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카자흐스탄, 하반기 경제실적 전망
  • 경제·무역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10-11-09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하반기 경제실적 전망

- 경제실적 매우 밝아, 한-카 교역 크게 증가 -

     

 

 

□ 카자흐스탄 최근 경제 동향

     

 ○ 카자흐스탄은 2007년 미국발 서브프라임에 이어 2008년부터 글로벌 경제위기 영향을 크게 받아왔음.

  - 국제 주요 경제조사기관들은 2009년 카자흐스탄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국제 원유가격의 상승으로 카자흐스탄 정부 예상치인 1.2%에 머물렀음.

     

 ○ 인플레이션이 17.1%에 달했던 2008년도에 비해 2009년은 7.3%까지 감소했는데 이는 금융권의 유동성 문제에 따른 급격한 민간 소비위축과 거품 경제의 안정화에 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

     

 ○ 2008년 현지화 텡게 절하 조치(25%) 이후 환율 변동은 매우 안정적이라 할 수 있음.

  - 2009년 2월 중앙은행장 마르첸코의 텡게화 평가절하 가능성 발표 후 급격히 절하(25%)된 카자흐스탄 환율은 현재 147텡게 선을 지속 유지하고 있음.

  - 2010년 5월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환율 변동폭을 달러당 127.5~165텡게 선으로 유지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산업 다변화를 위해 급격한 환율 절하 조치는 당분간 없을 것으로 보임.

     

 ○ 2009년 카자흐스탄 재정적자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인해 -3.2%를 기록했는데 2010년 현재 같은 기조로 -3%대를 유지하고 있음.

  - 경기부양 및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법인세 인하(20→15%) 조치와 점진적인 부가세 인하 등으로 재정수익이 크게 줄었으나 2010년 상반기부터 원유 수출세를 톤당 20달러까지 높여 정부 예산을 보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다만 급격한 원유 수출세 증가 조치는 현지 투자한 메이저 원유회사들의 우려를 크게 낳고 있는 상황임.

  - 카자흐스탄 정부는 2009년 경제위기를 맞으면서 오일기금으로 재정을 보전하기 시작했는데 2010년부터는 보전 금액을 연간 100억 달러 미만으로 한정했음. 2010년 8월 기준, 카자흐스탄은 이미 중앙은행으로부터 80억 달러 가량의 예산을 보전한 것으로 나타남.

     

카자흐스탄 거시경제지표 및 예상

구 분

GDP 증가율(%)

GDP 규모

(억 달러)

교역량

(억 달러)

외환보유고

(억 달러)

물가상승률(%)

환율

(텡게/달러)

FDI

(억 달러)

2005년

9.7

632

452

153

7.6

132.8

66

2006년

10.7

851

619

335

8.4

127.3

105

2007년

8.5

1,060

795

388

10.8

122.1

174

2008년

3.2

1,320

1,090

469

9.5

120.7

128

2009년

1.2

1,056

727

476

7.3

148.2

95

2010년

5.8

1,318

898

548

6.8

147.3

122

2011년

4.9

1,485

921

550

6.9

146.3

125

자료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EIU, WTA

     

 ○ 2010년 현재까지 카자흐스탄 산업생산량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카자흐스탄 정부는 2009년 하반기에 2010년부터 시작되는 산업발전 5개년 프로그램을 발표하면서 중국의 차관(약 100억 달러) 및 WB 차관(약 20억 달러)과 더불어 2010년 8월까지 약 553억 달러 가량의 경제부양 예산이 소요된 것으로 밝힘.

  - 2010년 1~8월까지의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대비 약 11%이며 제조업은 19%에 이름.

     

2010년 1분기 산업생산 증가율(전년동기대비)

                                                                                                                  (단위 : %)

구 분

2010년 3월

2010년1~8월

광업

10.7

5.8

제조업

19.0

19.1

전력(가스, 수력발전 포함)

13.0

7.6

총 산업생산 증가율

13.7

10.9

자료원 : EIU

     

□ 2010년 하반기 한-카 교역동향

     

 ○ 2009년 카자흐스탄 금융권의 정책적 구조조정에도 국제 신용도가 매우 악화돼 2009년 대카자흐스탄 한국 수출은 급격히 감소했음. 그러나 3분기부터 점차 회복세를 보여 2010년 1~8월 수출은 전년대비 9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대카작 한국 수출의 급격한 증가에 반해 수출 경쟁국인 러시아, 독일, 중국의 수출 회복세는 한국보다 다소 늦어지는 상황임.

  - 2010년 1월부터 실효된 러시아-카자흐스탄-벨라루스 관세동맹 효과에 의해 러시아 수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의외의 결과라고 할 수 있음.

     

 ○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국제 원부자재 가격상승과 글로벌 경제위기 영향으로 카자흐스탄 한국 수입은 52%나 감소했으나 2010년 상반기부터 큰 증가율을 보임.

  - 그동안 카자흐스탄에서의 수입품은 비철금속에 한정돼 있었으나 2010년 하반기 곡물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 특징임.

     

한-카 교역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1~8월

교역량

370.3

517.9

514.2

599.7

802.7

698.2

474.4

595.2

(113.6)

(33.3)

(18.4)

(14.2)

(1.1)

(36.5)

(-52.5)

(85.3)

무역수지

64.1

109.9

30.9

47.9

289.2

-2.7

141.6

191.0

자료원 : WTA, KITA

     

     

□ 2010년 하반기 카자흐스탄 경제실적 전망

     

 ○ 카자흐스탄의 2010년도 GDP는 2009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카자흐스탄 정부는 4%대로 예상하며 국제 경제연구기관들은 5%대로 예상함.

  - GDP 증가 예상의 주 요인은 국제 원유가격 상승(2010년 국제 브랜트유 가격은 톤당 78달러일 것으로 예상)과 산업생산량 증가이며 산업생산 증가율은 7.4%일 것으로 예상됨.

     

 ○ 2010년 상반기 카자흐스탄 수출규모는 약 259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7%가 증가했는데 이는 국제 원부자재 가격 상승에 의한 결과임. 2010년 전체 수출규모는 전년대비 35%대의 증가율이 예상됨.

  - 반면 2010년 상반기 카자흐스탄 수입은 전년대비 1.6% 감소했는데 이는 카자흐스탄의 민간 소비 부문이 여전히 저조하기 때문으로 풀이됨.

     

 ○ 2010년 상반기까지 금융권 안정화(시중은행 국유화 및 구조조정)의 과도기라 할 수 있어 민간 소비가 크게 회복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며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은 6%대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 2010년 한-카 교역은 수출 경쟁국들(러시아, 중국, 독일)에 비해 매우 빠른 회복세를 보였으나 러시아-카자흐스탄-벨라루스 관세동맹의 역외 관세 차별로 급격한 수출 증가는 어려울 것임.

  - 알마티 KBC의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2011년 대카작 한국 수출은 10% 정도의 증가세를 보여 2007년 규모로 회복될 것임. 2010년 전체 수출이 전년보다 급격히 증가할 것은 기정사실이며 현대 로템 전동차 수출실적을 제외한다면 기초 산업기계 및 산업기계 수출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음.

     

 

정보원 : 카자흐스탄 통계청, 카작 중앙은행 WTA, KITA, 한국수출입은행, 알마티KBC 자료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하반기 경제실적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