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사우디 광물자원 보유 실태 및 관련 프로젝트 현황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Osama Alhajouj
  • 2016-05-23
  • 출처 : KOTRA

 

사우디 광물자원 보유 실태 및 관련 프로젝트 현황

 

 

 

□ 사우디의 광물자원 보유 개요

 

 ○ 2015년 말을 기준으로 한 사우디의 석유 매장량은 베네수엘라 다음인 2위로 2683억 배럴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2015년 1일 평균 생산량 1030만 배럴을 앞으로 71년 동안 채굴할 수 있는 양임.

 

 ○ 사우디는 석유 외에도 30종에 이르는 다양한 광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업적 개발이 가능한 광물은 15종에 이르고 있음. 사우디 전역에 귀금속 광물은 1273개소 비금속 광물은 1171개소에 매장돼 있음.

 

 ○ 사우디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수준의 생산 광물은 알루미늄, 시멘트, 인산염, 유황, 금 등이며 탐사와 개발이 진척됨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음. 특히, 귀금속인 금은 국가적 차원에서 본격적인 탐사와 채굴이 진행되고 있음.

 

 ○ 사우디 광업공사(Maaden)는 1988년 상업적인 생산을 시작한 이래로 현재까지 약 113.4톤에 이르는 금을 생산했음.

 

주요 사우디 광물 보유 현황(2013년 기준)

             (단위: MT, %)

품목

사우디 생산량

사우디 비중

세계 생산량

알루미늄

74만

1.2

6300만

시멘트

630만

1.5

41억

석고

240만

1.0

2억5000만

암모니아

370만

2.6

1억4400만

인산염

300만

1.4

2억2000만

유황

400만

5.5

7400만

철광

547만

0.2

16억

자료원: USGS 2015

 

 ○ 사우디에 매장돼 있는 주요 광물자원은 금, 은, 동, 아연, 인산염, 보크사이트, 백운암, 점토, 장석, 석류석, 화강암, 흑연, 석고, 탄탈, 규토, 석회암, 대리석, 감람석, 비석, 화산회 마그네슘, 우라늄, 유황 등임.

 

□ 주요 광물자원 보유 및 생산 현황

 

 ○ 2015년에 발표된 미국지질학회(US Geological Survey)의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디가 에너지자원 이외에 많은 생산량을 보이고 있는 광물로는 알루미늄(74만 톤), 시멘트(630만 톤), 인산염(300만 톤), 유황(400만 톤) 등이 있음.

 

 ○ 금속광물 부문에서 사우디는 2013년 합금철을 19만6000톤을 생산했고, 철광은 75만 톤, 철은 607만 톤, 강은 547만 톤을 생산했음. 주요 금속 광물인 구리는 9950톤, 아연은 2만8000톤, 납은 550톤 은은 7.9톤, 금은 3.8톤 정도로 아직까지 생산량은 많지 않은 편임.

 

사우디의 연도별 주요 광물 생산 현황

 

단위

2009

2010

2011

2012

2013

   금속광물(Metal) 생산량

    - 알루미늄(Alumium)

천 톤

-

-

-

-

187

    - 보크사이트(Bauxite)

천 톤

246

284

206

760

1,044

    - 동(Copper)

1,719

1,603

1,620

6,000

9,950

    - 금(Gold)

4,857

4,476

4,674

4,347

3,789

    - 철(Direct-reduced  iron)

천 톤

5,000

5,500

5,800

5,700

6,070

    - 합금철(Ferroalloys)

178,000

177,000

212,000

196,000

196,000

    - 철광(Iron Ore)

천 톤

600

700

750

760

750

    - 강(Steel)

천 톤

4,700

5,000

5,300

5,200

5,471

    - 납(Lead)

347

543

550

550

550

    - 은(Silver)

8,527

7,670

7,900

7,900

7,900

    - 아연(Zinc)

4,952

4,897

4,934

15,000

28,000

   산업용광물자원

    - 중정석(Barite)

30,000

30,000

30,000

30,000

32,000

    - 시멘트(Cement, hadraulic)

천 톤

46,000

47,500

50,700

56,200

57,000

    - 점토(Clays)

4,704,166

5,806,200

6,005,000

6,058,000

6,064,000

    - 장석(Feldspar)

55,000

42,300

160,000

168,000

100,000

    - 인산비료(Fertilizer, phosphatis)

천 톤

300

300

300

960

845

    - 석고(Gypsum)

