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의류기업, 아동복시장 진출 활발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12-01-20
  • 출처 : KOTRA

 

중국 의류기업, 아동복시장 진출 활발

- 소득증가와 베이비붐으로 도시민 아동복 소비 커져 -

- 지배 브랜드없이 시장 분산돼 있어, 지금이 중국 아동복시장 진출 적기 -

 

 

 

□ 중국, 아동복 소비 커졌으나 구미지역에 비해서는 크게 낮아

 

 ○ 성숙기에 접어든 캐주얼, 정장시장과 시장경쟁이 치열한 여성복 시장에 비해 중국 아동복시장은 초기단계임.

  - 현재 중국의 0(중국은 만 나이 기준으로 1세 미만이 0세임.)~16세 아동은 3억8000만 명임.

  - 소득증가와 베이비붐으로 도시민의 아동복 소비가 최근 몇년간 지속적으로 늘어남.

  - 그러나 일인당 소비액은 구미지역과 전 세계 평균에 비해 크게 낮음.

 

전 세계 아동복시장 규모

구분

전 세계

중국

미국

서유럽

시장총액(백만달러)

146,040.2

12,445.1

39,290.1

37,996.4

일인당 평균 소비액(달러)

21.3

9.3

127.2

78.8

자료원: 신재부(新財富) 잡지

 

 ○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중국의 아동복 소비규모는 2003년 542억 위안에서 2008년 858억 위안으로 연평균 복합성장률이 10.4%에 달함.

  - 2009~2013년 중국의 아동복 소비액 복합성장률은 연평균 10.1%로 예상됨.

  - 2013년 중국의 아동복 시장 규모는 1383억 위안으로 전망됨.

 

 ○ 2010년 중국의 아동복 생산량은 47억 벌임.

  - 2015년에는 74조5000억 벌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 아동복 시장, 지배 브랜드없이 시장 분산돼 있어

 

 ○ 중국 아동복 기업의 대부분은 생산기업이며 기업 간 제품 품질이 비슷비슷하고 저부가가치제품이 많음.

  - 지배 브랜드가 형성돼 있지 않으며 브랜드 구축, 연구개발, 디자인 면에서 글로벌 아동복 브랜드에 뒤처져 있음.

 

 ○ 중국 로컬 아동복 브랜드는 주로 중·저급 시장에 포진해 있으며 전국이 아닌 일부 특정지역에 영향력을 가짐.

  - 중국의 주요 로컬 아동복 브랜드로는 하오하이즈(好孩子), 바라바라(巴拉巴拉), 보스와(博士蛙), 안나이얼(安奈爾), 파이커란디(派克蘭帝), 홍황란(紅黃藍) 등이 있음.

 

중국의 주요 로컬 아동복 브랜드

브랜드 명

소재지

설명

로고

바라바라

(巴拉巴拉)

원저우

(溫州)

- 2002년 설립. 중국 캐주얼 의류 기업 션마(森馬) 그룹의 아동복 브랜드

- 중국 최초로 판매액 10억 위안 돌파

- 2010년 매출 14조7000억 위안

- 캐주얼 스타일과 밝은 색상이 2~8세 아동들에게 잘 어울림.

    

하오하이즈(好孩子)

쿤샨

(昆山)

- 아동복법인은 1997년 설립. 하오하이즈 그룹이 만든 아동복 브랜드임. 모회사는 1989년 설립된 세계 최대 어린이 자동차 제조사임.

    

보스와

(博士蛙)

상하이

(上海)

- 1996년에 설립. 중국 최대의 아동복 전문 브랜드 중 하나임.

- 백화점, 전문점, 보스와 365 생활관(종합소매점),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판매함.

- 2010년 9월 홍콩 증시 상장. 2010년 매출액 14억 위안

    

자료원: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체 정리

 

□ 의류기업들, 아동복 브랜드 런칭 많아

 

 ○ 최근 시장 내 새로운 경쟁자가 나타남.

  - 중국 최대 캐주얼 브랜드 Metersbonwe는 2012년 봄 아동복 브랜드를 런칭할 예정임.

