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對대만 수출품목 TOP 2 - 석유화학제품(상)
  • 경제·무역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10-10-28
  • 출처 : KOTRA

 

우리나라 대대만 수출품목 TOP 2 - 석유화학제품(상)

 

 

 

 개요

 

  석유화학제품은 우리나라의 대대만 2대 수출품목임.

  - 대대만 석유화학제품 수출금액은 2009년에 13억8000만 달러, 2010년 1~9월에는 15억3000만 달러로 작년 한해 수출 실적을 돌파함.

 

  우리나라의 대대만 주요 수출 석유화학제품으로는 ▶파라크실렌 ▶벤젠 ▶혼합크실렌 ▶톨루엔 ▶부타디엔 ▶에틸렌 ▶스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있음.

 

우리나라의 대대만 석유화학제품 수출 현황

                                                                                                                  (단위 : US$ 백만, %)

 

2009년

2010년 1~9월

기초

원료

중간원료,

플라스틱·고무·인조섬유 원료

플라스틱·고무·인조섬유제품 

The Tou-Fen Petrochemical

Complex

(頭石油化學中心)

苗栗

 

CPDC

CGPC

TTC, Hualon,

TFC, CCP

The Ta-Shen, Jen-Wu, Lin-Yuan

Petrochemical Complexes

(大社-仁武-林園石油化學中心)

高雄

CPC

USI, APC, FPC, TVCM, OUCC, CMFC, GPPC, T.S.M.C., LCY, CPDC, KMC, Bayer, TPCC, DCC, CHIMEI, TSRC, Nantex, Shin Foong, CSRC

 

The Mai-Liao Yun-Lin Offshore

Petrochemical Complex

(雲林麥寮離島石化中心)

雲林

FPCC

FPC, NPC, FCFC,

DCC, CCP

 

자료원 : 공업기술연구원IEK(2010.3)

 

 석유화학 제품별 수급 현황

 

  기초원료

  - 2000년대 들어 제6기 NCC가 차례로 완공되고 양산을 개시함에 따라 주요 석유원료의 장기간 공급 부족문제가 다소 해소됐으나, 프로필렌을 제외하고는 자급률이 100% 미만이므로 여전히 일정한 수입의존도를 보임.

  - 에텐는 수입이 감소하는 가운데 주요 수입국은 사우디아라비아(45%), 일본(24%), 한국(21%) 순임.

  - 프로필렌은 2007년도에 Formosa 제 6기 NCC 제 3공장이 완공되면서 수급이 균형을 이루며 수입량은 연간 30만 톤 안팎으로 일정한 편이나 수출량이 증가함. 그 중 대중국 수출비중이 89%를 차지

  - 뷰타디엔은 자급률 89%로 공급이 다소 부족하며 한국(36%), 사우디아라비아(21%), 인도(16%) 등지로부터 연간 약 15만 톤 내외를 수입함.

  - 벤젠도 자급률 부족으로 연간 60만 톤 이상을 수입하며 우리나라에서의 수입 비중이 거의 절반(49%)을 차지함.

  - 톨루엔은 기초원료 중에서도 자급률이 가장 저조한 품목으로 연간 약 20만 톤을 수입하며 우리나라에 대한 수입 비중이 73%에 달함.

  - 자일렌은 2007년도에 FCFC사의 생산능력 확충으로 수입량이 감소했으나 연간 약 130만 톤을 수입하며 그 중 일본산이 58%, 한국산이 19%를 차지함.

 

기초원료 수요량 및 자급률

            (단위 : 천 톤, %)

품목

2008년

2009년

2010년(e)

2011년(f)

2012년(f)

자급률

(2009년 기준)

에텐

3,951

4,004

4,085

4,125

4,105

96

프로필렌

2,380

2,616

2,668

2,695

2,681

108

부타디엔

561

589

601

589

595

89

벤젠

1,978

2,230

2,275

2,121

2,383

70

톨루엔

270

165

255

242

252

24

자일렌

2,778

3,148

3,210

3,307

3,439

78

 자료원 : 공업기술연구원IEK(2010.4)

 

  플라스틱 원료

  - 대만은 ABS수지를 비롯한 PVC, PP를 위주로 생산함.