천 톤

2,000

2,100

2,239

2,351

2,500

    - 마그네슘(Magnesite)

-

24,993

159,284

39,000

29,500

    - 질소(Nitrogen)

천 톤

4,000

4,300

4,800

5,900

4,768

    - 인산광(Phosphate rock)

천 톤

-

-

-

-

3,810

    - 소금(Salt)

천 톤

1,640

1,800

1,864

1,957

2,000

    - 혼합재(Aggregate)

천 톤

259,000

277,000

2,727,000

2,863,500

3,000,000

    - 백운암(Dolomite)

천 톤

669

583

616

647

700

    - 화강암(Granite)

천 톤

1,100

1,100

993

1,043

1,000

    - 석회암(Limestone)

천 톤

47,422

46,453

47,070

49,424

48,800

    - 대리석(Marble)

85,000

48,000

24,000

25,000

25,000

자료원: USUG 2015

 

□ 사우디의 광업개발 정책

 

 ○ 사우디 정부는 석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 이외의 다양한 지하자원의 탐사 및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1997년에 사우디광업공사(Saudi Arabian Mining Company: Maaden)를 설립

 

 ○ 민간 참여를 통한 효율성 증대를 위해 2004년도 민영화를 결정. 2006년 주식 공개 이후 매년 연차보고서를 발행, 회사의 운영 실태를 투명하게 공개 중임.

 

 ○ 최근에는 금, 인산염, 알루미늄 등 전략자원의 탐사와 생산 확대에 많은 투자를 진행 중

 

 ○ 아울러 사우디 비전 2030 계획을 통해 기존의 석유광물부와 수전력부를 폐지하고 자원과 에너지를 총괄하는 에너지부를 신설해, 국가 에너지 및 광물개발의 모든 업무를 총괄하게 함으로써 에너지와 자원 개발을 국가산업의 중추적인 위치로 격상시킴.

 

□ 사우디의 향후 광물개발 프로젝트

 

 ○ 지난 수년간 사우디는 인산염, 알루미늄, 아연 등 자국이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는 자원 개발 및 이를 상업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복합프로젝트를 추진해왔음.

 

 ○ 향후 사우디 정부는 석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에 이어 사우디의 수출을 높일 수 있는 자원 개발에 집중할 것으로 보임.

 

 ○ 이와 관련해 주목받는 분야는 금광 개발 분야로, 이미 많은 외국계 자본이 투자하고 있으며 사우디 정부는 보다 광범위한 탐사와 개발을 실시할 예정임.

 

향후 개발 예정인 사우디 광물자원 프로젝트

            (단위: 백만 달러)

프로젝트명

금액

위치

단계

Al Hajar Copper Project

260

Asir

계획

Al Humaymah Gold Mine Project

300

Riyadh

계획

Ar Rjum Gold Mine Project

350

Mecca

계획

Ras Al Khai  Pertilliser Complex

- Phosphoric Acid Plant

550

Ras Al Khair

계획

Cooper & Zinc Smelter Project

1500

Ras Al Khair

보류

Zailm Gold Mine Project

100

Mecca

계획

Mansourah Gold Mine Project

300

Riyadh

계획

Masarrah Gold Mine Project

200

Mecca

계획

자료원: Meed Projects

 

□ 시사점

 

 ○ 사우디는 방대한 면적만큼 다양하고 풍부한 광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자원부국임. 그동안은 석유와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자원에 가려 그 실태를 알 수 없었으나, 1990년대 후반 금과 알루미늄 등 일부 광종을 중심으로 잠재력이 확인되고 있음.

 

 ○ 사우디는 당분간은 석유와 에너지자원을 통한 국부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타 자원을 무분별하게 개발하거나 외국기업에 개발권을 제공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됨.

 

 ○ 사우디광업공사(Maaden)와 합작투자 또는 개발 형태로 제한적인 허용 가능성이 높으며,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자원 개발과 이를 활용한 생산시설이 결합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음.

 

 ○ 따라서 우리 기업은 자원 개발과 생산시설이 결합한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해 선별적으로 참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경우 미래 자원 확보와 프로젝트 수주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음.

 

 ○ 현재 국내기업은 금광 개발 등 일부 자원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나, 점차 본격화될 광업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참여방안을 검토해야 함. 또한, 유망한 프로젝트일 경우 선제적으로 개발을 제안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USUG 2015, Meed Project, Maaden Annual Report 2015 및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광물자원 보유 실태 및 관련 프로젝트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