  - 정장 브랜드 바오시냐오(報喜鳥)는 2012년부터 자사 아동복 서브 브랜드인 비루터(比路特)를 중국 시장에 정식 출시할 것이라고 밝힘.

  - 올해 중국 아동복 시장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임.

  - Metersbonwe, 바오시냐오 외에도 푸젠 스스(石獅), 광저우 둥관(東莞), 포샨(佛山) 등지의 가공무역기업이 중국 아동복 시장에 진출할 예정임.

  - 생산기업의 아동복 자체 브랜드 개발을 활발히 함.

 

□ 아동복 브랜드, 가맹방식으로 점포 확장

 

 ○ 아동복 브랜드들이 가맹방식으로 점포를 늘림.

  - 그중 바라바라(巴拉巴拉)의 영업망이 가장 많고 가장 많은 지역을 커버함.

  - 파이커란디(派克蘭帝), 샤오주반나(小豬班納), 안나이얼(安奈爾), 미키마우스(米奇), 바푸도우(巴布豆) 등 브랜드는 각기 다른 특정지역에서 우위를 차지하며 타지역으로 시장확대를 모색 중임.

 

중국의 주요 아동복 브랜드 점포수

            (단위: 개)

브랜드 명

리잉팡

(麗嬰房)

(대만 미포함)

바라바라

(巴拉巴拉)

보스와

(博士蛙)

하오

하이즈

(好孩子)

파이커란디

(派克蘭帝)

안나이얼

(安奈爾)

바부도우

(巴布豆)

미키

마우스

전체

매장 수

1,590

2,676

1,555

498개 지역 대리유통매장

700

662

500

500

직영

매장 수

1,090

125

685

-

210

220

75

100

직영점

 비율(%)

68.55

4.67

44.05

0

30

33.23

25.25

20

주: 파이커란디(派克蘭帝), 안나이얼(安奈爾)과 미키마우스는 2009년 기준, 그 외 브랜드는 2010년 기준

자료원: 신재부 잡지

 

□ 유통상도 자체 아동복 브랜드 구축

 

 ○ 유통상도 자체 브랜드를 만들기 시작함.

  - 유통상 자체 브랜드는 유통가격을 줄일 수 있어 가격면에서 경쟁력이 있음.

  - 유통상으로부터 시작한 아동복 브랜드 리잉팡은 이미 7개의 자체 브랜드를 보유함.

  - 중국 아동복시장은 브랜드 보유기업이 유통망을 확장하거나 유통상이 자체 브랜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함.

 

□ 수입 브랜드 대리판매 병행하는 아동복 브랜드 많아

 

 ○ 중국 로컬 아동복 브랜드가 중저가 시장에 집중됐으며 고급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많은 기업이 외국제품을 대리판매함.

  - 보스와, 하오하이즈도 외국 아동복 브랜드를 대리판매함.

  - 보스와는 해리포터, 테니스의 왕자, NBA, FC 바르셀로나, 유벤투스 FC, 뚝딱뚝딱 밥 아저씨 등의 브랜드 제품을 대리판매함.

  - 보스와는 자체 브랜드 매장 이외에 365 생활관과 주력점을 보유함.

  - 2010년 중순까지 주력점과 생활관의 매출액이 9000억 위안을 초과했으며 이 점포들의 매출액이 보스와 전체 매출액의 각각 16%와 16.7%를 차지함.

  - 보스와는 2013년까지 80~100개의 생활관과 주력점을 열 계획임.

 

□ 지배 브랜드 없는 지금이 진출 적기

 

 ○ 중국 아동복 시장경쟁이 치열해지나 아직까지 중국 아동복시장 집중도는 높지 않음.

  -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바라바라의 매출액이 전체 시장의 1.87%에 불과함.

  - 브랜드화도 초기단계임.

  - 시장 내 지배브랜드가 형성되지 않은 지금이 외자기업이 진출하기에 좋은 시기임.

 

 

자료원: 신재부 잡지(‘新財富’雜志), 중국항업연구망(中國行業究網), 혜총망(慧聰網)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의류기업, 아동복시장 진출 활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