용은 도쿄 올림픽 관련, 수도권을 중심으로 도시 재개발을 위한 토목·비주택의 활황으로 호조

    - 제조업에서도 견고한 설비투자와 왕성한 수요가 있어 산업기기 및 전기기기 모두 호조

    - 또한, 자동차 역시 2016년 쿠마모토 지진과 연료 부정 문제의 영향을 받아 주춤했던 생산량이 국내 신차 생산 증가 및 해외시장의 활황 영향으로 증가 기조에 있음.

 

  ㅇ 201710월 기준으로도 산업별 철강 수요는 증가 추이하고 있음.

    - (건설-토목) 토목공사 수주 전년 동월 대비 공공부문 35.0%, 민간부문 10.7% 증가

    - (제조-자동차) 사륜차 생산 전년 동월 대비 6.4% 증가로 12개월 연속 증가. 일부 일본 자동차 메이커가 제품 생산을 국내로 회귀시킴에 따라 미약한 수준으로 증가 예상

    - (제조-산업기계) 범용, 생산용, 업무용 기계 생산지수 전년 동월 대비 9.6% 증가로 15개월 연속 증가

    - (제조-선박) 201711월 수출선 계약량 전년 동월 대비 2.9배인 99G/T11개월 연속 증가

 

  ㅇ 회복 조짐을 보이던 수출은, 중국의 철강 제품 수출 확대로 인해 세계적으로 수급이 안정돼 침체의 요소도 있으나, 2018년의 세계 철강 수요가 전년대비 소폭 증가될 것이 예상돼 2017년 수준을 약간 웃돌 예정

 

한국 등 주요 국가로부터의 수입동향

 

  ㅇ 한국은 일본의 기초 철강제품(HS Code 72) 1위 수입국으로, 20171~10월 기준 전체 수입량의 38.1%를 차지하고 있음.

    - 2015년도 34.2%, 2016년도 37.6%, 2017년도 38% 이상으로 비중이 지속 증가

    - 한국은 2위 중국과 압도적인 차이를 보이며 수입 수위국으로 자리하고 있음.

 

일본 기초 철강 제품 수입동향(HS Code 72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10월

증감률('17/'16)

-

전 세계

8,546.3

6,188.1

5,674.7

6,058.6

29.83

1

한국

3,013.0

2,116.9

2,133.3

2,310.0

31.08

2

중국

1,704.1

1,139.0

894.2

878.3

17.79

3

대만

776.0

610.9

573.5

593.0

26.45

4

카자흐스탄

585.9

498.8

416.8

502.7

47.71

5

남아프리카

479.2

332.5

296.2

328.8

46.23

6

브라질

354.3

295.3

274.8

255.9

10.36

7

러시아

274.4

212.6

189.9

219.3

41.07

8

인도

267.8

192.7

138.4

194.8

78.81

9

말레이시아

24.9

18.8

53.4

107.0

161.53

10

스웨덴

133.8

114.2

102.5

96.7

9.62

주: 국가 순위는 20171~10월 수입량 합계 기준 정렬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한국산 후판, 냉연박판류 수입이 크게 증가했으며, H형강, 열연박판류도 증가

 

일본의 한국산 강판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

HS Code

품목명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10)

증감률

('17/'16)

72.08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열간압연)

수입량

864

641

631

698

34.29

비중

61.8

63.6

67.9

70.4

72.09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냉간압연)

수입량

489

310

289

352

44.01

비중

75.4

73.6

72.4

72.1

72.10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클래드, 도금 등)

수입량

486

347

370

385

25.13

비중

66.0

68.7

76.1

71.2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수입규제, 관세율 및 필수 인증 등

 

  ㅇ (수입규제) 특별히 없음.


  (필수 인증) 특별히 없음.

 

  ㅇ (관세율)


HS Code

 품목명

기본 세율

7208 ** ***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폭이 600㎜ 이상인 것으로서 열간(熱間)압연한 것으로 한정하고, 클래드(clad)·도금·도포한 것은 제외한다]

(코드 6자리,

9자리에 따라)

3.9% 혹은 4.6%

(WTO협정 하 무세)

7209 ** ***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폭이 600 이상인 것으로서 냉간압연(냉간환원)한 것으로 한정하고, 클래드(clad)·도금·도포한 것은 제외한다]

7210 ** ***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폭이 600 이상인 것으로서 클래드(clad)·도금·도포한 것으로 한정한다]

7211 ** ***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폭이 600 미만인 것으로 한정하고, 클래드(clad)·도금·도포한 것은 제외한다]

7212 ** ***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폭이 600 미만인 것으로서 클래드(clad)·도금·도포한 것으로 한정한다]

자료원: 관세청 http://www.customs.go.jp/tariff/2017_1/data/j_72.htm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일본 조강의 77%는 신닛테츠스미킹(NSSMC), JFE 스틸, 고베제강의 3개사에 의해 생산되고 있음. 해당 3사가 철강업계에서 압도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

    - 4사 체제였으나 20173월초 신닛테츠스미킹(NSSMC)이 업계 4위이던 닛신제강을 자회사화 하면서 3사 체제로 재편됨.


