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반도체소자 및 전자집적회로용 기계장치 시장 현황
  • 상품DB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신승옥
  • 2023-12-06
  • 출처 : KOTRA

HSCODE 8486.40 교역현황 및 분석

글로벌수요 회복에 따른 말레이시아 E&E 산업 전반에 걸친 성장 기대

반도체 후공정 분야에 특화돼 있는 말레이시아의 경우 반도체 위탁 조립 및 테스트(OSAT), 자동화 테스트 장비(ATE) 및 전자제품 제조 서비스(EMS)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2024년 글로벌 반도체 산업이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NIMP 2030 등의 이니셔티브를 통해 첨단분야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확대가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서 말레이시아의 반도체 산업도 향후 좋은 모습을 보일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번 상품 DB글을 통해서 다룰 품목의 경우 반도체 보울이나 웨이퍼, 전자집적회로 등 제조에 전용되거나 사용되는 기기와 부분품 등을 포함하는 품목군으로 반도체 제조 단계에서 주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품목이다. 해당 품목의 말레이시아내 교역현황과 주요 인증 절차 그리고 관련 기업들을 살펴보면서 그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 HS코드 8486.40 품목 정보 > 

HS코드

품목정보

8486.40

반도체 보울(boule)이나 웨이퍼(wafer)ㆍ반도체디바이스ㆍ전자집적회로ㆍ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기계와 기기, 이 류의 주 제11호다목에서 특정한 기계와 기기, 그 부분품과 부속품

[자료: 관세청법령정보포털]


교역현황


< HS코드 8486.40 교역현황(수출입 규모) > 

(단위 : 백만 USD)


2020

2021

2022

2022 상반기

2023 상반기

수출액

275.5

441.4

549.8

198.0

294.2

수입액

269.0

432.9

563.0

296.0

185.7

합계

544.5

874.3

1,112.8

494

479.9

[자료 : Global Trade Atlas(GTA)]


2023년도 상반기 말레이시아 내 반도체소자 및 전자집적회로용 기계 및 장치(HS CODE 8486.40)의 교역규모(수출입 합산액)는 약 4억7990만 달러로 전년도 동기 대비 2.85%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 기간 동안 수출과 수입이 상이한 행보를 보였는데 수출액의 경우 2억9420만 달러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8.56% 증가하여 교역규모 증가를 견인하였으나 수입 부문에서 전년 동기 대비 37.24% 감소한 수치를 보이며 전체 교역액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3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나 후공정 분야(OSAT, ATE) 반도체 제조에 참여한 기업 등의 실적에 힘입어 상승한 것으로 분석이된다.   


대 외국 수출현황(HSCODE 8486.40)


<국가별 수출현황(HSCODE 8486.40)>

(단위 : 백만 USD, %)

순위

국가

대 외국 수출규모

국가 점유율

증감률

(2022 상반기/

2023 상반기)

‘22

‘22 상반기

‘23

상반기

‘22

‘22 상반기

‘23 상반기

1

싱가포르

288.2

73.7

188.8

52.4

37.2

64.2

156.1

2

중국

96.2

46.4

25.1

17.5

23.5

8.5

-46.0

3

필리핀

29.9

11.5

18.3

5.4

5.8

6.2

58.7

4

미국

25.2

11.6

14.6

4.6

5.8

4.9

26.5

5

태국

22.0

13.3

11.2

4.0

6.7

3.8

-15.8

6

대만

21.5

7.2

6.1

3.9

3.7

2.1

-15.7

7

독일

14.4

3.7

5.7

2.6

1.9

1.9

52.4

8

인도

10.7

-

5.2

1.9

-

1.8

-

9

일본

8.1

11.2

4.8

1.5

5.7

1.6

-56.9

10

벨기에

8.0

-

3.5

1.5

-

1.2

-

[자료 : Global Trade Atlas(GTA)]


국가별 수출현황을 살펴보게 되면 반도체 보울(boule)이나 웨이퍼(wafer)ㆍ반도체디바이스 등 제조에 사용되는 기기의 경우 싱가포르로 수출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년 상반기 기준 싱가포르로 수출된 규모는 1억8880만 달러로 점유율 기준으로는 전체의 64.19%를 차지하는 등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 역시 7370만 달러에서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최근 싱가포르로의 수출 비중이 크게 확대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대로 대 중국 수출은 '23년 상반기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01% 감소한 2510만 달러를 기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특징적인 흐름으로는 필리핀과 미국으로의 수출이 '23년 상반기에 각 1830만 달러, 146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전년대비 58.7%, 26.5% 만큼 크게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외국으로부터의 수입(HSCODE 8486.40)


<국가별 수입현황(HSCODE 8486.40)>

(단위 : 백만 USD, %)

순위

국가

대 외국 수출규모

국가 점유율

증감률

(2022 상반기/

2023 상반기)