  - 플라스틱 원료는 현지 생산량이 내수를 충족하고 남을 정도로 자급률이 높아 수입이 감소하며 수출량이 증가세를 보임.

  - 플라스틱 원료는 대중 수출의존도가 높은 품목으로 품목별 대중 수출비중이 평균 45% 이상을 차지함.

 

플라스틱 원료 수요량 및 자급률

            (단위 : 천 톤, %)

품목

2008년

2009년

2010년(e)

2011년(f)

2012년(f)

자급률
(2009년 기준)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360

304

342

352

359

218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321

304

332

346

356

190

PP(폴리프로필렌)

515

541

546

557

563

228

PVC(폴리염화비닐)

598

514

626

526

512

275

PS(폴리스티렌)

64

103

105

109

112

756

ABS수지

60

144

147

152

157

866

자료원 : 공업기술연구원IEK(2010.4)

 

  인조섬유 원료

  - 대만은 PTA와 EG를 위주로 생산하며 자급률이 높음. PTA는 수입 수요가 전혀 없으며, PTA와 EG 잉여물량의 90% 이상이 중국으로 수출됨.

  - 나일론 원료 CPL의 경우 대만에서는 유일하게 CPDC사가 생산하므로 자급률이 저조하며 수입의존도가 높음.

  - CPL의 연간 수입량은 40만 톤 이상으로 일본(28%), 러시아(17%), 벨기에(11%), 네덜란드(10%) 등지로부터 수입함.

 

인조섬유 원료 수요량 및 자급률

(단위 : 천 톤, %)

품목

2008년

2009년

2010년(e)

2011년(f)

2012년(f)

자급률
(2009년 기준)

EG(에틸렌 글리콜)

825

1,006

1,026

1,056

1,035

203

PTA(고순도 테레프탈산)

2,110

2,235

2,279

2,302

2,348

197

CPL(카프로락탐)

637

654

691

705

719

39

자료원 : 공업기술연구원IEK(2010.5)

 

  고무원료

  - AN은 연간 약 10만 톤을 수입하나 2008년도에 Formosa에서 생산능력을 확충함에 따라 수입량이 하락세를 보이며 2009년도에는 사상 최초로 수출량이 수입량을 초월함.

  - BR은 생산량이 수요량의 5배를 웃도는 품목으로 수출의존도가 높고, 그 중 50% 비중이 중국으로 수출됨.

  - SBR 역시 수출주도형 품목으로 일본(26%), 인도(25%), 중국(16%), 태국(14%)으로 수출됨.

 

고무원료 수요량 및 자급률

            (단위 : 천 톤, %)

품목

2008년

2009년

2010년(e)

2011년(f)

2012년(f)

자급률

(2009년 기준)

AN(아크릴로니트릴)

374

410

422

439

452

101

BR(부타디엔 고무)

10

10

14

12

11

544

SBR(스틸렌-부타디엔 고무)

67

59

67

60

61

159

자료원 : 공업기술연구원IEK(2010.4)

 

  중간원료

  - SM의 경우 수급이 대체로 균형을 이루며, 2007년도에 FCFC사의 생산능력이 확충됨에 따라 수출량 증가세를 보임.

  - VCM과 VAM은 수출로 잉여물량을 수출하며 중국을 위주로 수출함.

  - MMA 일부 품목은 수입의존도가 높은 반면, 일부 품목은 수출주도형임. MMA의 연간 수입량은 약 9만 톤으로 싱가포르(37%), 일본(37%) 등지로부터 수입하며, 연간 약 4만 톤의 수출량은 한국(36%), 베트남(20%), 인도네시아(14%)로 수출함.

 

중간원료 수요량 및 자급률

         (단위 : 천 톤, %)

품목

2008년

2009년

2010년(e)

2011년(f)

2012년(f)

자급률

(2009년 기준)

VCM(염화비닐모노어)

1,379

1,432

1,461

1,504

1,535

124

SM(스틸렌모노어)

1,534

1,777

1,813

1,867

1,905

107

VAM(비닐아세테이트모노머)

263

251

268

263

266

162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192

227

232

241

248

77

자료원 : 공업기술연구원IEK(2010.4)

 

 

자료원 : 행정원 주계처, 2010년 석유화학산업 연감, ITIS, 공상시보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對대만 수출품목 TOP 2 - 석유화학제품(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