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 연준 3차 양적완화, 현지 반응과 우리 기업 파급효과 전망
  • 경제·무역
  • 미국
  • 워싱턴무역관 정유진
  • 2012-09-15
  • 출처 : KOTRA

     

미 연준 3차 양적완화, 현지 반응과 우리 기업 파급효과 전망

- 연준, 고용지표 개선 시까지 매달 400억 달러 규모 MBS 매입계획 밝혀  -

- 장기적 양적완화 효과 여부가 관건, 추이 주시 필요 -

     

     

     

□ 연준(Federal Reserve), 3차 양적완화(QE3) 드디어 단행

     

 ○ 9월 1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FOMC) 통해 3차 양적완화 발표

  - 2008년과 2010년 각각 단행된 양적완화정책에 이어 연방준비위원회(연준)은 지난 몇 달간 논의된 3차 양적완화 발표

  - 3차 양적완화조치는 매달 400억 달러 규모의 주택저당증권(MBS: mortgage-backed securities)을 매입함으로써 미 국가경제에 추가 유동성을 주입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함.

  - 1, 2차 대비 기간을 정해두지 않고 주택저당증권을 매입하는 것이 3차 양적완화조치의 가장 큰 차이점

  - 버냉키의장은 3차 양적완화조치의 경우 고용시장의 회복세를 보이며 그 추이를 조절하겠다는 방침이어서 향후 미 고용지표 변동추이따라 이번 조치 지속기간 결정될 듯

  - 연준은 이같은 경기부양조치가 적어도 2015년 중반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와 합치면 2차 양적 완화 때와 비슷한 규모

  - 재무부 장기 국채 매입(오퍼레이션 트위스트)과 합치면 매달 850억 달러가 시장에 풀리는 셈으로 2010년 2차 양적완화 규모와 비슷한 셈

  - FOMC는 또한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조치를 올해 말까지 연장할 것이라고 밝힘.

  - 현재의 초저금리도 유지시한도 2015년까지로 연장

  - 연준은 현재까지 총 3차례의 양적완화조치를 시행했으며 1차 때인 2008~2009년 주택저당증권 6000억 달러를 포함, 총 1조7000억 달러 이상의 채권을 매입

  - 2010년 11월 단행된 2차 양적완화는 6000억 달러 규모로 2011년 6월까지 시행됐음.

     

 ○ 연준, 실업률 하락효과 기대하나 재정절벽 우려해소에는 미흡 예상

  - 연준은 3차 양적완화조치를 통해 시장에 달러 공급을 늘리고 이자율을 낮춤으로써 기업과 개인들의 대출과 소비를 늘리고 이를 통해 국내경기 회복을 현실화할 계획

  - 연준은 이번 조치로 올해 말까지 현재 8.1% 수준인 실업률을 8~8.2% 수준으로 억제하고 내년에는 7퍼센트 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연준은 공화당과 보수주의 경제학자들이 경고하는 인플레이션과 이로 인한 중산층 가구의 식료품· 연료비 부담 가중 우려에 대해서도 언급

  - 연준은 최근 물가상승률이 2%대로 안정, 3차 양적완화로 인한 인플레 심화 리스크 적은 편이라고 양적완화조치 단행 배경을 설명

  - 그러나 연준은 재정절벽(fiscal cliff) 현실화될 경우 이번 양적완화 조치만으로는 충분치 않을 것이라고 우려 표명하면서 이른 시일 내 재정절벽 해소노력 필요함을 역설

 

□ 글로벌 금융시장 일제히 급등, 롬니와 공화당 측은 강력 비난

     

 ○ 미국: 주식시장 급등, 달러화 약세, 주택시장 채권수익률 하락

  - 연준의 3차 양적완화 조치가 발표된 후 나스닥과 스탠더드앤푸어스(S&P) 지수 모두 상승하는 등 미 주식시장은 급등했으며 9월 14일에도 오름세를 지속

