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2차 동방정책을 통해 한국과 재도약을 꿈꾼다
  • 통상·규제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복덕규
  • 2014-12-18
  • 출처 : KOTRA

 

말레이시아, 2차 동방정책을 통해 한국과 재도약을 꿈꾼다

- 말레이시아 나집총리, 동방정책 30주년 맞아 제2차 동방정책 추진 발표 -

- 인력교류와 교육·훈련(1차)에서 산업·통상협력 프로젝트추진(2차)으로 진화 –

 

 

 

 □ 제2차 동방정책 추진발표와 배경

 

  12월 10일에 성사된 한-말레이시아 양국 정상회의에서 말레이시아 나집 총리의 제안에 따라 '경제협력위원회'를 설치키로 합의하고 앞으로 양국 간 교역·투자 협력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의 동방정책 2.0 관련 협력 및 관광, 교육, 과학기술 등 새로운 분야에서의 협력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음.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말레이시아 정부가 제안한 ‘동방정책 2.0 관련 협력’이라는 주제가 무슨 내용인지에 대해 관심이 늘고 있음.

 

  지난 2013년 8월 말레이시아 나집총리는 마하티르 전 총리의 동방정책 3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에서 제2차 동방정책(Second Wave of Look East Policy, LEP 2.0)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음.

 

  제1차 동방정책은 1982년부터 2012년까지 30년간 추진됐으며 한국과 일본의 경제성장모델을 벤치마킹한다는 취지로 공무원 연수, 기술연수, 유학 등을 통한 인적교류에 초점을 맞췄고 한국프로그램에 약 3300명의 말레이시아 사람이 참여했음.

 

□ 2차 동방정책 추진 배경과 관심분야

 

  말레이시아는 현재 '중진국 함정(Middle income trap: 초기 빠른 성장을 하다가 중진국 또는 중산층에 그치는 함정)에 빠져있는 상태라서 하이테크 투자유치나 기술이전을 원하고 있는데 한국이 좋은 파트너라는 인식을 가짐.

 

  최근 말레이시아 정부에서는 제2차 동방정책 추진에 따른 양국 간 협력계획을 수립해 사업안을 이미 한국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한국 측은 철도, 보건의료, 전통의학, 전자정부 등 4개 분야를 협력 사업으로 제안했고 말레이시아 측은 자동차, LNG터미널, 의료기기, 생명공학 등 13개 분야를 시범사업으로 제안했다고 함.

 

  특히 말레이시아는 한국과의 정보통신분야의 협력에 관심이 많고 신재생에너지, 하수처리 환경분야를 포괄하는 녹색산업에 대한 한국기술을 도입하는데 적극적인 상황임.

 

  따라서 일단 발전시장이 자유화된다 하더라도 신재생에너지가 납세자에게 부담을 전가하지 않고 자립할 수 있는 수준이 되도록 빠르게 육성해야 하는 상황임.

 

□ 1차 동방정책을 주도했던 일본과 MJIIT

  

  지난 30년간의 동방정책을 주도한 것은 한국보다는 일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일본은 '동남아경영'이라는 모토를 가지고 동남아 국가와의 협력을 체계적으로 진행해 왔고 엄청난 재원을 투입해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왔음.

 

  실제로 말레이시아와 협력에서도 기술력이나 산업발전단계에서 일본과 가장 근접했다는 점을 고려해 산업·기술분야의 인적 협력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왔는데 그 대표적인 결과물이 현재 말레이시아 공대(UTM)에 설치돼 있는 '말-일 국제기술연구소(MJIIT)'라고 할 수 있음.

 

말레이시아공대(UTM) 쿠알라룸푸르 캠퍼스에 설치된 MJIIT 전경

 

□ 새로운 협력의 틀을 모색하는 한국

 

  지난 11월 25일에 주말련 한국대사관도 쿠알라룸푸르 더블트리 호텔에서 말레이시아 아시아전략리더십 연구소와 ‘한-말련-아세안 산업협력을 통한 동방정책 심화’ 세미나 개최했음.

 

  이 세미나에서 양국 교역증진 및 산업협력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한국이 주도하는 산업·통상협력 프로젝트 추진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기도 했음.

 

  이제는 단순한 인력교류와 교육·훈련이 아닌, 밀접한 산업협력 프로젝트의 추진과 더 자유로운 통상환경의 조성을 통한 교류확대가 새로운 과제로 부상하는 상황임.

 

□ 시사점

 

  한국은 시장진출 확대를 말레이시아는 산업협력을 희망하고 궁극적으로 양국 모두 통상확대를 지향하므로 이를 모두 담아낼 수 있은 협력모델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임.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에 기획재정부에서 추진하는 차세대 KSP 모델과 연계를 고민해 볼 필요가 있는데 그동안 후진국에 대한 일방적인 퍼주기 논란이 있던 ODA사업의 진화와도 맥이 닿는 내용임.

 

  중진국과의 산업·통상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범 협력 프로젝트를 차세대 KSP 틀안에 포함시켜 함께 이익을 보는 '윈-윈협력'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임.

 

  현지국이 원하는 산업분야의 협력을 통해 시장을 창출하면서 현지국 산업도 성장시키는 협력모델을 적극적으로 개발해 건물보다 더 공고한 협력의 틀을 만들어 가야 할 것임.

 

 

자료원: 국내외 언론 보도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의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2차 동방정책을 통해 한국과 재도약을 꿈꾼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