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4년 무역통계로 본 미국 수입수요 동향 및 전망
  • 경제·무역
  • 미국
  • 워싱턴무역관 김병우
  • 2015-02-27
  • 출처 : KOTRA

     

2014년 무역통계로 본 미국 수입 수요 동향 및 전망

- 한국, 미국 수입시장에서 선전하며 수출 11.6% 증가 -

- 저유가·강달러 효과, 소비재 수입수요 늘고 산업소재 감소 전망 -

     

     

     

□ `14년 미국 교역규모 및 무역수지 동향

     

 ○ `14년 미국 총 무역규모, 전년대비 3.1% 증가해 약 4조 달러 기록

  - 지난해 미국의 수출과 수입이 각각 2.8%, 3.4% 증가해 무역규모가 3.1% 확대되며 3.97조 달러 기록

  - 금융위기 이후 5년 연속 교역량이 증가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달성

     

 무역적자는 `13년 하락세 이어가지 못하고 4.9% 증가

  - 미국의 무역적자는 `13년에 5.7% 축소되면서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지난해 약 7,225억 달러를 기록해 7천억 달러대 재진입

     

<미국 무역 규모 및 적자 추이>

자료원: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 `14년 미국 수출 동향

     

 미국 수출 전년대비 2.8% 증가한 1.6조 달러 기록

  - 미국 수출이 5년 연속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 기록

     

<미국 수출 실적 추이>

자료원: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미국, 지난해 주요품목 수출 모두 소폭 상승 ··· 석유화학/항공·우주 증가세 돋보여    

  - 지난해 미국이 원유 수출금지를 완화에 초경질원유의 수출을 시작하면서 석유화학 부문 수출 증가

  - 유럽, 일본의 저성장, 중국의 성장 둔화 등으로 수출시장이 위축되어 수출에 타격이 우려되었으나 주요 품목의 수출이 모두 상승

 

<`14년 미국 5대 수출 품목>

자료원: World Trade Atlas

     

 미국의 대한국 수출, 비교적 높은 증가세 기록

  - 한국은 미국의 7위 수출시장을 유지하며 약 445억 달러 규모의 상품을 수입

  - 미국의 10대 수출시장 중 영국(13.8%)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증가율(6.8%)을 보임.

  

<`14년 미국 10대 수출 대상국>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14년 미국 수입 동향

     

 미국, 2014년 총 수입액 전년대비 3.4% 증가

  - `14년 미국의 총 수입액은 약 2.3조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3.4% 증가

  - 지난해 미국의 고용시장 회복과 소비지출 확대에 따라 `13년 수입 감소 이후 반등

     

<미국 연간 수입액 및 증감 추이>

자료원: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품목별 수입 동향

     

 용도별(end-use) 수입 동향

  - 철강, 목재, 플라스틱 등의 산업소재는 수입이 증가했지만 미국의 원유 생산 증가로 석유제품의 수입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산업소재 수입이 2.4% 하락

  - 식품 및 음료의 수입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본재, 자동차, 소비재 역시 평균 이상의 증가율을 보임.

   

<`14년 품목별 미국 수입 동향>

 자료원: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총 수입시장에서 산업소재 비중은 줄고 자본재 및 자동차 비중 소폭 증가

  - 미국의 총 수입 중 산업소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28.1%로 가장 높았으나 지난해 약 30%를 차지한 것에 비해 비중이 감소

  - 산업소재 비중이 낮아진 반면 자본재, 자동차 및 부품의 비중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14년 미국 수입의 품목별 비중 및 증감>

    

자료원: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주요 수입 품목

  - 미국의 최대 수입 품목인 석유화학 제품의 수입이 지속적으로 하락

  - `12년 미국의 석유화학 제품이 전체 수입에 차지한 비중이 18.6%였던 반면 지난해 14.8%로 하락

    *국제유가 급락 및 미국 내 공급 상승이 원유 수입의 지속적 하락에 기여

  - 미국 고용시장 회복 및 달러강세로 소비지출이 증가해 자동차, 전자제품 등의 수입은 상승

  - 미국 내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활성화로 기계류 및 정밀기기도 수요 상승    

