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SWOT 분석을 통한 사우디아라비아 기업환경 평가
  • 경제·무역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Saifuddin Salahuddin
  • 2015-11-10
  • 출처 : KOTRA

 

SWOT 분석을 통한 사우디아라비아 기업환경 평가

 

 

 

□ 사우디아라비아 기업환경 요약

     

 ○ 사우디아라비아는 건전한 거시경제 환경, 발달된 사회기반시설, 효율적인 세금제도 때문에 경쟁력 있는 기업환경을 제공하고 있음.

     

 ○ 석유 가격의 하락이 기업 신뢰도와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투자자들은 노동시장의 낮은 유연성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으며, 높은 청년 실업률과 저조한 여성의 노동참여율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성장 가능성을 가로막고 있음.

     

사우디아라비아 기업환경 SWOT 분석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Sep 2015)

     

□ 사우디아라비아 거시경제 환경

     

 ○ 사우디아라비아는 기업운용에 용이한 환경을 지녔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은행이 2015년에 실행한 사업환경 평가(Doing Business)에서 189국 중에서 49등을 기록했음.

  -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업환경평가 중 재산권 등록(Registering Property) 부문에서 가장 높은 등수인 20위를 기록

  - 반면,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업환경평가 중 부도 해결(Resolving Insolvency) 부문에서 가장 낮은 등수인 163위를 기록했음.

     

 ○ 여러 경제지표들은 사우디아라비아가 경제침체를 잘 이겨냈음을 보여줌.

  - 작년까지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업 신뢰도는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낮은 석유가격 때문에 안정적이지 못했으며, 2014년 실질 GDP성장률은 3.6%였음.

  - 2014년의 연간 물가상승률은 2.7%로, 2011년의 5.9%에 비해 크게 완화됐음.

   · 이는 석유 수익 감소로 인해 국내수요가 줄었기 때문. 또한, 정부예산은 2013년까지는 흑자였으나 작년에는 0.5%의 적자를 기록했음.

  - 2014년에 은행 불량 채권은 2009년에 총대출의 3.3%에 비해 감소한 1.4% 수준이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세계적인 경제침체의 영향을 잘 이겨냈음을 보여줌.

     

 ○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세계경쟁력지수(Global Competitiveness Index)가 소폭 하락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경제포럼의 2014년 세계경쟁력지수에서 144개 국가 중 24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3년의 20위에 비해서 조금 하락한 결과임.

  -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경쟁력 지수의 거시경제 환경부문에서 가장 높은 순위인 4위를 기록했으며, 노동시장 효율성 부문에서 가장 낮은 순위인 64위를 기록함.

     

 ○ 사우디아라비아의 부패지수는 개선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2014년에 국제투명성기구에서 발표한 국제 부패인식지수에서 175개의 국가 중 55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2013년의 63위보다 개선됐음을 보여줌.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지속적으로 부패척결을 위해 힘쓰고 있으나, 다른 중동 국가들인 UAE(25위)와 카타르(26위)에 비해서는 여전히 뒤쳐진 상태임.

          

□ 사우디아라비아 무역환경, 규제 그리고 사회기반시설

     

 ○ 외국인 직접투자(FDI)에 대해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긍정적 태도를 보임.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탄화수소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줄이고 청년 고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 투자 유치청(SAGIA)은 외국 투자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도움을 주고 있으며, 특히 운송, 교육, 보건, 정보기술, 생명과학, 에너지 투자를 장려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2005년에 WTO에 가입했을 뿐만 아니라 걸프협력회의의 회원국이기도 함.

     

 ○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과 유출이 대비되는 경향을 보임.

  -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은 2008년에서 2013년 동안 81.1% 감소해 2013년에는 95억 달러에 이르렀는데, 이는 세계적인 경제침체의 영향이 큼.

  - 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국인 직접투자 강도는 2008년에는 GDP의 7.6%였는데, 2013년에는 GDP의 1.2%로 크게 감소

  - 외국인 직접투자 유출은 2008년에서 2013년 동안 13.3% 증가해 2013년에는 51억 달러에 이르렀는데, 이는 현지 기업들의 해외투자의 영향이 큼.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인프라 시설 투자에 힘을 쓰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경쟁력지수의 인프라 부문에서 144개의 국가 중 30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인프라 시설이 잘 발달됐음을 의미함.

  -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업 활동은 적절한 운송망과 안정적인 전력을 기반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증가하는 인구와 빠른 경제 확장을 고려해 인프라 시설의 발달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으나, 2014년의 유가하락 이후로 인프라 투자의 규모를 다시 줄이고 있음.