  - 13일 다우존스 주가는 평균 1.55% 상승한 1만3539.86 기록, S &P 지수도 1.6% 상승한 1459.99 기록

  - 반면, 재무성 국채(10년 장기) 수익률은 거의 2% 하락

  - 3차 양적완화 직후인 9월 13일 페니매(Fannie Mae) 보증 모기지 채권 수익률은 2.18%로 급락, 주택시장 내 3차 양적완화 조치에 대한 기대감과 효과를 반영

  - 달러화 또한 약세를 기록해 79.7 수준이던 달러인덱스 79.247로 하락(아래 그래프 참조)

 

3차 양적완화발표 직후 S &P지수와 달러인덱스 변화 추이

    

자료원: 파이낸셜타임스(9월 14일자), Thomson Reuters Datastream

     

 ○ 글로벌 시장: 아시아와 신흥시장 강세, 고위험-고수익 상품 주목

  - 아시아 시장의 반응이 두드러졌으며 투자자들이 고위험 고수익 상품으로 포트폴리오 변경하면서 특히 중국 기업채, 잠비아 국채, 라틴아메리카 환율 등의 변동 폭 컸음.

  - 이번 조치로 미 국채와 MBS 등 채권수익률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국제금융시장 내 채권수익률이 높은 희소상품을 찾아 움직이는 것이 새로운 트렌드로 나타남.

  - 일부 투자가들은 연준의 양적완화조치 움직임이 감지된 최근 몇주간 이미 16억 달러를 신흥시장 채권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난 2월 이후 최대 금액임.

     

 ○ 공화당-롬니후보: 현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에 대한 새롭고도 강력한 증거라며 양적완화조치 시행 비난

  - 양적완화조치 이후 공화당의 롬니후보진영은 성명을 통해 시장 내 달러공급을 늘리는 양적완화조치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강력 비판

  - 롬니는 또한 양적완화조치가 필요했다는 사실 자체가 경제회복을 위한 오바마 정부의 정책이 전혀 먹히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증거라고 지적

  - 롬니는 과거 1차와 2차 양적완화조치에 대해서도 올 초 이같은 경기부양조치들이 큰 효과가 있었다고 보지 않는다는 입장을 표명했음.

  - 대선을 불과 50여 일 앞두고 시행된 양적완화조치에 대해 버냉키 의장은 정치적 상황을 이유로 경기부양에 필요한 조치를 더 이상 지연시키기에는 무리라고 판단했음을 밝힘.

     

□ 현지 언론과 전문가 대부분 장기적 파급효과에 중점

     

 ○ 달러약세와 이자율 하락, 증시 상승 등의 긍정적 효과가 시장에 반영, 양적 완화를 통한 단기적 경기 부양효과는 이미 가시화됐다는 반응이 주류

     

 ○ 워싱턴포스트(WP): 3차 양적완화조치 단행 배경에 주목

  - 미 기업연구소(AEI) John Makin은 이번 연준의 양적완화조치를 오늘날 중앙은행이 취할 수 있는 가장 급격한(aggressive) 조치라고 평가

  - 화폐와 세금, 예산정책 전문가로 재무성, 국회예산처(CBO),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컨설턴트로 활동한 Makin은 이번 조치가 장기실업과 경기침체를 우려한 필연적 조치로 보인다고 언급

  - 특히 일본의 ‘잃어버린 10년’과 같은 현상이 미국에서도 재현될 것이라는 심각한 우려와 압박 때문에 연준이 이같은 양적완화조치를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

  - WP는 사설을 통해 기업이 투자와 고용수준을 조절하는 데 소비수요 예측이라는 불확실성이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전제로 연준의 이번 조치가 경기전망 자체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점에서 지나친 통제력 발휘를 경계

     

 ○ 월스트리트저널(WSJ): 3차 양적완화조치가 중국에 미치는 파급효과 주목

  - WSJ는 이번 양적완화조치로 투자자들이 대거 고위험-고수익 투자상품으로 이동해가는 과정에서  중국이 큰 반사이익을 보았다고 지적

  - 특히 중국의 국가성장이 최근 크게 둔화됐음에도 고위 관료들이 국가 경기부양을 위해 아무 조치도 내놓지 않는 상황에서 미국의 이번 조치가 결국 중국 기업에 이득으로 작용할 것이라 예상

