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말레이시아, 경제변화 프로그램(ETP) 로드맵 발표
  • 경제·무역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정영종
  • 2010-10-27
  • 출처 : KOTRA

 

말레이시아, 경제변화 프로그램(ETP) 로드맵 발표

- 2020년까지 GNI 5230억 달러까지 올려 “고소득국가”로-

- 산업별 주요 개발 프로젝트 -

     

     

     

□ 말레이시아, 고소득국가 진입을 위한 ETP 전략 및 계획 발표

     

 ○ 말레이시아는 고소득국가 진입을 위해 10년 동안 GDP를 매년 최소 6%씩 성장시켜야 함. 말레이시아는 1945년 이래 매년 7% 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한 13개 국가 중 하나임.

  - ETP(Economic Transformation Programme)는 말레이시아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2009년 6700달러 수준에서 2020년 1만5000달러 이상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임.

  - 세계은행(World Bank) 기준으로, 목표 GNI 수치를 달성할 경우 “고소득국가”로 진입할 수 있음.

  - 2020년까지 33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전국적으로 균형있게 창출될 전망

 

자료원 : World Bank, Economic Planning Unit, Department of Statistics

     

 ○ 12 국가 주력경제 분야(12 National Key Economic Area, NKEA)

  - 12여 개 NKEA는 ETP 프로젝트의 핵심임. 여기에는 석유, 가스 및 에너지, 팜 오일, 금융서비스, 관광, 비즈니스 서비스, 전자전기, 도소매 및 유통업, 교육, 건강, 통신 인프라, 농업, 그리고 Kuala Lumpur 및 Klang Valley 개발 사업 등이 포함됨.

  - 사업 규모가 큰 4개 NKEA는 석유, 가스 및 에너지, 금융서비스, 팜 오일, 그리고 도소매 및 유통업이며 전체 GNI 성장의 60%를 차지하게 될 전망

     

자료원 : Pemandu

     

자료원 : Pemandu

     

 ○ 자금 조달

  - NKEA 투자액 1조4000억 링기트 중 92%는 사기업이, 8%는 공공기관이 부담할 예정임. 이에 따라 사기업은 매년 약 1200억 링기트를 투자해야 하는데, 이는 2010년 투자액인 720억 링기트를 웃도는 수치임.

  - 전체 사기업 투자액 중 73%는 국내 자본이며, 27%는 해외직접투자(FDI)로 구성됨.

     

 자료원 : Pemandu

 

○ 총 131개 중 최근 확정된 9개 진입단계프로젝트(EPP)는 규모가 300억 링기트에 달하며 공공기관과 사기업의 협력으로 이뤄짐.

 

기업명

프로젝트

투자액(RM)

Mubadala

1Malaysia Development Berhad사와 협력해 KL 국제금융지구

(KLIFD)를 Jalan Tun Razak 인근 34㏊ 부지에 개발할 계획

260억

LFoundry

(독일계)

5년 안에 Kedah에 위치한 Kulim 첨단지구(Hi-tech Park)에 5여 개 수처리 시설에 투자할 예정

19억

St Regis

(6성급 호텔업체)

208개 객실을 갖춘 호텔과 160여 가구를 KL 중앙역 인근 2.2에이커 부지에 건립할 계획

12억

Mydin

(현지 도소매 업체)

3년 동안 14개 신규 지점을 개업하고 Tukar 프로젝트를 통해 소규모 슈퍼마켓을 지원할 예정

10억

Malaysia Airports

Holding Berhad

택시 및 버스 등 교통 수단 허브, 유통 매장, 주차장 등을 갖춘 제2콸라룸푸르 국제공항(KLIA2) 통합 컴플렉스를 향후 25년 동안 개발하고 운영할 계획

4억8600만

Schlumberger

동반구 국제 금융 서비스 허브(Eastern Hemisphere Global Financial Services Hub)를 Kuala Lumpur, Klang Valley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2020년까지 다국적 기업 100여 개사 유치 계획

3억

Genting

Genting Indahputra에 Johor Premium Outlet을 개발해 호텔, 세계적인 워터파크, 각종 매장 등을 갖춘 복합 시설을 건립할 계획

1억5000만

Premium Renewable Energy

Sabah주에 있는 Lahad Datu에 2020년까지 9여 개 바이오 연료발전소를 건립할 계획

1억2400만

(1호 발전소)

Asia e-University

온라인 및 원거리 교육 개발

GNI에 1억

1000만 기여

자료원 : ETP Roadmap

     

○ 추가적으로 6개의 EPP 구상안이 작성됨.

     

분야

프로젝트

2020년

GNI 효과(RM)

Kuala Lumpur 및

Klang Valley

개발 사업

콸라룸푸르 시내를 연결하는 140㎞ 규모의 MRT 노선을 건축하고, 이에 따른 경제파급효과로 도시 경제를 부양할 계획

콸라룸푸르에 "Truly Asia" 센터를 건립해 말레이시아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등을 홍보할 방침

212억

 

 

2억3300만

도소매 및

유통업

TUKAR(도소매 산업개혁) 프로젝트를 통해 약 5만 개 소규모 도소매 업체의 현대화를 지원해 경쟁력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할 방침

55억

의료

35개 병원에 의료관광 사업이 지원됨.

42억

농업

100ha에 달하는 공인 바이오 안전지대를 모델로 해 통합 양식업 구역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임. 이로써 원산지가 명확하게 인증된 새우를 생산해 전 세계 도시 대상, 고급 수출 품목으로 발전시킬 계획

12억

교육

Iskandar 교육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305에이커 규모의 통합 교육 허브를 설립해 각종 대학교, 연구소, R & D 센터 등을 유치할 계획

10억

            자료원 : ETP Roadmap

     

 ○ 131여 개 EPP 정보는 http://www.pemandu.gov.my  참고 요망

 

 

자료원 : ETP - A Roadmap for Malaysia, NST – Nine Projects Under Way – 26 October 2010.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경제변화 프로그램(ETP) 로드맵 발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