    

2014년 세계경쟁력지수 인프라 부문 순위

      

자료원: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world Economic Forum

          

□ 사우디아라비아 세금 환경

     

 ○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금 납부에 용이한 환경을 지녔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2015년 기업환경평가(Doing Business)의 세금 납부 부문에서 189개의 국가 중 3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업 친화적인 세금 환경 때문임.

  - 2015 기업환경평가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총세율은 상업적 이익의 14.5%로, 중동국가의 평균인 32.6%에 비해 훨씬 낮은 비율을 보임.

  - 사우디아라비아는 세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비공식적 경제 비율이 매우 낮다고 평가됨.

     

 ○ 사우디아라비아는 비교적 낮은 세율을 보임.

  - 2015년 기준으로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사우디아라비아 주주들에게 20%의 법인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반면에 사우디아라비아나 걸프협력회의 가입국가의 주주들에게는 2.5%의 종교세를 추가로 부가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부가가치와 여타 판매세나 소비세를 부가하고 있지 않은데, 이는 중동국가인 쿠웨이트와 바레인에서도 마찬가지임.

        

□ 사우디아라비아 기술혁신

     

 ○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술 활용이 꾸준히 발달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상당 규모의 기술에 정통한 인구 덕택에 중동에서 매력적인 정보통신기술 시장이며, 전기통신의 자유는 이 부문의 경쟁과 정보통신 기술의 보급의 확산을 촉진시키고 있음.

  - 2014년에 사우디아라비아의 휴대전화 보급률은 97.7%로 2009년의 95.1%에 비해 소폭 상승했으며, 2014년에 총 인터넷 사용자의 비율은 63.7%로 2009년의 38.0%에 비해 크게 상승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2015 세계경제포럼의 네트워크준비지수(Network Readiness Index)에서 148개의 국가 중 32위를 기록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연구개발(R&D)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음.

  - 2014년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총 연구개발 지출 비용은 2009년보다 28.4%나 증가한 5억200만 달러였는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연구개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냄.

  - 그럼에도 사우디아라비아의 연구개발 강도는 총 GDP의 0.1%로 매우 낮기 때문에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생명과학과 의료기기 등과 관련된 연구개발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음.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와 인근 국가들의 네트워크 준비지수 순위

     

UAE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이집트

에티오피아

순위

23

27

35

75

94

130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from World Economic Forum

 

□ 사우디아라비아 노동시장과 노동숙련도

     

 ○ 사우디아라비아의 노동시장은 유연하지 못한 편

  - 사우디아라비아의 노동시장은 상대적으로 유연하지 못한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자국민의 고용은 장려하지만 외국인의 고용에는 많은 제한을 두기 때문임.

  - 2009년과 2014년 사이 사우디아라비아의 평균시급은 6.7달러에서 6.9달러로 2.7% 상승했음.

  - 2009년에 2014년 사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생산성(고용된 인구대비 GDP)은 더딘 경제성장과 석유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7만956달러에서 6만7924달러로 소폭 하락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비율이 매우 낮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여성의 노동참여율이 매우 낮은 편인데, 이는 여성의 노동 참여를 장려하지 않는 문화의 영향이 큼.

  - 2014년에 여성의 노동참여율은 16,5%인데, 이는 2009년의 14.4%와 비교했을 때 소폭 증가한 수치임.

  - 반면, 2009년에서 2014년 사이에 남성의 노동참여율은 68.7%에서 83.0%로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비석유 부문 발전의 영향이 큼.

     

 ○ 사우디아라비아는 고학력 인구와 기술의 부족에 시달리고 있음.

  - 2014년에 노동 가능 인구의 11.8%가 고학력을 보였는데, 이는 2009년의 11.3%와 별반 다르지 않은 비율임.

  - 이러한 고학력 인구의 부족은 높은 학력 취득에 대한 유인 부족의 결과임.

  - 2009년에서 2014년 사이 총 졸업자 수는 36.4%가 증가했으나,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 발전의 속도를 따라가기에는 부족한 추세임.

     

실업률과 청년 실업률(2009~2014년)

                        (단위: %)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실업률

5.4

5.5

5.8

5.6

5.6

5.8

청년 실업률

29.9

30

29.9

28.1

29.3

30.1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from UNESCO/national statistics/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OECD/Trade Sources

 

 

자료원: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SWOT 분석을 통한 사우디아라비아 기업환경 평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