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최근 교역동향과 주요 수입국·수입품목
  • 경제·무역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복덕규
  • 2016-02-19
  • 출처 : KOTRA

 

말레이시아, 최근 교역동향과 주요 수입국·수입품목

- 2015년 말레이시아 총 교역액, 전년대비 1.2% 증가한 1조4660억 링깃 -

- 중국, 싱가포르, 미국, 일본, 태국이 주요 수입국, 5개국 수입이 52.9% 차지 -

 

 

 

□ 2015년 말레이시아 교역동향

 

  2015년 말레이시아의 총 교역액은 전년대비 1.2% 증가한 1조4660억 링깃(약 3500억 달러)으로, 9년 연속 총 교역액이 1조 링깃을 넘어서는 상황임.

 

  2015년 상반기에는 전년대비 -2.8%의 교역 감소를 기록했으나, 하반기에 5.1%의 높은 성장을 기록하면서 2015년 전체적으로 성장세로 마무리했음.

 

  이러한 교역액 증가는 중국, 아세안, 미국, EU 등 주요 교역대상국과 지역들과의 교역이 전체적으로 성장한 것에 따른 것임.

 

자료원: 말레이시아 통계청

 

  2015년 말레이시아 주요 교역이 성장한 기반에는 우선 국제 원자재 시장의 가격 폭락과 침체에도 제조업 수출상품이 링깃화 절하를 바탕으로 6.5%나 성장하면서 수출시장을 견고하게 받쳐주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또한, 세계시장에서 무선통신용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확대에 힘입어 전기 &전자 부문의 수출이 성장하면서 수출도 아래와 같은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됨.

 

자료원: 말레이시아 통계청

 

□ 말레이시아 수입통계 분석

 

  2015년 수입통계를 분석해보면, 중간재가 전체 수입액의 58.2%인 3990억2000만 링깃으로 가장 높은 수입비중을 차지했으며, 2014년 대비 2.2%(91억6000만 링깃)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음.

 

  자본재의 경우는 전체 수입액 중 14%에 달하는 959억4000만 링깃으로 2014년 대비 0.1%에 불과한 5660만 링깃만 증가한 상황임.

 

  수입 정체 혹은 감소를 보인 자본재나 중간재에 비해 소비재는 전체 수입액 중 비중이 9.1%인 624억8000만 링깃에 불과했으나 2015년 증가율은 24.2%(121억7000만 링깃)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음.

 

□ 주요 수입국 및 수입품목 분석

 

  말레이시아의 주요 수입대상국을 살펴보면 7년 연속으로 수입대상국 1위를 차지하는 중국과 이 밖에 싱가포르, 미국, 일본, 태국 순이었음. 이들 5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말레이시아 전체 수입의 52.9%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음.

 

말레이시아 2015년 주요 수입대상국 리스트

(단위: 백만 링깃)

자료원: 말레이시아 통계청

 

  가장 큰 수입비중은 제조상품으로 87.6%에 달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기전자(E&E) 제품과 화학제품, 석유제품 순으로 나타났음.

 

말레이시아 2015년 주요 수입품목 리스트

(단위: 백만 링깃)

자료원: 말레이시아 통계청

 

□ 대아세안 수출 증가 지속

 

  아세안 국가와의 교역은 2016년부터 아세안경제커뮤니티(AEC) 출범을 앞두고 교역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2015년 말레이시아 전체 교역비중의 27.4%(4014억2000만 링깃)를 차지했음.

 

  2015년에 총 3.2%의 교역 증가를 기록하면서 말레이시아 주요 교역파트너로 부상했는데, ASEAN 역내 기업간 연계나 역내 투자와 역내 외주활동의 강화 등이 이러한 성장의 기반이 되고 있음.

 

  아세안 국가로의 수출도 2.8%가 증가한 2192억9000만 링깃이었는데, 전체 아세안 역내 교역량에서의 말레이시아 비중도 2014년 27.9%에서 2015년 28.1%로 계속 높아지는 상황임.

 

  아세안 역내 주요 수출대상국으로는 태국, 베트남, 필리핀, 미얀마, 캄보디아 등이 있으며 두 자릿수 이상의 수출을 보여주고 있음.

 

자료원: 말레이시아 통계청

 

  아세안 지역으로의 수출은 주로 전자회로, 원유, 기계, 플랜트 장비 및 부품, 석유화학제품, 가공식품, 철강 및 알미늄, 광학장비 및 귀금속, 플라스틱 등임.

 

  태국의 경우, 총 444억2000만 링깃 수출 중 원유와 전기전자제품, 석유화학제품, 기계류 및 플랜트 장비/부품류가 주요 수출품

 

  베트남의 경우, 총 174억 링깃 수출 중 기계류, 플랜트 장비/부품, 석유정제제품, 석유화학 및 전기전자 부품 순으로 수출됐음.

 

  필리핀의 경우, 총 131억8000만 링깃 수출 중 전기전자제품과 팜오일 및 팜오일 기반제품, 기계류와 플랜트 장비/부품 등의 순으로 수출됐음.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수출의 49.5%(2621억 링깃)으로 아직까지 가장 큰 수출대상국으로 남아 있는데, 전기전자, 기계류, 플랜트 장비/부품, 원유 및 광학장비 등이 주요 수출품임.

 

□ 시사점

 

  말레이시아 링깃화의 약세 속에 아세안경제협력체인 AEC 출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TPP 체결 등 교역활성화를 위한 호재가 맞물리면서 말레이시아가 아세안 교역시장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음.

 

  동남아 내에서 정중앙에 위치한 지정학적 위치와 더불어 제조업기반이나 교통 인프라 면에서 다른 주변국가들에 비해 우위에 있다 보니, 당분간 역내 경제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상황임.

 

  이러한 성장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정부는 적극적인 FTA 체결을 주도하고 있고, 판보르네오 고속도로 건설 및 수도권 도시철도망(MRT) 구축, 그리고 말-싱 고속철도 건설 등 국내 인프라 정비에 적극 나서는 중임.

 

  따라서 AEC 출범과 더불어 아세안 역내 시장에서 말레이시아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동남아 시장 진출의 테스트베드로서 말레이시아 시장을 통한 주변국 진출 등을 적극적으로 모색해볼 시점이라 할 수 있음.

 

 

자료원: 현지 통계청 자료 분석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최근 교역동향과 주요 수입국·수입품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