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칠레 시장, 브랜드 가치 1위 기업은 `Google`
  • 경제·무역
  • 칠레
  • 산티아고무역관 성기주
  • 2010-11-05
  • 출처 : KOTRA

 

칠레 시장, 브랜드 가치 1위 기업은 `Google`

- BrandIndex 보고서, 63.5%로 1위 차지 -

- 한국 브랜드 순위 뒤쳐져 -

 

 

 

□ 영국 YouGov 조사결과 발표

 

 ○ 영국 YouGov에서 실시한 12개 분야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인 칠레 BrandIndex 보고서에 따르면 칠레에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유한 브랜드는 인터넷 검색엔진인 Google인 것으로 나타남.

 

BrandIndex 발표 칠레 브랜드 인지도 순위 현황

순위

브랜드

순위

브랜드

1

Google

18

Cerveza Corona

2

Nestle

19

Quaker

3

Sony

20

Elite

4

Mercedes Benz

21

Hipoglos

5

MBMW

22

HP

6

Nokia

23

Mentholatum

7

Savory

24

Cachantun

8

Coca Cola

25

Colgate

9

Soprole

26

Aspirina

10

Cervaza Heineken

27

Jumbo

11

Audi

28

24 Horas

12

Tapsin

29

Vichy

13

Lipton

30

Volvo

14

Apple

51

LG

15

CNN Chile

66

Samsung

16

Casa & Idea

94

Hyundai

17

Redcompra

 

 

자료 : BrandIndex

 

 ○ Google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의 만족도 또한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조사됨.

 

 ○ Google에 이어 10위권에 랭크된 브랜드는 전자 브랜드, 개인위생제품, 식품류, 자동차 브랜드였으며, 그 밖에 신용카드·직불카드 브랜드, 의약품, 음료 브랜드 또한 높은 인지도를 나타냄.

 

□ 분야별 비중

 

 ○ 분야별 비중은 전체 300대 브랜드의 28.9%가 전자제품 브랜드로 1위를 기록했으며, 그 뒤로 개인위생, 식품, 자동차, 항공사 등의 비중이 높았음.

 

분야별 랭킹 비중 현황

자료 : BrandIndex

 

 ○ 전자제품은 일본 브랜드인 Sony의 브랜드 인지도가 전체 순위 3위를 기록해 가장 높았고 그 뒤로 Apple, HP 등이 30위 내에 랭크됐음.

 

 ○ 자동차 브랜드는 럭셔리 브랜드의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Mercedes Benz를 선두로 BMW, Audi, Volvo, Toyota 등이 Top 5에 랭크됨.

 

 ○ 최근의 부진에도 휴대폰 브랜드는 Nokia가 전체 순위 6위에 랭크되며 분야별 순위에서 1위를 기록했음. 그 뒤로는 Apple, Sony-Ericsson 등이 대표 브랜드로 인식됨.

 

□ 한국산 브랜드 인지도 현황

 

 ○ 한국 브랜드 제품의 경우 전체 100대 브랜드 중 총 3개 사가 순위에 올라 실제 시장점유율에 비해 브랜드 인지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가장 높은 인지도를 나타낸 브랜드는 전통적으로 중남미에서 강세를 보여온 LG로 전체 순위 51위, 전자제품 분야 10위 내에 랭크됐으며 자동차의 경우 현대 브랜드가 전체 순위 94위, 자동차 부문 16위를 기록함.

 

□ 다국적 브랜드 인지도 압도적 우세

 

 ○ 모든 소비재 및 중간재가 수입으로 충족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칠레 시장은 자체 산업 및 브랜드 구축이 미미한 상황임.

 

○ 그 결과, 이번 조사에서 나타나듯이 현지 브랜드보다는 다국적 기업의 인지도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며 20위권 내 토종 브랜드는 5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 이에 따라 칠레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 이전에 다국적 기업의 시장 침투가 앞서면서 칠레 토종 브랜드의 성장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분석됨.

 

○ 또한 분야별 인지도 현황에서 전자제품 브랜드가 전체 랭크된 브랜드의 28.9%를 차지했다는 점은 칠레 소비자의 전자제품에 대한 관심 및 구매욕이 상당히 강하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시사점

 

 ○ 칠레 시장은 중남미에서 가장 선진화된 시장이자 가장 경쟁이 치열한 시장으로 브랜드 홍보 및 시장 트랜드를 파악한 마케팅 전략이 가장 중요함.

 

 ○ 뿐만 아니라 중남미 전체 시장의 미래 동향을 짐작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도 향후 중남미 시장진출 전략 수립에 참고해야 할 사항임.

 

 ○ 또한 칠레가 주변국에 비해 더 나은 인프라 및 사회시스템을 확립하면서 페루, 볼리비아 등 주변국의 트랜드 및 유행을 선도하는 국가로 변모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칠레에서의 브랜드 이미지가 중남미 주변국의 브랜드 이미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효과적인 중남미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칠레 시장에서의 적절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 전략이 필요함.

 

 ○ 향후 우리 기업의 칠레 시장 진출 시, 자사 브랜드 이미지 확립을 위한 노력이 강화돼야 하며 중소기업의 경우에도 OEM 생산보다는 자체 브랜드를 통한 진출을 적극 검토해야 할 시점임.

 

 

자료원 : 경제지 Estrategia, KOTRA 산티아고 KBC 자체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칠레 시장, 브랜드 가치 1위 기업은 `Google`)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