  - 달러 유동성 확대로 비록 소비자 물가 상승과 생산자 물가 하락이 우려되는 상황이나 이는 중국 경제구조 특성상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

     

 ○ 뉴욕타임스(NYT): 단기적으로 각종 금리 하락 예상, 장기적 파급효과 주시할 필요

  - 1,2차 양적완화로 모기지 금리 완화와 대기업들의 채권 발행 증가, 경제 성장, 민간부문 고용창출 등의 효과가 있었던 사실을 지적

  - 3차 양적완화로 미 연방정부채와 재무부 발행 장기채 등 기업과 소비자 관련 주요 대출금리가 하락, 시중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리 동반 인하도 실현될 가능성

     

 ○ CNBC: 양적완화가 야기할 수 있는 4가지 잠정적 리스크와 부작용 경고

  - CNBC는 3차 양적완화가 무기한으로 이어질 경우 야기될 수 있는 4가지 서로 다른 리스크를 지적

  - 첫 번째로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로 앞서 WP가 사설을 통해 지적한 바와 같이 경기부양이라는 국가중대사가 연준의 손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상황을 경계

  - 두 번째로 지적된 부작용은 월가의 도덕적 해이로 이는 증권가에 고위험-고수익 상품 투자를 장려하는 풍토를 조성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비윤리적 행태의 가능성을 경고

  - 세 번째로 경기의 자생적 회복능력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으로, 내수경기회복을 위한 연준의 잦은 정책 개입으로 국가경제의 정책개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다는 점

  - 마지막으로 대규모 양적완화노력에도 기대했던 국내경기 회복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잠정적 리스크로 지적

 

□ 전망과 시사점

 

 ○ 달러화와 글로벌 환율변동에 주목해야, 아시아 국가들 실물경제 부담 커질 듯

  - 로이터는 이번 양적완화조치로 달러화 환율이 약세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달러화 대비 환율 강세 효과가 나타나게 된 국가들이 미국을 상대로 환율 전쟁을 벌일 수 있다고 우려

  - WSJ의 경우 아시아 국가들 중 우리나라 포함 물가상승률이 높고 석유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경우 3차 양적완화조치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 더 클 것으로 전망

     

 ○ 국내경제: 환율하락으로 금융시장에는 긍정적이나 실물경제에 부담 작용 가능성

  - 우리나라 증권가가 미 양적완화조치로 급등세를 기록한 바를 통해 알 수 있듯 달러 유동성 증가로 우리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가 증가할 전망

  - 그러나 환율하락이 우리 제품의 수출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수출활동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

  - 또한 1차와 2차 양적완화 당시 원화와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음을 상기해 볼 때 3차 양적완화로 인해 비슷한 파급효과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 우리 수출기업: 수출원가 상승 부담, 글로벌 수요 회복에는 청신호

  - 원화강세와 원자재 가격 급등 가능성은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 혹은 수출원가 상승으로 인한 가격 경쟁력 약화로 연결될 우려

  - 실제로 1차 양적완화 당시 원자재 가격은 약 30% 급등했음.

  - 반면, 미 연준의 3차 양적완화조치로 기대했던 고용시장과 기업투자 활성화가 이뤄질 경우 미 경기 회복으로 인한 수요 회복이 우리 기업 수출활동에 긍정적으로 작용 가능

  - 수출원가 상승분을 상회하는 수준의 글로벌 수요 회복이 이뤄질 경우 우리 수출기업에 긍정적 파급 효과 더 클 수 있어 장기적으로 미국과 EU 회원국 경기회복 추이 면밀히 주시할 필요

     

     

자료원: 미 주요 언론매체, KOTRA 워싱톤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 연준 3차 양적완화, 현지 반응과 우리 기업 파급효과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