     

<`14년 미국 5대 수입 품목>

자료원: World Trade Atlas

     

 특기사항: 미국, 철강 수입 급증

  - 작년 6월 유가 하락이 시작되기 전까지 원유 및 가스 개발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관련 철강 수요 상승

  - 미국 자동차시장도 금융위기 전 수준으로 회복되면서 생산이 확대되어 관련 철강제품도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

     

<`14년 미국 철강 수입 동향>

자료원: World Trade Atlas

     

미국 국가별 수입 동향

     

 한국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6위 유지 ··· 10위권 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율 보여

  - 한국 10위권 국가 중 유일하게 2자리 수 증가율을 보이며 미국에 약 700억 달러 수출 기록

  - 한국제품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2.97%`132.75%에서 소폭 상승

  

 중국은 미국 수입시장의 약 20% 차지하며 1위 기록

  - 중국의 대미국 수출이 약 6% 상승하며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20%대 진입 임박

  - 중국의 미국 수입 점유율은 `04년 약 13.4%에서 지난해 19.9%로 대폭 상승

     

<`14년 미국 국가별 수입 동향>

자료원: World Trade Atlas

 

 일본의 대미국 수출은 `135.37% 감소한 이후 지난해에도 3.34% 하락

     

  <한중일 대미국 수출 증감 추이>

     자료원: World Trade Atlas

     

 미국, 중동지역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 하락 ··· 인도와 교역은 활성화

  - 미국의 원유 생산 증가로 인해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의 원유 수입이 2년 연속 하락

  - 반면, 지난해 9월과 올해 12차례의 정상회담을 진행하는 등 인도와의 경제적 관계는 활성화    

 

□ `14년 미국의 對한국 수입

     

 한미FTA 효과 등으로 미국의 대한국 수입 `11년 대비 23% 상승 ··· 무역적자 상승폭은 감소

  - `14년 미국은 약 696억 달러 규모를 한국으로부터 수입해 한미FTA 발효 전년도인 2011년 대비 약 23% 상승

  - 작년 對한국 무역적자도 전년대비 21% 확대되고 `11년 대비 90% 상승했지만 무역적자 상승폭은 한미FTA 발효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상황

  

<미국의 對한국 수입() 및 무역적자() 추이>

 

자료원: 미국 상무부, World Trade Atlas

 

 품목별 對한국 수입 동향

  - 미국의 한국산 수입 중 약 50%를 차지하는 자동차 및 부품과 전자제품의 수요 상승해 수입 증가

  - 미국의 에너지 개발 산업과 각종 제조업 활성화로 철강, 철강제품, 화학제품 수입이 급증

     

<`14년 한국의 품목별 대미국 수출>

자료원: World Trade Atlas

 

 주요 호조 품목

  - 지난해 알루미늄 대미국 수출이 56% 이상 증가했으며 미국 제조업이 활성화되고 자동차 제조에서 알루미늄 사용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

  -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화장품 수출도 50% 가까이 확대

     

 주요 부진 품목

  - 주요 부진 품목으로는 집적회로 수출이 20% 하락했으며 컴퓨터 및 주변기기도 30% 이상 하락

  - 집적회로는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산 IC의 대미국 수출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는 전체 수요가 감소한 것과 더불어 베트남의 미국 수출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주요 호조 및 부진 품목>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2015년 미국 수입 수요 전망

     

 미국 경제 전망: 미국, 기타 선진국 대비 견고한 경제 성장 전망

  - 미국 고용시장의 빠른 회복과 더불어 저유가로 인한 내수 수요 증가로 견고한 성장 기대

  - IMF와 세계은행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을 각각 3.6%, 3.2%로 예측했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 역시 올해 2.6~3.0%의 경제성장률을 전망하고 있음.

