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환경산업 동향(下)
  • 투자진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4-07-03
  • 출처 : KOTRA

 

러시아 환경산업 동향(下)

- 천연가스 차량, 친환경 건축자재, LED 조명 분야 동향 및 주요 프로젝트 -

 

 

 

□ 천연가스 차량(NGV) 시장 현황

 

 ○ 천연가스 차량(이하 NGV)은 가스엔진을 장착한 차량을 의미하며 공공차량, 버스, 농업용 트럭 및 트랙터, 특수 목적 차량 등이 속함.

 

 ○ 러시아 내 CNG 충전소는 80년대 말부터 보급됐으나 2012년 평균 마모율이 80%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대부분 시설이 노후화돼 기존 시설도 재건이 필요한 상황임.

 

 ○ 각 세부 프로그램은 장기적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추진 중임.

  - 주요 도시 버스 및 공공 차량을 토대로 초기 수요 기반 구축

  - 충전소 네트워크도 확충하여 자연스럽게 상업 운송수단 및 다른 민간 대중교통수단으로 정착

  - 다른 교통수단(건설 중장비, 철도, 수상교통)으로 확대

 

 ○ 러시아 정부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천연가스차량 관련 세부 프로그램을 확정함.

  - 가스엔진 시장 발전 정부 지원 조치 및 관련 법 개정

  - 목표 수치에 부합하는 CNG로의 전환

  - CNG 충전소 건설 확대 및 보수로 기존 네트워크 강화

 

타타르스탄 공화국 정부 프로그램 추진 예시

1단계(2013년)

2단계(2014~2018년)

3단계(2019~2023년)

  - 법적 기반 조성

  - 정부 지원 시스템 조성

  - 현존 CNG 충전소

  - 인력 개발

  - 신규 CNG 충전소 설계

  - 가스 장비 1117개 매입

  - 충전소 감독 네트워크

  - 시장 개발 정보 지원

  - 가스 장비 기계 확대(5000대 이상)

  - CNG 사용 확대 지원

  - 충전소 네트워크 개발

  - 가스 장비 기계 확대(8800대 이상)

자료원: 가스프롬

 

 ○ 2020년까지 자동차 연료로의 소비 확대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CNG 판매 규모는 10억 ㎥, LNG 판매 규모는 5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함.

 

러시아 가스 차량 및 충전소 현황

 ○ 가스 차량 수: 8만7000대(전체의 0.5%)

  - 대부분 버스 및 공공목적의 트럭

 

 ○ 충전소: 246개

  - 이 중 210개(85%)는 가스프롬 소속

  - 볼가 관구 등 주로 지방에 위치

자료원: 가스프롬

 

 ○ 러시아에서는 가스프롬의 주도로 사업 타당성 조사 및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한 바 있으며 친환경 산업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한국 기업 수출 및 기술협력 분야로 부상함.

  -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경제적 타당성 조사 결과 디젤 차량 대비 연간 약 50%의 연료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 한국 기업의 협력 유망 분야는 주로 가스 차량 관련 부품, 충전소 시설, 공공 운송차량 운영 노하우 등임.

 

러시아 내 천연가스 버스 경제성 비교

구분

주행거리(연간, ㎞)

연간 연료비(루블)

천연가스

디젤

50인승 시내버스 30대

180만

920만

1910만

990만(약 30만 달러)

자료원: KAMAZ(2013)

 

□ 산업 트렌드 및 유망사업

 

 ○ 단계별 NGV 확대 프로그램은 러시아 연방정부의 ‘지역개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방 주요 도시로 확대될 전망임.

 

 ○ 2020년까지 시내버스와 공공 특수차량의 50%, 시내 화물 운송 차량의 30%를 CNG 차량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매년 러시아 전역 주요 지역에 CNG 충전소, 가스장비 서비스 센터 등 NGV 관련 시설을 확충할 계획임.

 

2013년 러시아 주요 지역 천연가스 인프라 건설 현황

자료원: 가스프롬

 

 ○ 2020년까지 이 프로그램이 완료될 경우 분야별 판매량은 일반 교통 부문 5억5000㎥, 공공 및 특수 부문 9억9000㎥, 시내 화물 운송 부분 3억5000㎥에 이를 것으로 예상함.

