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문제 대두, 대책은?
  • 트렌드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14-03-28
  • 출처 : KOTRA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문제 대두, 대책은?

- 발암성, 돌연변이성 물질 지닌 휘발성 유기화합물 -

-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로 인한 비즈니스 시장 팽창 가능성 커 -

 

 

 

 중국의 대기오염 문제 대두

 

 ○ 중국의 대기오염도

 

자료원: 2013년 11월 5일 중국 중앙기상대(中央象台)

 

 ○ 중국의 대기 오염 원인

  - 자연적 이유: 중국 서북부(간쑤, 닝하, 네이멍구 등등)에서 부는 황사의 영향

  - 인위적 이유: 산업 발달, 자동차 증가, 생활오염, 에너지 소비 증가 등(현재 중국은 석유 사용 2위, 석탄 사용 1위 국가로 세계적인 에너지 소비 국가)

 

 

  - 석유 사용 비중을 줄여갈 계획이지만 지속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 중국의 환경·대기오염 문제는 지속적으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은 무엇인가?

 

 ○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 대기 중의 탄화수소화합물

  - 이산화황·질산화물 이외의 대기오염 조성 물질, 발생 원인은 두 가지

 

 

  -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종류로는 페놀, 벤젠, 톨루엔 등 30여 가지

 

 ○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위해성

  - 공기를 매개로 널리 분포, 호흡기를 통해 쉽게 유입됨.

  - 발암물질이 포함돼 있어 만성 노출 시 폐부종, 신장독성, 혈액암 등의 유해한 영향

  - 질소산화물과 산화반응 시 지표면 오존농도 증가, 스모그현상 발생

 

 ○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배출 업종

  - 중국의 경제 성장에 따라 배출하는 업종들도 다양해지는 추세

  - 주요 배출산업으로는 차량 도장, 화공, 도자기, 인쇄, 피혁, 신발 제조, 플라스틱 제조, 제약, 고무제품 제조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제거 설비의 필요성 증가

 

 ○ 중국은 세계 최대의 산업국가

  - 중국 자동차 생산량은 일부 대도시의 등록제한조치에도 2013년에 2012년 대비 14.8% 증가한 2212만 대, 5년 연속 생산량 세계 1위 차지

  - 세계적인 화학섬유 생산기지가 밀집. 전 세계 생산량의 59%를 차지

  - 중국의 원유 수요는 글로벌 수요의 11.5%를 차지. 중국 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정유 설비를 확대 중. 현재 자급률은 96%에 이를 정도로 설비 확충

 

 ○ 유기 화합물(VOC)의 발생

  - 자동차의 도장설비의 건조라인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 다량 발생

  - 유기용제, 원유나 석유화학제품의 저장 탱크에서도 발생

  - 처리 난이도 및 원가 때문에 다수의 업체가 처리를 진행하지 않음.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처리, 중국의 현 상황은?

 

 ○ 중국의 현재 처리 행보

  - 공업 고체 오염 배출원 유독·유해·유기·폐가스(TOC)에 대한 처리 기술은 어느 정도 갖추고 있음.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처리 기술도 기술 이전·개발·교류로 석유화학분야에서는 뚜렷한 향상

  -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기업이 조방형 생산상태에 있으며 생산 공법에서 발생되는 VOC 배출은 심각한 상태

  - 각 지역의 산업보호주의 경향이 심각해 처리행보가 비교적 늦은 편이며 배출 기준이 정체돼 있으며 기준 제한 범위도 협소

 

 ○ 중국 내 관련 기업

  - 중국에서는 이미 기술에 대한 응용이 존재. 다년간의 노력으로 환경보호기업 발전

  - 하지만 중국 기업은 규모가 작고 분산돼 있으며 유명제품은 존재하지 않음(초보단계).

  - 우리나라를 비롯한 외국과의 기술 격차 크며 대부분의 기업 연간 생산액은 1000억 위안 미만

  - 현재 제품 개조 및 연구개발 투입량이 적음. 신제품 신기술 개발 능력이 떨어짐.

 

 시사점 및 전망

 

 ○ 중국의 환경정책 대폭 강화

  - 중국은 '환경보호총국(境保护总国)'을 국무원 산하의 '환경보호부(境保部)'로 승격. 물·토양·대기 등 전반적인 환경정책을 대폭 강화하는 추세

  -‘12.5 에너지 절감 오염물 배출 감소 종합업무방안("十二五"節能減排綜合性工作方案)’을 발표. 오염물 배출 감소를 목표로 오염물 배출감소시스템 보급 확대를 명시

 

 ○ 중국으로의 비즈니스 기회 요인의 지속적 증가

  - 환경 규제 강화, 외자 유치 장려 등 환경설비분야를 중심으로 시장이 팽창 중

  - 한국은 대기환경산업에서 뛰어난 기술과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 선진국 이상의 기술 상용화 및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처리 기술의 보증이 필요한 환경산업에서 큰 기회요인으로 판단됨.

 

 ○ 한계점

  - 환경산업 특성상 국가는 물론 지역별로도 현황과 기술 경쟁력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갖추지 못함.

  - 경쟁력 있는 기업이나 기술에 관한 정보를 얻기 힘들다는 제한이 있음.

  - 중국 환경산업시장의 동향 및 관련 정보 확보가 중요한 관건임.

 

 

자료원: 百度, 중국통계연보,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 추이민쉬안(崔民), 유로저널, 중국 중앙 기상대(中央象台),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이용필, 2009년 경희대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한국 환경 기업의 중국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대기환경산업 시장분석을 중심으로』, 에너지관리공단, KOTRA 내 소장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문제 대두, 대책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