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13억 인구의 입맛, 中 외식시장 트렌드 분석
  • 경제·무역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10-10-26
  • 출처 : KOTRA

     

13억 인구의 입맛, 中 외식시장 트렌드 분석

- 중국식 샤브샤브 '훠궈'와 '패스트푸드' 상위권 랭크 -

 

 

 

□ 중국 외식업계 현황

 

 ㅇ 중국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외식업계의 강자 선정

  - 2010년 5월 중국조리협회(中饪协)는 중국 외식체인업계 2만 개 업체와 5만 명의 외식업계 관계자(조리사, 영양사 등)을 대상으로 외식체인 100대 기업을 선정, 발표

  - KFC, 피자헛, Tacobell 등 브랜드 사업을 하고 있는 바이성(百)그룹이 전체 업계 1위를 차지

  - 상위 10개 업체 중 충칭 업체가 3개 사, 네이멍구(蒙古)업체가 2개 사, 합자회사가 2개 사, 베이징, 톈진, 상하이 업체가 각각 1개 사인 것으로 조사됨.

  - 상위 20개 업체 중에 중국식 샤브샤브인 훠궈(火) 업체가 9개나 상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중국 외식체인업계 순위(2009년)

순위

기업명

메인 브랜드

1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KFC), 피자헛 등

2

蒙古小肥羊餐饮连锁有限公司

小肥羊(훠궈)

3

蒙古小肥羊餐有限公司

小尾羊(훠궈)

4

上海酒店股有限公司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KFC), 安面包房

5

德庄实业(集团)有限公司

德庄(훠궈)

6

陶然居食文化(集团)有限公司

,重(사천요리)

7

全聚德(集团)有限公司

全聚德(베이징오리)

8

庆刘一手餐管理有限公司

一手(훠궈)

9

市毛兄食品开发有限公司

毛兄老鸦汤

10

蒙古草原牧歌餐饮发展有限公司

草原牧歌肥羊火,草原牧歌肥牛酒店(훠궈)

11

州迪管理有限公司

12

管理有限公司

(훠궈)

13

宏帆食策管理有限公司

海港大酒(해산물), 王子

14

阿瓦餐文化连锁有限公司

阿瓦山砦

15

孔亮食文化有限公司

孔亮火(훠궈)

16

庆东方菜根香餐饮连锁管理有限公司

菜根香

17

上海杏花(集团)有限公司

新雅

18

天津狗不理集有限公司

狗不理

19

庆骑龙饮食文化有限公司

骑龙(훠궈)

20

奇火兄快有限公司

奇火(훠궈)

자료원 : 中饪协

 

 ㅇ 중국 외식업계 시장규모 '파죽지세'

  - 2009년 중국의 외식시장은 1조7998억 위안 규모로 전년대비 16.8% 성장

  - 중국 정부의 내수확대 정책에 힘입어 세계 경제위기의 여파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

  - 이러한 추세를 유지한다면 2010년에는 2조 위안, 2013년에는 3조 위안 규모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됨.

     

□ 트렌드 1 : 훠궈 대인기

 

 ㅇ 맛과 저렴한 가격, 기존과 다른 차별화된 대고객 서비스가 포인트

  - 훠궈는 자극적인 맛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식사비용으로 전국적인 인기를 끔.

  - 최근 끊임없이 오르는 물가에도 2인의 식사가격이 100~300위안선으로 매우 저렴해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환영을 받음.

  - 지금까지 훠궈식당은 뜨거운 열기와 복잡하고 청결성이 떨어지는 이미지로 대중들에게 인식됐었으나 최근 '小肥羊'과 같은 대형 체인이 들어서며 깨끗하고 아담한 인테리어와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함.

 

 ㅇ 거대한 훠궈시장

  - 훠궈업체들의 총 매출액은 319억2100만 위안으로 100대 기업 총 매출액의 26.3%에 해당되며 전체 외식시장의 10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상황

 

중국시장 인기 외식업체들

 

□ 트렌드 2 : 패스트푸드의 약진

     

 ㅇ 맥도날드보다 KFC : 중국인들의 분명한 취향

  - KFC(중국명 肯德基)를 거느린 바이성(百)그룹은 그룹 전체 매출액이 288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9.9% 성장했음.

  - 맥도날드(중국명 麦当)는 2009년 매출액은 61억 위안을 기록, 의외로 매출규모가 작은 상황으로 중국 시장에서 패스트푸드 업계의 절대 강자는 KFC임을 입증

 

 ㅇ 점차 늘어나는 전문커피숍 추세

  - 기타 주목받는 중국시장 외식브랜드로 스타벅스 커피(星巴克)를 꼽을 수 있으며 대도시를 베이스캠프 삼아 점포 확대에 나섬.

  - 가장 기본적인 메뉴인 '까페라떼'는 25위안(한화 4000원가량)으로 물가 대비 결코 싸지 않은 수준이지만 학생부터 직장인까지 폭넓은 소비자층을 가진 것이 특징

 

□ 전망

 

 ㅇ 업체 강자 위주의 시장구성 추세

  - 중국 외식시장에는 상기의 대형업체를 제외한 영세 식당이 많은 것이 특징

  - 전체 외식시장의 6.94%를 상위 100개 업체가 점유해 과점 양상을 보이는 것이 현재의 문제점

  - 향후 자본력이 강하고 성장추세인 패스트푸드 전문업체 혹은 훠궈 전문업체 위주로 외식시장의 판도가 달라질 것으로 전망됨.

 

 ㅇ 외식업계도 저탄소 경영, 고효율 경영관리 추세 따를 듯

  - 지난 7월 베이징에서 개최된 제4회 중국외식산업발전대회(中饮产业发展大) 개최

  - 당시 '中通'을 비롯한 각종 온라인 정보기술 업체들이 외식기업 시스템 관리 및 POS(소매경영종합관리시스템) 시스템 영역 진출에 흥미를 나타냄.

  - 향후 고효율·저탄소 경제모델도 중국 외식업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구축이 화두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 中饪协, 南招商, 新, 칭다오KBC 자체조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13억 인구의 입맛, 中 외식시장 트렌드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