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수출직결정보] 여자의 변신은 무죄, 인도 화장품시장 한류 가능성
  • 경제·무역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오준환
  • 2012-09-30
  • 출처 : KOTRA

 

여자의 변신은 무죄, 인도 화장품시장 한류 가능성

- 화장품의 다기능 효과 기대하는 여성 -

- 한국 미백, 한방 화장품 등이 적절해 -

 

 

 

인도의 일인당 화장품 소비량은 기타 아시아 국가에 비해 매우 낮으나 연간 20%의 성장률을 기록함. 특히 자연 색조, 약용가치를 지닌 화장품이 까다로운 인도 고객들의 인기를 끌고 있으며 정부의 FDI 100% 개방으로 국제 브랜드와 업체의 진출이 편리해짐. 한국 화장품의 아시아시장 확장에 따라 인도 시장을 눈여겨봐야 함.

 

□ 인도 화장품 시장 개요

 

  시장조사기관 RNCOS에 따르면 인도 색조화장품시장은 연간 20%의 성장률을 기록함.

  - 이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새로운 브랜드 인지, 여성 직장인 증가 등의 원인으로 기존 국내 기업체를 비롯한 다국적 기업체가 새로운 경쟁사로 떠오름.

  - 특히 인도 여성층의 성장과 소득 증가로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외관을 중시함.

 

  인도 색조화장품시장은 약 2억 달러에 달하며, 주요 업체들로 Hindustan Unilever, L'Oreal, Revlon, Lotus Herbals, Lush, KK Modi Group이 있음.

 

주요 색조 화장품 업체 및 브랜드

자료원: The Economic Times

 

  Assocham의 조사에 따르면 인도의 화장품산업은 2014년에 약 3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음. 이는 가격경쟁력 있는 새로운 업체의 등장과 다양한 프로모션으로 중·소 도시에서의 화장품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임.

  - KK Modi Group 계열사 ColorBar Cosmetics의 전무이사 Mr. Samir Modi는 3~4년 안에 중·소 도시의 화장품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에 올해 22개 매장을 개장할 것이라고 함.

 

  현재 인도의 인당 화장품 소비량은 홍콩 또는 일본보다 40배 적으며 중국 소비량의 반이지만 전문가들은 크게 성장할 인도 화장품시장을 주목함.

 

  인도는 꾸준한 경제 성장으로 중산층이 증가해 생활건강에 관심이 증가하며, 이는 화장품 산업에도 적용됨.

  - 인도 국산 화장품 기업체 Lotus Herbals의 이사 Mr. Nitin Passi에 따르면 자연 색조화장품에 대한 잠재 수요가 있으며 기타 화장품들에 비해 60% 이상 가격이 높게 책정됐으나 인도 여성의 까다로운 화장품 선택에 있어 인기가 있음.

 

□ 인도 정부의 FDI 정책 개선

 

 ㅇ UNCTAD에 따르면 FDI 유치 상위 5개국 목적지 중 1위는 중국, 인도는 2위를 기록함.

 

  인도 정부는 단일 브랜드 유통에 100% FDI를 허용했으며, 이는 국제 화장품 기업체들을 포함한 기타 품목 국제기업들의 소비재 시장에 대한 투자를 유도함.

  - UNCTAD에 따르면 5년 후 단일 브랜드 시장 가치는 200억~25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기존 국제 및 다국적 기업체들은 브랜드와 상점 런칭을 위해 인도 기업체와 파트너를 맺어야 했으며 51% 지분만 소유 가능했으나 FDI 유치정책 변화로 100% 소유 가능하며 이로써 다양한 국제 기업이 인도 시장 접근을 용이하게 함.

  - 그러나 제품 생산 소싱 요구사항으로 인도 중· 소 기업을 통해 최소 30%를 소싱해야 함.

