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부미푸트라 우대 관행 논쟁은 진행형
  • 통상·규제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복덕규
  • 2014-12-19
  • 출처 : KOTRA

 

말레이시아, 부미푸트라 우대관행 논쟁은 진행형

- 집권 2기 나집 총리, '국민통합 1 malaysia' 내세워 부미푸트라 점진적 완화 –

- 공공부문 프로젝트에서의 실질적인 말레이계 우대정책은 여전히 적용 -

 

 

 

□ 부미푸트라 제도 개요 및 배경

 

  말레이시아의 비즈니스와 투자진출을 이야기 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 중의 하나가 '부미푸트라(Bumiputera)'임.

 

  원래 '땅'을 뜻하는 'Bumi'와 '자손·아들'을 뜻하는 'Putera'가 결합돼 '땅의 자손' 혹은 '자손의 땅'으로 해석되는 이 단어는 토착민인 말레이계 국민을 지칭하는 단어이면서 동시에 말레이계 우대정책을 대표하는 말이 됐음.

 

  부미푸트라 제도는 영국식민지 시대에 인도인이나 중국인을 중간계급으로 투입하면서 그들에게 사업기회가 더 보장됐기 때문에 이주민이 더 많은 부를 축적했다는 인식과 말레이계가 경제적약자의 다수를 구성하는 현실을 타개하고자 만들어진 토착민 우대정책임.

 

  초대총리였던 Tunku Abdul Rahman에 의해 제창된 말레이계 우대 '부미푸트라제도'는 1970년대 신경제정책(NEP)를 통해 20여 년간 말레이계의 경제비중을 30%까지 끌어 올리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로 추진됐음.

 

  말레이계 경제력이 많이 축적된 1990년대 이후에는 점차 '부미푸트라'제도의 완화가 도모돼오고 제조업분야 외국인 투자 등을 중심으로 부미푸트라 지분 규제가 철폐되고 있음.

 

□ 부미푸트라 정책 주요 내용

 

  말레이계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말레이계 기업에만 정책자금을 지원하거나 특정사업에는 말레이계 기업만 참가할 수 있도록 규정

 

  국립대학 입학 시에도 쿼터를 정해 50% 이상을 말레이계에 할당해 말레이계의 대학 진학률을 높이거나 주택건설 시 부미푸트라에게만 판매하거나 7% 이상의 추가할인을 해 주도록 하는 규정

 

  그 밖에도 말레이시아 주식시장 상장기업이 되려면 말레이계 지분이 30%가 넘어야 한다는 규정 등 다양한 분야의 특혜 조항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음.

 

□ 부미푸트라 제도의 변화

 

  2009년 4월에 취임해 집권 2기를 맞고 있는 나집 총리는 '하나의 말레이시아(1 malaysia)'라는 국정철학을 내걸고 국민적 단결을 추구하는 정책을 추진해옴.

 

  이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상장기업이 아닌 일반기업에 대한 '부미푸트라 지분 30% 이상 조건'은 2009년부터 철폐됐음.

 

  이러한 변화는 그동안 지속돼온 부미푸트라 제도의 차별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적인 시각과 국내에서도 30%가 넘어가는 중국계와 인도계 유권자의 불만이 고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음.

 

□ 비즈니스 현실에서 부미푸트라 제도

 

  하지만 국영기업이 발주하는 프로젝트 수주 시에는 여전히 부미푸트라 정책이 유효하며 아직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공식적으로 부미푸트라 제한규정이나 우대규정이 없더라도 실질적인 우대 혹은 권장을 통해 공공부문에서만큼은 말레이계 우대정책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

 

  대표적인 영역이 말레이계가 주도하고 있는 석유·가스 분야라고 할 수 있는데 국영석유 기업인 페트로나스에 제품을 납품할 때 현지기업과 합작을 전제로 하는 라이선스 제도를 전제로 하고 거기에 부미푸트라 지분기업을 선호하는 관행이 여전한 상황임.

  

  실제 납품업체 조건에서 부미푸트라 지분 참여율을 크게 100%, 51%, 30%로 나누어 우대조건을 달리하고 있기도 함.

 

  그 밖에도 국공립 병원에 의료장비나 IT 시스템을 납품할 때에도 말레이계가 운영하는 현지 기업을 통해서만 납품이 가능한 상황임.

 

□ 부미푸트라 제도의 미래

 

  부미푸트라 제도 자체가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기 때문에, 경제적 논리보다는 정치 논리에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음.

 

  지난 선거에서 현 집권여당연합(BN)이 득표율에서 야당연합에 밀리는 상황이 발생했는데 말레이계의 분열과 중국·인도계의 연합이 주요한 원인이었음.

 

  즉, 부미푸트라 제도의 수혜그룹이 집권층으로 고착화 되는 상황에서 별로 이익을 보지 못하는 말레이계와 중국·인도계의 반발을 잠재우지 못하면 차기 집권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러한 우려가 부미푸트라 제도의 완화에 원동력이 될 수 있음.

 

  그런 이유로 현정권은 '1 Malaysia'라는 정책기조를 걸고 있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다수인 말레이계 표를 의식해 부미푸트라 제도 고수라는 상충하는 입장을 동시에 견지하고 있는 것임.

 

  최근 야당연합(PR)의 내분으로 정국 주도권을 안정적으로 쥐게 된 집권여당연합(BN) 내에서 다시 부미푸트라 제도 지속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나오는 상황은 이를 대변함.

 

  현재 TPP 협상에서도 부미푸트라 제도가 협상기조에 반한다는 지적에 대해서 '다수지만 경제적 약자인 말레이계를 보호하는 제도'임을 항변하면서 버티는 상황이기도 함. 따라서 단기간 내에 부미푸트라 제도가 획기적으로 철폐되거나 축소될 여지는 적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음.

 

 

자료원: 현지 언론 보도,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의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부미푸트라 우대 관행 논쟁은 진행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