 

러시아의 연도별 NGV 시장 추이

자료원: 가스프롬

 

□ 친환경 제품시장 현황

 

 ○ 전 세계적인 소비 트렌드로 환경에 대한 관심과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점차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 현지 언론의 2013년도 설문조사로는 러시아 소비자의 74%는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며 친환경 제품 구매에는 약 30% 정도의 가격을 추가로 지급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응답함.

 

□ 산업 트렌드

 

 ○ 화장품, 치약, 여성용품, 어린이용 위생용품, 세정제 등 피부에 직접 닿거나 건강과 직결되는 생활소비재를 중심으로 다소 비싸더라도 친환경 인증을 받은 유럽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음.

 

 ○ 반면 단기 이익에 치중된 판매자의 성향,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 부족,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유인책 및 ‘그린워싱’에 대한 규제 부족은 친환경 제품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남.

  - 그린워싱: 기업의 경제적 이윤을 목적으로 친환경적 특성을 허위·과장해 상품을 광고 또는 홍보하거나 포장하는 행위(위장 환경주의)

 

□ 유망 분야

 

 ○ 소치 동계올림픽, 2018 FIFA 월드컵 등 국제 스포츠 행사용 건물을 신축할 경우 국제환경규격을 충족하도록 정부에서 규제함.

  - 2015년 말까지 러시아 내 상업용 건물 및 물류창고 중 환경인증 획득을 필요로 하는 건물면적은 120만㎡에 이를 것으로 예상함.

 

 ○ 앞으로 석고, 방음 단열재, 바닥용 건축자재 등 친환경 건축자재가 시장에서 꾸준히 주목을 받을 것임.

 

 ○ 2020년 에너지 효율화 정책에 의하면 2014년부터 백열전구 사용이 전면 금지되면서 LED 전구는 단일 품목으로는 가장 유망한 친환경 제품이 될 전망임.

 

 ○ 글로벌 컨설팅 기업 McKinsey에 의하면 2012~2016년 러시아 가정용 조명 27%(4억7000만 유로), 거리조명 47%(7억4000만 유로), 사무실조명 22%(94만 유로) 등으로 확대될 전망임.

  - LED 램프의 평균 가격은 소형 형광등(CFL)의 3배, 백열등의 50배에 달하나 기술 개발로 인해 가격은 분기당 3~5%씩 하락할 것으로 보임.

  - 러시아의 LED 시장은 수입산 70%, 자국산 30% 정도의 비중이며 Philips, GE, Osram 등 글로벌 기업이 각 5%의 점유율을 보임.

 

 ○ 바이어의 수입 경향을 살펴보면 미국, 유럽산 등 고가 제품에서 일본, 대만, 중국산 등 저가 제품으로 옮겨가는 추세로 가격 대비 품질 경쟁력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음.

 

연도별 러시아 조명시장 전망

(단위: 100만 유로, %)

품목

2012년

2016년

2020년

시장 규모

1,143

1,469

1,672

백열등

9%

1%

0%

할로겐

11%

8%

3%

HID

43%

34%

18%

LFL

15%

10%

6%

CFL

12%

10%

7%

LED

10%

37%

66%

자료원: McKinsey Report, Lighting the way, Perspectiveson the Globallighting market

 

□ 시사점 및 진출 전략

 

 ○ 천연가스 차량

  - 가스프롬(인프라) 및 천연가스 차량 현지 생산기업과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제품 수출 및 기술협력을 다각도로 고려해야 함.

  - 네트워크 구축, 설비 납품 및 천연가스차량 운영 노하우 등

  - 유망 품목은 가스 압축기, 충전기, 천연가스 자동차 개조 시스템, 내압 용기 검사기, CNG/LNG/LPG 개조 키트 등임.

 

 ○ 친환경 상품

  - 현지 투자와 상품 차별화 전략으로 시장을 공략해야 함.

  - 수주 물량을 미리 확보하고 초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다른 국내 기업 및 현지 기업과 합작하는 방법을 고려할 것을 권장함.

  - 생활소비재는 중국산 저가 제품의 진출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가격보다 품질가치로 승부해야 하며 소비자가 가격 차이를 크게 인지하지 않도록 용량을 다변화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환경산업 동향(下))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