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대만 서비스산업 동향 – 문화콘텐츠
  • 트렌드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강태희
  • 2013-10-20
  • 출처 : KOTRA

 

대만 서비스산업 동향 – 문화콘텐츠

- 2012년 영화·영상산업 완만한 성장세 보여 -

- 서비스업 디지털화로 문화콘텐츠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

 

 

 

□ 산업규모와 동향

 

 ○ 대만 문화콘텐츠산업은 문예창작 및 출판업, 영화∙오디오 출판업, 라디오 및 텔레비전산업, 광고 디자인서비스업 등의 항목으로 구분(행정원 주계처 기준)

  - 세부 항목은 신문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공연, 실내디자인, 광고대행 등

 

 ○ 2012년 대만 문화콘텐츠산업의 성장속도는 글로벌 문화콘텐츠산업 시장 규모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남.

  - 대만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과 중국 경제 성장둔화 및 중국 정부의 내수산업 발전정책 추진 영향을 받음.

  - 행정원 주계처 통계에 따르면 유가 및 전기값 상승으로 인한 통화팽창 문제와 실업문제 등으로 2012년 대만 여가·문화소비 지출 성장률 역시 전년 동기 대비 0.54% 감소한 5.84%를 기록

 

대만 경제성장률과 여가·문화소비 지출 성장률 변화

             (단위: %)

자료원: 행정원 주계처, 대만경제연구원 정리

 

 ○ 2012년 문화콘텐츠산업의 생산 규모는 영화서비스 및 텔레비전산업의 경우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경기침체로 인한 기업 광고 지출이 대폭 줄어 전체적으로 성장폭은 크지 않음.

 

대만 문화콘텐츠산업 규모 변화

(단위: 억 신타이완달러, %)

자료원: 재정부, 대만경제연구원 정리

 

  - 문화콘텐츠산업 중 주요 산업인 광고 디자인서비스업은 2012년 52.04%를 기록하며 다소 감소함.

  - 전통출판업 역시 인터넷망 보급과 디지털 출판업의 발전으로 16.12%로 비중 감소

 

문화콘텐츠서비스산업의 비중 변화

자료원: 재정부, 대만경제연구원 정리

 

□ 주요 이슈 및 정책

 

 ○ 대만의 문화산업 지원육성정책은 정부 주도 모델형으로 문화산업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문화상품시장의 국가 개입이 두드러짐.

 

 ○ 2011년 6월 ‘문화부조직법’이 대만 입법원을 통과, 2012년 5월 20일 문화부 정식 출범 후 예산 규모도 성장했음.

  - 2013년 문화부 주관 예산금액은 전년 대비 4.96% 증가한 163억 신 타이완 달러임.

 

 ○ ‘문화콘텐츠산업 발전방안 행동계획 2009~2013년’

  - 대만 정부는 제3의 물결인 정보/지식산업 시대를 거쳐 제4의 물결 문화콘텐츠산업 시대를 주도 선점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계획을 추진

  - 목표: 글로벌시장 진출 및 중국시장 개척을 위해 아∙태 문화콘테츠서비스산업 융합센터 건설 환경 구축에 주력

  - 기간: 2009~2013년

  - 5년 동안 총경비 262억 신 타이완 달러를 투입하며 문화건설위원회, 신문국 및 경제부 주최

  - 내용: 환경정비와 주력산업 지원 주축

   1) 환경정비: 자금유입추진계획, 산업연구개발 및 보조, 시장유통 개척, 인재양성 및 매칭 등

   2) 6대 주력사업 지원: 신문국 추진 TV, 영화, 대중음악 산업계획, 경제부 추진 디지털 및 디자인산업계획, 문화건설위원회 추진 공예산업계획 등

  - 효익: 가정오락교육 및 문화서비스 지출 비율을 15%까지 제고시킬 것으로 예상하며 6대 주력산업의 경영수익 2013년 1조원 돌파, 6만7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 전문 인재는 약 1만 명 양성 예상

 

 ○ 서비스 무역협정 통한 양안의 기회

  - 2013년 6월 양안은 ECFA의 후속 협정인 서비스 무역협정을 정식 체결했으며, 중국은 대만에 6개 항목을 개방함(중국 영화의 대만 내 후속제작 및 인쇄 작업, 대만 본토 영화의 중국 상영, 극장 및 공연장의 운영권, 대만도서 중국 수입 시 통관절차 간소화 등).