일본 철강 기업 Top 3 

연번

기업명

기업 개요

특징

1

신닛테츠스미킹(NIPPON STEEL

SUMITOMO METAL CORPORATION)

- (매출) 46328억 엔

- (영업이익) 1142억 엔

- (종업원) 9만2309

- (조강생산) 4517만 톤

- 일본 내 1

- 신일본제철과 스미토모 금속이 통합

닛신제강(Nisshin Steel)을 매수함

2

JFE 스틸

(JFE Steel Corporation)

- (매출) 23491억 엔

- (영업이익) 434억 엔

- (종업원) 6만439(연결)

- (조강생산) 3041만 톤

- 일본 전역에 4개 제철소 보유

산하의 JFE조강은 전기로 일본 내 1

3

고베제강소

(KOBE STEEL, LTD.)

- (매출) 16958억 엔

- (영업이익) 97억 엔

- (종업원) 3만6951

- (조강생산) 721만 톤

- 철강, 비철, 기계 외 발전사업 확대

알루미늄판 글로벌기업인 미국 Novelis사와 한국 울산에 합병회사 설립, 한국을 알루 미늄 모재 공급 거점으로 함

자료원: 2018 닛케이 업계지도 기반 KOTRA 도쿄 무역관 작성

 

  ㅇ 이들 용광로 사업자 기업은 중장기적으로 시장 축소가 예상되는 점, 강재의 공급 과잉, 높은 수준의 전력요금 등 다양한 환경 변화에 의해 재편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면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산거점·설비 집약을 추진하고 있음.


2015년도 이후 용광로 사업자 기업 재편. 생산조정 동향

시기

기업명

개요

20154

신관서제강(Shinkansai Steel Co., Ltd.)

호시다공장의 제강공정 정지

20159

오사카제강(OSAKA STEEL CO., LTD.)

Tokyokotetsu Ltd를 자회사화

201512

고도제강(GODO STEEL, Ltd.)

토카이를 완전자회사화

20163

교에이제강(KYOEI STEEL LTD.)

히라카타 사업소 오사카 공장 폐쇄

20163

오사카제강(OSAKA STEEL CO., LTD.)

오사카 오카지마 공장 제강공정 휴지

자료원: 스미토모 은행 '국내소재업계의 동향과 전망(2017년 4월)'

 

시사점

 

  ㅇ 일본의 철강 시장은 중장기적으로 인구 감소와 재정 악화에 따른 고정자본투자 축소를 배경으로, 수요는 완만하게 축소될 것으로 보임. 그러나 기간산업이기에 급격한 수요 감소가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며, 한국산 철강제품의 품질 및 가성비가 일본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기에, 향후에도 일본의 한국 제품 수입은 견조하게 추이할 것으로 보임.

 

  ㅇ 2017년 철강 수입이 급격하게 증가했던 것은 1월 신닛테츠스미킹(NSSMC)의 오이타 제철소·후판 공장이 화재사고로 가동을 멈추어, 조선소 등 후판 유저가 포스코 등으로부터 조달을 늘린 것이 큰 이유였음.

 

  ㅇ 대기업 중심의 강판 수입이 증가한 것 이외에도 철강 소재 등을 구매해 2차 유저 등에게 판매하는 용단 도매시장에서 한국자재를 취급하는 기업이 증가, 거래의 중심이 돼 온 것도 일본의 한국산 철강제품 수입 증가 이유 중 하나임.

 

  ㅇ 냉연박판류는 자동차 기업의 생산대수 증가 외에 국내 용광로 사업자의 공급 부족이 원인으로 단압·드럼통 기업용 수입이 늘었을 가능성이 존재. 2018년에도 차세대 자동차 생산 등에 필요한 철강 박판 등의 수요가 바이어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바, 해당 분야 중심으로의 시장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World Steel Association, 일반사단법인 일본 철강연맹, 미즈호 은행, 스미토모 은행, 철강신문, 바이어 의견 및 KOTRA 도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일본 철강 산업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