  - 주요 변수로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시기와 그에 따른 달러가치 동향과 저유가 현상 유지 여부

     

 

 강달러 영향: 수입수요 증가 유력하지만, 미국 소재 다국적 기업들의 투자 감소 가능

  - 미국이 다른 주요 경제권보다 높은 경제 회복을 보이며 달러화 수요가 늘어나 달러강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연준이 올해 금리인상을 고려하고 있어 달러강세 유지 유력

  - 강달러로 수입가격이 하락해 수입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지만 미국 수출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어 투자 감소가 우려

  

 저유가 영향: 소비재 및 자동차 수입 증가, 철강 등 산업소재 수입 감소 전망

  - 국제유가가 지난해 급락하기 시작해 아직 현저히 낮은 수준을 유지

  - 이에 따라, 미국 내 휘발유 가격이 하락해 소비자들이 기타 상품 및 서비스에 지출을 늘릴 것으로 전망

  - 낮은 휘발유 가격과 더불어 저금리로 인해 자동차 구매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

  - , 저유가로 미국 기업투자의 약 1/8을 차지하는 석유 및 가스 업계의 지출이 약 2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철강 및 석유화학 관련 기계류 등의 수입 수요 하락 유력

  - `14년 하반기 휘발유가격이 하락하면서 소비지출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으나 민간부문 투자는 증가세가 감소한 바 있음.

 

     

          

한국업계 시사점

     

 달러강세에 따른 미국 수입수요 상승 및 가격경쟁력 제고 ··· , 일본과의 경쟁품목은 엔저로 경쟁 심화

  - 미국이 기타 주요 경제권 대비 견고한 경제회복을 보이며 달러 수요 상승

  -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달러강세가 유지됨에 따라 수입 수요 증가 및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우리 수출기업의 가격 경쟁력 제고

     

    일본과 대미국 수출 경쟁품목에서는 엔저에 따라 경쟁력 악화

  - 일본 파나소닉은 40개 가전제품 품목에 대한 국내 생산 재전환(Re-shoring)을 추진하고 있으며 닛산, 캐논, 도시바 등도 일본 회귀를 결정함에 따라 엔저 효과를 더욱 활용할 예정

  - 일본산 가전제품의 가격경쟁력 강화로 인해 최대 가전제품 시장 중 하나인 미국 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

     

    석유화학 부분 투자 감소로 철강 수요 감소가 유력하지만, 가격경쟁력으로 승부 가능

  - 미국 철강업체들이 올해 유정용강관 등 주요 철강제품의 수요 감소를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가격 경쟁 심화 전망

  -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높은 한국 제품의 수요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실제로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151월 철강 수입 예측치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국 철강 수출이 전달대비 2배 가까이 상승

     

 자동차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서브프라임 자동차 융자 리스크 우려

  - 국제유가 하락으로 미국 휘발유가격이 급락해 자동차 수요 증가

  - 금융위기로 교체주기가 지연되어 미국 평균 차령이 11.4년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인 가운데 고용확대 및 임금상승으로 신차 판매 증가 예상

  - 리스크: 신용등급이 낮은 소비자들의 자동차 융자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어, 금융권이 리스크 노출

  - 신용점수가 850점 만점에 620점 이하인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서브프라임 자동차 융자가 2010년 대비 약 100% 증가   

  - 임금상승률이 저조해 서브프라임 융자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으며, 체납 사례가 늘어날 경우 자동차업계를 비롯해 금융권에도 타격 가능

     

<미국 서브프라임 자동차 융자 증가 현황>

    

자료원: 뉴욕 연방준비은행, 월스트리트저널

     

     

 미국,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 강화 가능

  - 오바마 행정부가 수입규제를 담당하는 기관의 예산을 확대하는 등 덤핑 및 보조금에 대한 조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미국의 대중국 수입규제, 다양한 품목으로 확대

  -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기존에 화학 및 철강품목에 집중되었던 수입규제가 지난해 중국産 화학, 농산물, 철강, 에너지산업 제품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제소가 증가했다고 발표

  - 올해에도 다양한 품목에 대한 덤핑 및 보조금 수입규제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

  - 중국에서 제조과정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 업체들의 주의 필요

     

     

자료원: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 인구통계청, 노동통계청, 에너지부 에너지정보청, World Trade Atlas, 미국 주요 언론, 기타 코트라 워싱턴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4년 무역통계로 본 미국 수입수요 동향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