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러시아 아연도금 강판 시장 동향
  • 경제·무역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1-03-10
  • 출처 : KOTRA

 

러시아 아연도금 강판 시장 동향

 

 

 

 ○ 지난 몇 년간 러시아 아연 도금 강판 및 폴리머 피복강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왔음. 2009년 러시아에서는 약 343만t의 아연 도금 강판과 95만t의 피복강이 생산됐음. 비록 새로운 생산 라인이 설치됐고 주요 강철 생산 업체들이 향후 생산 라인을 더 건설할 계획이 있지만 여전히 러시아 시장에서는 아연 도금 강판 제품이 부족한 실정임.(연간 100만t)

 

 ○ 아연 도금 강판 제품의 주요 원자재인 아연 시장은 러시아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가장 큰 규모의 아연 생산업체는 Chelyabinsk zinc plan과 Electrozinc사로, 이들 기업은 아연 제품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현재 시설들을 개조할 계획임. 만약 이러한 계획이 이행된다면 2012년 말까지 러시아 아연 생산량은 연간 40만~50만t으로 증가할 것임. 그러나 현재 국내 아연 수요가 연간 20만t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러시아에서 생산된 초과 아연은 CIS 국가 및 유럽 국가 등지로 수출되고 있음.

 

 ○ 한편 러시아에서는 건설 산업이 그 어떤 분야보다도 아연 도금 강판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반면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아연 도금 강판 제품의 수요가 높은 부문은 자동차 산업 부문이고, 그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러시아에서 이 분야는 HSLA(High-Strength Low-allow Steel) 및 AHSS(Advanced High Strength Steel)에 대한 소비가 줄어들었는데, 이는 주로 국내 자동차 산업이 이러한 종류의 강철 제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임. 최근 러시아에 생산 시설을 제공하기 시작한 해외 자동차 제조업체 수의 증가를 고려하면 2012년 말까지 연간 HSLA 및 AHSS 제품에 대한 수요는 각각 20만t 및 13만t이 될 것이나 이러한 제품에 대해 국내 수요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미미할 것임.

 

 ○ 현재 저온 아연 도금 강판 제품이 80% 가량을 점유하고 있으나 고온 아연 도금 강판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전문가들은 자동차 산업이 향후 고력강 제품에 대한 수요형성의 주요 원인이 될 것이라 언급함. 또한 2012년까지 러시아에서 생산될 해외 브랜드 자동차의 70%가량이 한국, 일본, 미국 브랜드가 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이러한 성장이 연간 35만t의 아연철 도금 강판(ZF)에 대한 수요를 이끌어 낼 수 있음. 아연 도금 강판 시장에서 새로운 트렌드가 될 기타 상품으로는 아연 도금(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콘) 강철 제품임.

 

 ○ 이러한 상품들은 강철 부식 방지 및 도금 아연 소비량 감소를 가능케 할 것임. MMK를 포함한 몇몇 야금 공장들은 이러한 아연 도금 강판의 생산에 착수했으나 수요는 아직 높지 않은 편임. 전문가들은 이를 신기술에 대한 낮은 소비자 인식으로 설명함. 위에 언급된 MMK, NLMK 및 기타 강철 생산 업체들의 전망 고려는 자동차 산업에서 이용되는 고강도 제품을 포함한 강철 제품의 생산 차별화 전략을 설명함.

 

 ○ 건설 산업은 2008년까지 빠른 속도로 성장해 왔고 국내 생산자들은 증가하는 국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었음. 반면 지난 몇 년간 수입은 증가해왔고 2009년 러시아 국내 시장의 25~30%가량을 해외 생산품이 점유했음. 러시아 생산자들에 따르면 국내 수요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카자흐스탄(54%), 중국(11%), 우크라이나(13%)의 저렴한 아연 도금 강 제품의 수입이 증가했음.

 

 ○ 2009년 1월 러시아는2만8000여t의 아연 도금 강판을 생산했고, 이는 2008년 9월의 생산량 15만2000t에 비해 81.6%의 생산량 감소를 보였음. 한편 러시아 국내 시장에서의 아연 도금 강판 가격은 t당 3만 루블이고, 자국 통화 가치 절하로 인해 우크라이나 가격보다 20% 가량 높음. 러시아 주요 강철 생산 업체는 Magnitogorsk Iron & Steel Works(MMK), Novolipetsk Steel(NLMK)와 Severstal로 이들 기업들은 200일간 수입 아연 도금 강판에 대한 관세를 현재의 5%에서 33%로 인상할 것을 러시아 산업에너지부에 요청했으나 이와 같은 규정이 아직 승인되지는 않았음.

 

 ○ 2009년 MMK사와 NLMK사는 독일의 Zungwig equipment사와 이탈리아의 FATA equipment사와 더불어 새로운 도금 라인을 설치할 계획이었음. Severstal사 또한 2010년 새로운 생산 라인 개설(SMS DEMAG, 독일)에 관해 발표했고 이들 주요 3대 생산 기업의 생산량은 150만t이 될 예정이었으나 건설 산업의 불황으로 인해 기업들은 이러한 계획을 포기해야만 했음. 2009년 총 생산량은 수요 감소로 인해 2008년 생산량의 80% 수준이었음.

 

 ○ 러시아는 산업생산 현대화 및 신규 설비투자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건설산업의 경우 2008년까지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고 2009년 경제 위기로 인해 침체됐었으나 2010년 이후 다시 회복세에 접어들고 있음. 국내 생산자들은 증가하는 국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상황이어서 향후 수입은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010년 한국의 대러 아연도강판 수출은 전년대비 109.8% 증가함.

 

 ○ 게다가 2012년 블라디보스톡 APEC 정상회의, 2014년 소치동계올림픽, 2018년 월드컵 준비 프로젝트와 각종 플랜트, 자원개발에 대한 국내외 투자 증가, 이 행사 프로젝트 관련 자재납품 등에 성공할 경우 수출은 대폭 증가 가능성 있음.

 

HS 721030(아연을 전해도금 또는 도포한 것) 수입통계

순위

국가명

수입액(백만 달러)

점유율(%)

증감률(%)

2008

2009

2010

2008

2009

2010

10/09

0

World

782.782

322.459

835.300

100.00

100.00

100.00

159.04

1

China

323.981

92.239

529.788

41.39

28.61

63.43

474.37

2

Korea, South

41.230

31.738

52.850

5.27

9.84

6.33

66.52

3

Belgium

115.800

21.909

51.871

14.79

6.79

6.21

136.76

4

Finland

44.010

25.848

51.311

5.62

8.02

6.14

98.51

5

France

2.814

23.286

30.791

0.36

7.22

3.69

32.23

6

United Kingdom

65.177

26.458

21.542

8.33

8.21

2.58

-18.58

7

Kazakhstan

40.772

18.450

20.352

5.21

5.72

2.44

10.31

8

European Union

5.159

11.392

10.557

0.66

3.53

1.26

-7.33

9

India

3.297

2.894

9.860

0.42

0.90

1.18

240.76

10

Italy

5.525

6.692

9.102

0.71

2.08

1.09

36.01

               자료원 : 러시아 관세청

 

 

자료원 : 러시아 관세청, RBC, KOTRA 모스크바 KBC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아연도금 강판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