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전문가 기고] 국내 스타트업 기업 중국 진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외부전문가 기고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14-12-09
  • 출처 : KOTRA

 

국내 스타트업 기업 중국 진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조상래((주)플래텀 대표이사)

 

 

 

최근 전 세계적인 ICT산업의 발전과 중국 내 관련 인프라 확대로 인해 중국 ICT시장이 중요한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모바일 소프트웨어 기업 중 몇몇 기업이 중국 진출의 문을 조금씩 열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크게 성공했다고 할 만한 기업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수한 중국 모바일시장 환경에 한국 기업이 성공적으로 대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교할 수 없는 중국시장의 규모와 잠재력은 더욱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한테 중국은 ‘꼭 도전해야 하는’ 시장이 돼가고 있다.

 

중국 인터넷·모바일시장 진출 시 유의사항

 

외국에서 들어오는 서비스는 중국 정부 검열(GFW)에 의해 언제든지 막힐 수 있다. 중국 진출을 계획하는 기업은 사전에 SMS 결제, 중국 사용자 MOBLIE 환경, 서버 운영(구글 엔진으로는 중국 대륙 내 서비스 불가)에 대한 해결 방안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GFW 차단 확인 여부 사이트(https://en.greatfire.org/)

 

중국 진출의 형태

 

중국 진출의 형태로는 중국 내에 팀 혹은 법인을 설립해 현지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접진출과 현지 퍼블리셔와의 계약만으로 절차를 해결하는 간접진출이 있다. 직접진출의 경우 외국 회사의 지분이 포함된 법인은 직접 영위할 수 없는 산업이 다수 있다는 걸 유념해야 한다. 또한 현지법인이 있다 하더라도 사업 전개의 불편을 최소화해줄 파트너와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반면 간접진출의 경우 퍼블리셔와의 계약만으로 모든 현지 절차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퍼블리셔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사업진행의 핵심이다. 다만 확보한 유저가 중국 현지 퍼블리셔의 소유가 된다는 점에서 장기적 비전을 실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중국 모바일 사업 관련 라이선스 및 절차

 

 A. ICP(중국공신부): 필수(경영성/비경영성)

 B. SP(중국공신부): 옵션, CP의 MOBILE CONTENT 를 유통할 시 필수

 C. 인터넷문화경영허가증(문화부): 온라인 게임에 특화된 허가증

 D. 인터넷 출판 경영 허가증(출판 총서): 온라인 게임에 특화된 허가증

   · 기본적으로 유저가 콘텐츠를 자유롭게 생산하는 것에 대한 규제가 엄격

 

KEY NUMBERS

 

 * 중국 모바일 인터넷 유저 수: 6억8600만 명

 * 대표적인 APP인 모바일 IM의 이용률: 90.5/5

 * 중국 모바일 인터넷 유저 성비 남자 60.2% vs 여자 39.8%

 * 중국 모바일 인터넷 유저 도시 별 비율: 13.1%(1급) vs 46.6%(2,3급) vs 40.3%(잔여)

 * 결제수단의 종류 및 사용률: 40.3%(알리페이支付□) vs 28.1%(유니온페이銀聯) vs 15.9%(텐페이財付通)

 * 중국 모바일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월 데이터 사용패키지: 500MB

 

 

 * 모델 1: 이동통신사 주도 하에 2011년까지 사용된 전형적인 모바일게임 산업구조로 이런 구조는 주로 CP, 이동통신사, 게임 운영사 이 세 역할로 나뉜다. 비율은 이동통신사:SP:CP=3:4:4로, CP입장에서는 다른 플랫폼을 통한 유통보다 수익이 비교적 낮다.

 

 * 모델 2: iOS 체계 하의 산업구조. iOS 유통구조에서 APP store는 사실 폐쇄적인 체계이다. 이런 모델에서 CP는 콘텐츠의 제공을 담당하고 APP store와 CP사이에서 CP:유통사=7:3의 비율로 수익을 나눈다.

 

 * 모델 3: 안드로이드 체계 하의 유통회사에서 주도하는 산업구조. 유통채널이 많지만 주로 360, 91, 텐센트 앱 마켓이 주도하고 있다. 유통채널과 개발자 사이의 수익 배분은 5:5를 기준으로 CP와 유통사 중 누가 주도권을 잡느냐에 따라 다르다. 모델 1과 비슷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시사점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중국의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던 단어 중 하나는 카피캣이었다. 중국 VC가 가장 성공적인 스타트업이라 칭하는 샤오미 같은 업체는 실리콘밸리, 다른 어느 나라에도 존재하지 않았던 비즈니스, 서비스 방식 등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또한 2013년 중국 스타트업계를 달군 띠디다처(嘀嘀打車), 콰이디다처(快的打車)와 같은 콜택시 서비스 모델은 화교 창업자에 의해 인도네시아, 필리핀 같은 국가에 그대로 서비스 되고 있다.

 

 

# 첨부: (참고자료)중국 ICT &스타트업 관련 웹사이트 목록

 

 

※ 이 원고는 외부글로벌지역전문가가 작성한 정보로 KOTRA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전문가 기고] 국내 스타트업 기업 중국 진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