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스웨덴, 전동기시장에도 틈새는 있다
  • 현장·인터뷰
  • 스웨덴
  • 스톡홀름무역관 이수정
  • 2011-04-26
  • 출처 : KOTRA

 

스웨덴, 전동기시장에도 틈새는 있다

- 한국산 틈새시장 뚫어 -

- 지난해 한국산 수입 4469% 증가 -

 

 

 

□ 스웨덴 전동기 시장현황

 

 ○ 스웨덴은 총인구 940만 명의 비교적 협소한 시장이나 현재 다양한 전동기 브랜드가 유통되고 있어서 업체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함. 특히 소규모 시장임에도 전동기부문 글로벌 업체인 ABB사가 태동한 곳으로 인지도가 높은 자국브랜드가 있는 만큼 시장 또한 성숙돼 있어 신규업체의 진출이 용이하지 않음.

 

 ○ 관련바이어 Lőnne Scandianvia AB사에 따르면, 현재 ABB사 제품이 관련시장의 약 40% 이상을 점유하고 나머지 시장을 놓고 그동안 Simens, VEM 등 독일산 제품이 주로 각축을 벌여왔으나 최근 들어서는 핀란드 제품(Mako 및 기타 OEM 브랜드)의 점유율이 확대되고,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체코와 중국산의 시장진출도 두드러지는 것으로 확인됨.

 

 ○ 한편, 지난해 30% 이상의 총수입 감소에도 한국제품은 4469%라는 경이로운 증가율을 보여 글로벌 브랜드가 기진출한 시장에서 틈새시장을 공략한 우수사례로 평가받음.

 

□ 수입통계

 

 ○ 스웨덴의 HS Code 850153(고압전동기)의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2010년 기준 총 수입액 5570만 달러이고, 전년대비 31.7% 감소했으며, 주요 수입시장으로는 핀란드(70.0%), 체코(9.0%) 등임.

 

 ○ 2010년 대한국 총 수입액은 16만5000달러로 전년대비 무려 4469%의 폭발적 증가세를 보이면서 수입 21위(2009) 국가에서 수입 9위(2010)로 12단계가 상향됐고, 시장점유율도 0.1%(2009)에서 0.3%(2010)로 증가함.

 

 스웨덴의 전동기 수입현황

 (단위 : 천 크로나)

순위

국가

2008

2009

2010

점유율

(2010)

증감률

('10/'09)

1

핀란드

428,805

354,497

280,593

70.0

-20.8

2

체코

31,863

38,852

36,247

9.0

-6.7

3

독일

52,380

60,868

32,107

8.0

-47.3

4

브라질

48,066

25,687

22,898

5.7

-10.9

5

노르웨이

27,090

3,492

14,279

3.6

308.9

6

중국

2,780

1,766

6,317

1.6

257.7

9

한국

1

26

1,188

0.3

4469.2

 

기타

13,548

102,094

7,459

1.9

-92.7

     

총계

604,533

587,282

401,088

100.0

-31.7

주 : 이 통계자료는 발송지 기준임.
평균 대미환율 : US$1= SEK 7.20('10), SEK 7.67('09), SEK 6.58('08)

자료원 : 스웨덴 통계청

 

□ 경쟁동향

 

 ○ 스웨덴의 전동기 생산업체로는 글로벌업체인 ABB사가 있으며 내수시장의 약 40% 이상을 점유함. 한편, 이 회사제품은 높은 품질경쟁력으로 고가임에도 현재 전 세계 여러 나라에 수출함.

 

 ○ 현지시장에서 유통되는 전동기는 크게 일반 인더스트리용과 마린용으로 구분되며, 인더스트리용 전동기 강자로는 ABB, Simens, VEM, WEG, Lőnne 등이 있고, 마린용으로는 Gates, MEZ, Trasco, Lombardini 등이 있음.

 

□ 시사점

 

 ○ 스웨덴 내 생산업체 및 기 진출 글로벌 업체들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가격대비 품질경쟁력을 인정받아 2009년부터 한국제품의 시장점유율이 지속 증가함.

 

 ○ 유선 접촉한 바이어들에 따르면 각 산업분야에서 사용하는 전동기는 높은 기술을 요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시하고 있어 그동안 자국기업인 ABB와 글로벌 기업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들이 강했다고 전함. 그러나 최근 들어 기술발달로 제품 간 품질차이가 점차 좁혀지고 있어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은 전시회 참여를 통해 제품을 홍보하는 한편,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함.

 

○ 특히, 유럽시장 진출경험이 있는 한국업체는 이를 강조함으로써 품질경쟁력을 내세우는 한편, 유럽 내 물류창고 확보로 배송 기일을 단축하면 틈새시장 공략에 승산이 있을 것으로 관련자들이 전함.

 

 

자료원 : ABB사, Lőnne Scandianvia AB사 등 관련기업, 스웨덴 통계청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스웨덴, 전동기시장에도 틈새는 있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