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인은 매일 기름을 먹는다!?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13-10-18
  • 출처 : KOTRA

 

중국인은 매일 기름을 먹는다!?

- 中,대형마트 판매 1위 제품은 식용유 –

- 하수구 식용유 파동으로 웰빙 식용유에 관심 증가 -

 

 

 

 

□ 중국 식용유 동향

 

 ○ 대형마트 내 판매율 1위 제품 식용유

  - 중국에 진출한 롯데마트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대형마트 판매 제품 중 식용유가 판매율 1위를 차지함. 이는 음식을 대부분 기름에 튀기고 볶아먹는 중국 식생활이 반영된 것

  - 중국 내 연평균 식용유 소비량은 3000만 톤이며, 이는 약 1인당 평균 약 20㎏을 소비하는 것임.

  - 식용유는 땅콩유, 대두유, 옥수수유, 식물유, 동물유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제일 소비량이 많은 식용유는 땅콩유로 전체 소비의 40% 이상을 차지함. 2012년 땅콩유 생산량은 1620만 톤, 대두유 생산량은 1177만7000톤임.

 

 ○ 해마다 인상되는 식용유가격

  - 최근에 Jinlongyu(金龍魚), Luhua(魯花), Fulinmen(福臨門) 등 브랜드의 식용유가 연달아 가격을 인상하는데, 그 중 가격 상승폭이 제일 큰 브랜드는 Luhua(魯花)로 가격 인상률이 무려 15%에 달함.

  - 땅콩유는 원가 압력으로 평균가격이 10% 이상 상승했으며 지난해 동기 대비 20%까지 가격이 상승한 것 나타남.

  - 전체 대두 소비의 70%를 수입산에 의존하는 중국은 유전자를 개선한 수입산 대두가 급증함에 따라 중국산 대두는 가격경쟁력을 잃음. 최근 국제 대두 가격 상승이 원재료 비용부담으로 이어져 식용유 가격도 덩달아 뛰고 있음.

 

 ○ 중국산 브랜드의 발언권이 약한 편

  - 현재 중국의 4대 다국적 식량기업(ADM, Bunge, Cargill, Louis Dreyfus)은 중국 전체 소비시장의 75% 이상을 차지하고 이들 기업이 원료부터 가공, 식용유 공급 등을 대부분 차지함.

  - 중국의 97개 대형 식용유 생산기업 중 다국적 식량기업이 지분에 참여하거나 통제하는 기업이 64개이고 중국 주요 식용유 브랜드 중 Jinlongyu(金龍魚)는 100% 외국자본이고 Luhua(魯花)는 49%의 외국자본을 보유함.

  - 최근 중국 식용유시장에서 여러 차례 걸친 시장가격 파동은 모두 다국적 식용유기업과 관련된 것임.

 

□ 중국에서 판매되는 주요 식용유 현황(한국산 포함)

 

중국에서 판매되는 주요 식용유 종류별 인기제품

구분

브랜드

제조사

제조국

소비자판매가(5ℓ)

땅콩유

东鲁花集有限公司

(산동루화기업유한공사)

- 중국 민영기업

155위안

혼합유

龙鱼

益海嘉里投有限公司

(이하이자리투자유한공사)

- 싱가폴의 丰益国际     (WilmarInternational) 기업이 중국에서 100% 투자한 출자 자회사

65위안

옥수수유

长寿

长寿花食品股有限公司

(창서우화식품주식유한공사)

- 중국 산동삼성(山三星)기업 아래에 있는 유지기업임.

- 중국 민영기업

99위안

올리브유

多力

上海佳格食品有限公司

(상하이 지아거 식품 유한공사)

- 대만 지아거(佳格)그룹의 독자투자회사

136위안

 

중국에서 팔리는 한국산 식용유

제품

설명

  

- 현재 중국에 진출해 있는 식용유는 백설 식용유로 주로 올리브유와 포도씨유가 한인마트에서 판매 중임.

- 중국 알리바바 사이트를 통해 도매를 진행하는 대리상들이 있으며 온라인상에서 구매가 가능함.

- 500㎖기준 올리브유는 약 30위안, 포도씨유는 28위안 정도임.

자료원: 칭다오 KOTRA 자체 조사

 

□ 중국의 올리브 식용유시장 동향

 

 ○ 중국, 새로운 올리브유 소비시장으로 부상

  - 올리브유는 중국인이 잘 사용하지 않던 식재료임. 고열에 달군 커다란 프라이팬에 볶는 요리인 중국요리의 특성상 고열에 쉽게 타는 올리브유가 적합지 않음.

  - ‘띠거요우(地油)’ 하수구 식용유, 발암물질 식용유 파동 등으로 외국 제품의 선호도가 높아짐.

  - 중국의 중산층에게 올리브유는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심어지면서 소비가 늘어남.

  - 올리브유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2012년 수입액은 1억5834만 달러를 달성했으며, 주요 수입국은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튀니지 순임.

  - 2012년 기준 한국산 올리브유 수입액은 4만1928달러에 불과함.

 

□ 시사점

 

  건강에 좋다는 식용유는 대부분 올리브유에만 치중돼 있음. 한국 기업은 건강 기능성 식용유 분야에 이미 상용화된 포도씨유 수출을 고려해 볼만함. 발연점이 콩기름보다도 높아 중국의 음식문화를 고려할 때 발전 가능성이 큼.

 

 ○ 식용유의 용량은 5ℓ 대용량 상품이 높은 선호도를 보임. 그 외 2.5ℓ, 2ℓ 등의 순임. 그러므로 작은 용량보다는 대용량을 공략해야 함.

 

 ○ 중국 소비자를 공략할 때 중국은 지역별 구매욕구, 소득수준도 달라 구매력 차이가 큼. 그러므로 특정 소비집단을 공략해 이 소비집단의 수요를 만족시켜야 함. 젊은 소비층이나, 고소득층, 외국 유학파 등을 중심으로 인지도를 높여가야 함.

 

 ○ 중국 시장 진출 전 치밀한 사전조사를 통해 현지시장에 적합한 가격, 유통채널 등을 책정해야 함.

 

 ○ 한류 영향으로 한국산 소비품에 소비자의 관심이 높은 편임. 드라마 PPL, TV광고 등을 통해 한국 제품이라는 특색을 담아 광고한다면 소비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음.

 

 

자료원: 뉴스자료, 百度,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체 조사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인은 매일 기름을 먹는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