‘22

‘22 상반기

‘23

상반기

‘22

‘22 상반기

‘23 상반기

1

싱가포르

209.8

114.1

78.4

37.3

38.5

42.2

-31.3

2

일본

121.1

55.7

32.0

21.5

18.8

17.2

-42.6

3

미국

68.1

40.5

22.2

12.1

13.7

11.9

-45.3

4

중국

62.4

34.0

17.9

11.1

11.5

9.6

-47.3

5

스위스

14.0

5.9

7.7

2.5

2.0

4.1

30.7

6

대만

10.3

1.6

4.7

1.8

0.5

2.5

193.5

7

한국

16.1

9.3

4.4

2.9

3.2

2.4

-52.5

8

네덜란드

7.1

3.3

4.2

1.3

1.1

2.3

28.4

9

오스트리아

1.7

1.0

4.1

0.3

0.3

2.2

322.1

10

홍콩

15.8

9.0

3.3

2.8

3.0

1.8

-63.9

[자료 : Global Trade Atlas(GTA)]


말레이시아로 수입되는 반도체 소자 및 전자집적 회로용 기계장치  '23 로 비중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 수입 부문에 있어서도 '23년도 상반기 기준 7840만 달러 규모를 수입하여 1위를 차지하는 등 해당 품목에 있어서 말레이시아와 가장 활발한 교역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3년도 상반기의 경우 상위 10개국의 수입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대부분이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으며 기존에 거의 비중이 없었던 스위스, 대만, 네덜란드 그리고 오스트리아로부터의 비중이 늘어나는 등 수입국들간의 비중이 조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현황>

(단위 : 백만 USD, %)

 

2018

2019

2020

2021

2022

수입액

12.0

17.97

20.5

10.2

16.1

증가율

99.6

49.9

13.8

-50.1

57.7

[자료 : Global Trade Atlas(GTA)]


GTA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은 말레이시아의 반도체소자 및 전자집적회로용 기계 장치(HSCODE 848640) 5위 수출국을 기록하였다. 최근 말레이시아가 한국으로부터 5년간 수입한 규모를 살펴보면 2018년 1200만 달러에서 1610만 달러로 34%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1년도 한 차례 하락을 겪은 이후 '22년도에 다시금 반등하는 등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다만, 올해 상반기의 경우 총 440만 달러 규모를 한국으로부터 수입하였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2.48 % 감소한 규모이며 23년도 전체 실적은 전년 대비 다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 및 인증정보


 <품목별 세율 현황>

(단위: %)

HS코드(세부)

수입관세

판매 및 서비스세(SST)

8486.40

Customs Duties Order 2022

AKFTA

8486.40.1000

0

0

0

8486.40.2000

0

0

0

8486.40.3000

0

0

0

8486.40.4000

0

0

0

8486.40.5000

0

0

0

8486.40.6000

0

0

0

8486.40.7000

0

0

0

8486.40.9000

0

0

0

[자료 : 말레이시아 관세청, ‘22 -아세안 FTA(AKFTA) 규정]


2022년 관세 명령(PDK)에 따르면 HS 8486.40에 따른 제품에는 판매 및 서비스세(SST)가 없다제품 등록/인증서/규정 등 관세 명령 PDK에 따르면 HS 8486.40에 해당하는 제품은 제품 등록 또는 별도의 인증이 요구되지 않으니 현지 유통을 준비 중이라면 참고할 필요가 있다.


현지 유통 및 분배 구조


HS 8486.40의 최종 사용자는 반도체 제조 설비(Fabs), 기계 및 장비 제조업체 및 유지 보수 서비스 제공업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HS 8486.40로 분류되는 품목들은 현지 정부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증을 받은 유통사들을 통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유통되는 형태이다.


[자료: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지 주요 경쟁업체 현황


순번

회사명

국적

설립연도(말레이시아 법인)

1

Hano Solutions Sdn Bhd

말레이시아

2008

2

TOWA Tool Sdn Bhd

일본

1991

3

Alpine Mold Engineering

말레이시아

2022

4

In Future Precision Sdn Bhd

말레이시아

2010

5

MMIS Sdn Bhd

말레이시아

2019

6

Advantis Technology Sdn Bhd

미국

2005

7

CM Machinery Sdn Bhd

말레이시아

1999

8

Classic Advantge Sdn Bhd

말레이시아

2003

9

Bomatec (Malaysia) Sdn Bhd

말레이시아

1993

10

ADV Precision Industries Sdn Bhd

말레이시아

2008

[자료: 말레이시아 제조업연맹(Federation of Malaysian Manufacturers) 및 각 기업 홈페이지 정보 취합]


시사점


글로벌 반도체 산업이 점차 회복 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글로벌 수요 반등이 이뤄지게 되면 2024년 전기전자(E&E) 부문과 관련 부품들의 대외 교역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케낭가 리서치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업스트림 산업 부문에대한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만큼 후공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은 반도체 생태계의 확장으로 새로운 기회가 많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히기도 하였다. 최근 몇년간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위축국면에서도 말레이시아의 E&E 부문이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말레이시아 정부와 업계의 노력이 일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E&E 산업을 중심으로 말레이시아는 현재 ASEAN 지역 내 반도체 허브로서 거듭나고 있는만큼 향후 우리기업들의 진출도 더욱더 활발해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자료: Global Trade Atlas(GTA), 말레이시아 제조업연맹(FMM), 말레이시아 투자청(MIDA),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반도체소자 및 전자집적회로용 기계장치 시장 현황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