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베트남, 섬유・신발 산업의 부품 소재 기업 육성 추진
  • 경제·무역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권경덕
  • 2011-06-21
  • 출처 : KOTRA

 

베트남, 섬유·신발 산업의 부품소재 기업 육성 추진

 

 

 

□ 개요

 

  베트남의 섬유·의류, 신발 부문은 수출과 고용창출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중요 산업임.

  - 지난해 두 산업이 기록한 수출 실적은 약 166억 달러였으나,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 수입은 115억 달러로 베트남 내에서 차지하는 원부자재 조달 비율은 매우 낮음.

  - 이처럼 베트남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산업임에도 이 산업을 위한 국내 소재산업 인프라는 여전히 취약한 수준임.

 

□ 섬유·의류·신발 산업의 부품소재 생산 현황  

 

  베트남에서 섬유·의류 산업의 원부자재 조달비율은 약 30~40%이며, 신발은 약 40~50% 수준으로 전해짐.

  - 직물의 생산비율은 약 20~30%, 면화는 약 10% 수준이며, 섬유는 100% 수입에 의존함. 유일하게 국내에서 조달할 수 있는 부자재는 방적사(yarn)임.

  - 신발산업의 소재 가운데 밑창, 캔버스 및 재봉실 등이 베트남에서 조달할 수 있으나 가공과 인조 피혁은 100% 수입에 의존함.

 

  베트남 정부는 이 산업군의 부품소재산업 육성을 위해 특혜를 제공했으나 2007년 베트남의 WTO 가입 이후 중단된 상태임.

  - 이 산업의 생산은 다국적 기업의 OEM 방식으로서 대부분 해외로부터 주문에 의존함.

  - 따라서 국내의 부품 소재 생산기업들도 불안정한 수익성으로 생산설비에 투자를 꺼림.

  - 또한 이 산업군은 소재산업 발전을 위한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산업인데, 예를 들어 염색, 가공 부문은 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집중 투자가 필요함.

  - 따라서 베트남 기업은 이에 대한 투자 여력이 부재해 부품 소재를 수입에 의존해 고비용 생산 구조의 모습을 보임.

  - 즉, 베트남 내 의류·섬유 및 신발 산업의 부품 공급망은 외국계 부품기업과 경쟁이 불가능해 글로벌 공급망으로 편입에 어려운 점으로 작용함.

 

  이러한 현실을 감안해 베트남 정부는 최근 섬유·의류, 신발 소재산업을 육성하고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정책(12/2011/QD-TT)을 준비함.

  - 이 산업군은 국제경제와 시장 환경에 매우 민감한 제품을 생산해 세계경제 불황 시 베트남 경제성장 둔화로 이어지고, 이는 영세한 수준의 자국의 부품 생산 기업이 위기 상황에 처할 수 있음.

  - 따라서 과도한 주문형 생산체제를 탈피하기 위해 R &D를 늘리고 국내외 마케팅 강화를 통해 베트남 내에서 안정적 공급체제를 수립해 글로벌 시장에 직접 부자재를 납품 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는 전략임.

  - 세부 전략으로 베트남 정부는 섬유 및 신발 부품소재 기업 전용 공단 설립 및 수출촉진지원 프로그램을 최우선으로 추진할 계획임은 물론 관련 산업 투자기업에 세제 및 금융상 혜택을 지원함.

 

□ 전망

 

  섬유·의류, 신발 산업이 베트남에서 중요한 산업임에도 최근 베트남 정부의 부품소재산업 육성 지원책은 다소 늦은 감이 있음.

  - 기존의 주문 의존형에서 탈피, 국제시장에 적극 진출하겠다는 전략은 바람직하나 베트남의 섬유·의류, 신발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장기화될 수 있으며, 기계 및 부품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 부품소재산업 육성을 소홀히 할 수 있음.

  - R &D가 이 산업군의 부품소재산업 경쟁력의 열쇠이므로 전문가 확보 및 육성이 절대적임.

 

 

자료 : Vietnam Economic News No.20/2011 및 하노이 KBC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섬유・신발 산업의 부품 소재 기업 육성 추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