  - 대만이 중국에 개방한 것은 2개 항목으로 스크린쿼터제를 조정해 대만 내 상영 가능 중국 영화 수를 10편에서 15편으로 늘렸으며 합자를 통한 중국 자본의 대만 진출을 개방함(합자형식으로 극장 및 공연장 경영 시 지분은 과반수를 넘길 수 없음).

  - 2010 ECFA 조기수확프로그램에 의해 이미 대만은 매년 중국 영화 10편을 상영, 중국은 대만 영화 수입 규제를 철폐했음. 이로써 2012년 12월까지 대만 영화 21편이 중국에서 상영돼 약 30억 신 타이완 달러의 상영 수익액을 올렸음. 중국 영화의 경우 20여 편이 상영돼 수익액은 약 2500만 신 타이완 달러임.

  - 출판업의 경우 중국은 수입유통 채널을 구축해 대만 도서의 중국 수입 시 절차를 간소화함. 총 수출액에서 대만 도서의 대 중국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3.8%에서 2010년 6.2%로 증가함(금액 환산 시 1억2000만 신 타이완 달러).

 

□ 향후 전망

 

 ○ 대만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 방향은 디지털화 추진에 맞춰져 있어 디지털 출판, 온라인 음악서비스, e-book 등에 여러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함.

  -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전통적인 문화콘텐츠산업이 쇠퇴하는 대신 2012~2015년 대만 디지털 문화콘텐츠산업 가치는 7~10%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

 

대만 문화콘텐츠산업의 디지털화 추세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PricewaterhouseCoopers, 대만경제연구원 정리

 

  - 시장 규모의 지속적 성장과 상품 사용의 용이성 및 저가상품 출시로 소비자의 소비 욕구도 증가해 전체 문화콘텐츠산업 역시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시사점

 

 ○ 서비스업은 제조업의 뒤를 잇는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그 중 문화콘텐츠산업은 창의력,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는 지식경제 핵심산업이고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유망산업 중 하나

  - 수출장벽이 높지 않아 해외시장 진출이 상대적으로 용이해 수출이 산업구조에 있어서 결정적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과 대만의 경우 수출 역군으로 활용이 가능

 

 ○ 2012년 대만 문화콘텐츠산업은 경제 불황과 유가 및 전기 값 상승으로 소비자 지출 감소, 부동산 정책으로 인한 광고시장 유통량 감소로 뚜렷한 성장세는 보이지 않았음. 그러나 문화예술 창작부문의 쇠퇴에도 영화산업의 꾸준한 성장과 인터넷 TV, 유선케이블 VOD, MOD시장 확대 등 꾸준히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중임.

 

 ○ 양안서비스무역협정 체결 또한 대만의 중국 진출 기대감을 증폭시키는 등 향후 문화콘텐츠산업의 성장이 주목됨. 우리 정부와 기업도 경쟁력 확보와 세계 문화산업 주도를 위해 인재양성과 한국적인 문화산업 조성에 주력해야 할 것임.

 

□ (참고) 대만의 주요 문화콘텐츠 상장기업의 운영 현황(2012년 1~6월)

 

산업 분류

주요 기업

영업수익

성장률

총 매출

이익률

영업

이익

 

순이익

 

주당이익

신촨메이

(新傳媒)

13.75

38.44

1.2

-13.33

1.01

-15.61

0.12

쑹강

(松崗資)

-33.36

18.61

-0.09

-

0.06

-

0.1

롄허

(聯合線上)

-6.15

42.48

0.03

-64.38

0.06

-50.54

0.33

영화서비스

더리잉

(得利影)

5.44

27.64

0.09

-3.13

-0.06

-

-0.13

공예미술

류위안(琉園)

6.91

66.89

0.21

-

0.21

301.54

0.46

자료원: 公開資訊觀測站, 대만경제연구원 정리

 

 

자료원: 대만 문화부, 대만경제연구원, 2013 臺灣各産業景氣趨勢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만 서비스산업 동향 – 문화콘텐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