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성장산업기술] 케냐, 온라인 상거래가 유망해진 이유
- 트렌드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윤구
- 2012-02-21
- 출처 : KOTRA
-
케냐, 온라인 상거래가 유망해진 이유
- 온라인 전자결제 활성화로 온라인 단체구매 활기 -
- 한국제품 온라인 거래, 현지 스톡세일이 관건 -
□ 소셜 미디어를 타고 단체구매 유행
○ 케냐의 온라인 상거래 형태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단체구매형태로 유행임. 최근들어 빠르게 부상한 온라인 상거래 싸이트는 Rupu (rupu.co.ke), Zetu (zetu.co.ke), Mocality (mocalitydeals.co.ke) 등이며 이 중 Rupu의 경우는 페이스북에 1만7000명, Zetu가 1만2000명의 가입자를 보유
루푸 단체구매 웹싸이트
○ 단체구매는 일정수의 구매고객을 확보하면 구매가격이 현저하게 저렴해지는 장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최근 케냐 내 중산층에 급속히 퍼짐. 주요 인기품목으로는 공연 티켓, 고급식당 식사권, 가족 외식권, 헬스, 스파 등으로 대부분 1회 구매에 1만 실링 이상(120달러 수준)도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신청하며 이 온라인 거래 제공사들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통해 등록 고객들에게 이메일로 상품 정보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 줌.
제투 단체구매 웹싸이트
○ 제투(Zetu)의 마켓팅 담당자에 따르면, 이 단체구매 싸이트를 2010년 말경에 개시했는데 개설 당시에는 온라인 결제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별로 인기가 없는 듯 했으나 1년 사이 케냐 내 온라인 결제시스템이 대폭 확대되면서 단체 구매 고객이 급증했다고 설명
○ InMobi(휴대폰 광고 개발사) 아프리카 담당관은 "케냐 내 단체구매 방식은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수준인데도 예상외로 빠르게 전파 중"이라면서 단체구매를 전문으로 하는 웹싸이트는 기존고객뿐 아니라 신규고객 확보에 효과적이어서 “물류유통만 더 원할해 진다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
모칼리티 단체구매 웹싸이트
□ 온라인 전자결재 활성화가 뒷받침
○ 이와 같은 온라인 단체구매가 활기를 띠는 것은 케냐 내 온라인 전자결제 활성화가 큰 몫을 함. 케냐 중앙은행에 따르면, 2011년 말까지 1010만 건, 총 5779억 실링(약 68억 달러)의 카드결제가 이루어 졌으며 이는 2010년 대비 결제건의 31%, 결제액의 12%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온라인 전자결재 현황
구 분
2010
2011
증가율 (%)
카드 거래액(억 실링)
5,173
5,779
11.7
ATM 거래액
1,176
1,408
19.7
총 카드사용자(만 명)
770
1,010
31.2
직불카드 사용자(만 명)
620
850
37.1
자료: 케냐중앙은행
○ 신용카드 이용증가 이유는 중산층의 증가로 인한 구매력 증가, 시중 은행의 직불카드 발급 증가, 주요 호텔·주유소·소매상가들의 직불카드 단말기 사용 활성화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됨.
○ 이러한 온라인 전자결제와 카드사용의 확대 추세에 따라 VISA카드는 2011년에 나이로비에 지역총괄 사무소를 개설한 바 있으며, 마스터카드도 비자카드와 경합하기 위해 2012년 1월부터 나이로비에 동아프카와 모리셔스를 커버하는 지역허브 개설을 추진 중임.
□ 시사점
○ 신용거래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비자와 마스터 카드도 나이로비를 동아프리카 온라인 결제 허브화를 추진하게 돼 케냐를 비롯한 동아프리카 온라인 상거래가 더욱 활성화될 전망임.
○ 이런 추세에 따라 우리의 IT기술을 현지에 이전할 때가 됐음. 이미 노키아는 휴대폰 판매에서 삼성, 애플에 밀려 나이로비의 지역총괄사무소를 남아공 산하 케냐 지사로 격하시켰지만 2012년 2월부터 나이로비에 아프리카인들을 위한 휴대폰 앱 전문개발연구소를 설치, 애플리케이션 시장을 선점하려는 노력을 기울임.
○ 동아프리카에 대한 전략적 진출로는 고속인터넷 인프라를 활용한 온라인 마켓팅, 전자정부 프로젝트, IT 솔루션 등에 진출 여지가 많은데, 조만간 케냐 정부는 우리도 아직 추진하지 못한 전자주민증도 도입할 예정임.
○ 소자본 창업을 꿈꾼다면 현지에 아직은 도입되지 않은 한국식 택배사업도 추천할 만 함. 물론, 이러한 사업의 실현을 위해서는 현지에 물류창구를 구축, 한국 소비재 상품의 현지 스톡세일이 먼저 가능해져야 함.
자료원: 현지일간지 관련 기사 종합, 케냐중앙은행,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자체분석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신성장산업기술] 케냐, 온라인 상거래가 유망해진 이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불안정한 세계 정세 속 흔들리는 케냐 경제
케냐 2022-05-30
-
1
2024년 케냐 섬유/의류산업 정보
케냐 2024-07-31
-
2
2024년 케냐 농업 동향
케냐 2024-05-27
-
3
2021년 케냐 철강산업 정보
케냐 2021-10-12
-
4
2021년 케냐 산업 개관
케냐 2021-10-12
-
5
2021년 케냐 전력산업 정보
케냐 2021-10-12
-
6
2021년 케냐 건설산업 정보
케냐 2021-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