 

인도에 입점한 국제 화장품 업체 점포 및 소매점

자료원: Business of Luxury

 

□ 인도 미용 (화장품) 제품 수입 현황

 

HS Code 3304 기준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2009

2010

2011

2009

2010

2011

1

중국

5.037362

9.361338

17.469469

11.06

13.2

19.51

2

미국

7.058794

9.497762

10.867446

15.5

13.39

12.14

3

태국

6.139271

10.781211

9.117489

13.48

15.2

10.18

4

프랑스

4.158283

6.994778

7.94926

9.13

9.86

8.88

5

독일

3.899153

4.932613

7.626308

8.56

6.95

8.52

6

스위스

5.816123

6.015154

5.133509

12.77

8.48

5.73

7

영국

2.639205

2.215736

5.111612

5.79

3.12

5.71

8

이탈리아

0.917399

1.404438

3.07662

2.01

1.98

3.44

9

대한민국

1.093901

2.86722

2.562558

2.4

4.04

2.86

10

멕시코

1.431341

1.00635

2.521655

3.14

1.42

2.82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색상화장품 성장에 한국을 주목하라

 

  한국의 혁신적인 색조화장품 시장의 성장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의 확산은 타 국가에 좋은 예시임.

  - 시장분석 업체 Mintel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화장품 시장은 일본의 시장이 가장 크지만 한국의 시장은 강한 성장을 보여주며 이는 한국 제품들의 경쟁성을 의미함.

  - 2010년 일본의 색조화장품 시장은 51억 달러에 달하는 최대 규모의 시장이나 최근 성장세 둔화를 보이며 한국 색조화장품은 일본, 중국 및 기타 국가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

  - 아시아 국가의 얼굴 색조화장품 판매량은 일본이 60%를 차지하고 한국은 38%를 차지함.

 

  한국 화장제품들은 스킨케어와 BB크림과 같이 단일기능이 아닌 다기능성을 제품의 특징으로 아시아 시장을 확장시키고 있음.

  - Mintel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시장은 혁신성과 새로움에 대한 대명사이며, 이는 색조 화장품 성장에 큰 기여를 함.

  - 특히, 미백기능, 자연색조 화장품, 약용가치를 포함한 다기능성 한국 제품이 메이크업에 큰 인기를 끌고 있음.

 

미국, 중국 등 화장품 한류를 이끄는 한국 화장품제품

자료원: 동아일보

 

  대표적인 한국 화장품 기업체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제품라인은 최초 한방 화장품으로써 인삼, 소나무, 매화, 동백을 주원료로 사용해 미국, 중국 등 세계 한방 화장품시장을 주도함.

  - 설화수 제품 중 윤조에센스는 2010년 10월 미국의 버그도프 굿맨 백화점에서 추천하는 BG Best Pick 상품으로 선정됨.

 

□ 시사점

 

 ㅇ 일인당 화장품 소비량이 기타 국가에 비해 낮지만 높은 성장세를 미루어 볼 때 인도 화장품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큼.

 

  주름제거, 미백, 약학 및 한방 기능 등 다기능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에 초점을 두는 한국 화장품들의 인도 진출은 성공적일 것임.

  - 그러나 문화의 다양성을 고려해 철저한 현지화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하며, 특히 인도 문화 특성상 동물성 원료 사용 배제할 것.

  - 또한 인도의 여름은 매우 덥고 지역에 따라 습하기도 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기능이 포함된 제품의 인기를 기대할 수 있음.

 

  인도 정부는 FDI를 100% 허용했으며 이는 한국 화장품 기업체의 독자진출을 용이하게 하며 디자인, 기능, 가격에 초점을 두어 적절한 홍보, 전략 수립 및 다양한 유통채널 공략은 인도 화장품 시장 점유 가능케 할 것임.

  - 인도 페이스북 사용자는 약 5000만명으로 세계 3위로 많은 회원을 보유하며 페이스북의 적절한 활용은 유용한 홍보 방법임.

 

  한국 CJ 홈쇼핑, 홍콩 스타 TV와 합작해 인도 현지 법인 스타 CJ 설립해 인도 유통업계에 최초로 진출함.

  - 대도시 중산층을 타깃으로 해 프리미엄 마케팅을 통해 제품을 런칭하기 때문에 효과적일 것이며 성공, 실패 사례 분석 후 전략 수립이 필요함.

 

  * 본 정보와 관련된 세부 내용은 KOTRA가 운영중인 바이코리아 웹사이트 (www.buykorea.co.kr) 참고 요망

 

 

자료원: 더 이코노믹 타임즈, World Trade Atlas, 동아일보, 비즈니스 오브 럭셔리, 코스메틱 디자인 아시아,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체 정보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수출직결정보] 여자의 변신은 무죄, 인도 화장품시장 한류 가능성)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