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 명 | 주방용품 | 최종 업데이트 | 2024-10-11 |
---|---|---|---|
MTI CODE | HS CODE | 392410 | |
국가 | 아랍에미리트 | 무역관 | 두바이무역관 |
제도 명 |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 | ||
인증 구분 | 강제 | 인증 유형 | 현행 |
인증마크 |
|
||
도입시기 | 2015년 제도 마련, 2016년 제도 시행 | ||
근거 규정 | UAE 내각결정 2015-20(Cabinet Resolution No 20 for the year 2015) | ||
제도 내용 |
ESMA로 더 잘 알려진 UAE 표준측량청(Emirates Authority for Standardization & Metrology)은 국제 수준에 부합하는 UAE 국가 산업표준화 기구로 2001년 설립되었으며, ECAS와 EQM 제도를 통해 UAE 연방 표준의 제품 인증 제도(Product Certification Scheme)를 확립했다.
UAE는 비교적 짧은 역사와 7개 토후국의 연합인 연방 국가라는 특성으로 인해 ESMA 이전에는 토후국 별 시청(Municipality)에서 각기 다른 수입 허가를 관할하거나 특별한 규제 없이 수입품의 유통이 가능한 시장이었다. 특히 한 토후국의 승인은 다른 토후국에서 통용되지 않았으며 토후국 별 관할 부서나 관련 규격 기준를 명확히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혼란이 가중된 바 있다. ESMA의 설립 이후에도 한동안 과도기는 있었지만 2012년부터 본격적인 인증품목 확대와 공표가 이루어지면서 UAE 산업표준화 제도는 안정기에 접어들었다. 2020년 7월, 자국 산업 육성을 위해 산업첨단기술부(MOIAT, Ministry of Industry and Advanced Technology)가 신설, ESMA는 MOIAT로 합병되었지만 ECAS와 EQM은 MOIAT 관할 연방 차원의 산업표준화 제도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MOIAT가 관할하는 제품 인증 제도는 크게 필수인증인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와 임의인증인 EQM(Emirates Quality Mark)으로 구분되며 인증의 수여는 해당 제품이 UAE 국민에 무해한지,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가늠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UAE에서 생산되거나 역내로 수입, 유통되는 상품은 MOIAT가 규정하는 규격 기준(Standards)을 준수해야 하며 ECAS와 EQM 획득을 통해 해당 제품이 UAE 규격 기준에 부합함을 증명해야 한다. 필수인증인 ECAS 규제 품목으로 지정되면 해당 제품을 제조, 수출하는 업체는 UAE 유통 이전에 반드시 ECAS를 획득해야 하며, 통관 및 유통과정에서 인증서 제출을 요구받을 수 있다. ECAS 인증은 1년간 유효하고, 만료 1개월 전에 갱신 신청 해야 한다. 2024년 10월 현재 ECAS는 각종 소비재와 일부 산업재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규제 품목으로는 주방용품을 포함하는 식품접촉물질(Food contact materials) 외 화장품과 퍼스널케어, 향수, 저전압기구, 조명기구, 유아용 카시트, 개인보호장비, 가전(냉장고, 세탁기 외), 어린이용품, 전자담배, 엘리베이터, 윤활유 등이 있다. |
||
품목정의 | 식품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포장재나 보관용기, 주방용품, 식기나 수저 등 식품접촉물질(Food contact materials) 전반 | ||
적용대상품목 |
- 플라스틱 제품(Plastic Materials)
- 유리 제품(Glass Materials) - 세라믹 제품(Ceramic Materials) - 실리콘 제품(Silicon Materials) - 종이 제품(Paper Materials) - 금속 제품(Metal Materials) - 나무 제품(Wood Materials) - 기타 식품 접촉 물질(Other food contact materials) |
||
확대적용품목 | |||
인증절차 |
현지에서는 일반적으로 UAE의 수입업체(디스트리뷰터)가 해외 제조사와 수입 계약을 마친 후 통관 전에 ECAS 인증 절차를 진행하며, 인증 신청 시 현지 사업자 등록을 제출함으로써 해당 제품에 대한 판매와 사후관리의 책임을 진다. UAE 사업자 등록증이 인증 신청을 위한 필수 서류인바 해외기업의 경우 수출계약을 통해 현지 수입업체(바이어, 디스트리뷰터)를 선임하거나 UAE 법인을 설립을 통해 유효한 현지 사업자 등록을 확보하는 절차를 선행해야 한다. 즉 UAE로 수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의 경우 반드시 현지 유통사를 선임하거나 현지 사업자 개소를 해야지만 인증 신청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관련 정책 운영과 인증의 최종 수여는 MOIAT가 하지만 신청과 심사, 실질적 인증 발급을 위한 일련의 과정은 인증기관에서 위임받아 진행한다. ECAS와 EQM 심사의 전 과정과 인증 발급 권한을 부여받은 기관들을 MOIAT 승인 인증기관(Notified Body)이라고 칭하며 UAE 내에는 19개의 인증기관이 존재한다. 각 인증기관이 취급하는 품목이 상이하며 기관별 세부 진행 절차나 소요 기간, 수수료에 미미한 차이가 있음으로 복수의 기관을 비교한 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보완서류 발생 시 소요 기간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인증기관 선택 시 비용뿐만 아니라 고객 응대가 적극적인 것도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된다. 인증기관을 선정했다면 기관 담당자 문의를 통해 인증받으려는 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스펙을 공유한 후 견적과 타임라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안내에 따른 절차를 진행하면 된다. * 절차는 하기 첨부파일 참고 |
||
시험기관 | UAE 내 시험기관으로는 Dubai Central Laboratory가 있으나 해외 제조업체의 경우 유효한 ISO 17025를 보유한 시험기관에서 테스트를 받아도 무방하다. | ||
인증기관 | IMQ Gulf FZCO, GulfTIC Certification, Abu Dhabi Quality AND Conformity Council (ADQCC), TUV SUD Middle East, Prime Certification & Inspection, Intertek 등 | ||
유의사항 | 기관별로 심사 가능한 품목이 다른바 인증기관을 선택하기 전에 인증을 받으려는 품목의 취급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것이 중요하다. |
구분 | 인증기관 #1 |
---|---|
기관 명 | IMQ Gulf FZCO |
홈페이지 | imqgulf.com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971-4-2525475 |
팩스번호 | |
이메일 | me-cert@imqgulf.com |
기타 | 두바이 공항 프리존(DAFZA) 지역 위치 |
구분 | 인증기관 #2 |
---|---|
기관 명 | TUV NORD Middle East W.L.L |
홈페이지 | tuv-nord.me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971-4-2045922 |
팩스번호 | |
이메일 | me-pcd@tuv-nord.me |
기타 | 두바이 공항 프리존(DAFZA) 지역 위치 |
구분 | 인증기관 #3 |
---|---|
기관 명 | GulfTIC Certification L.L.C. |
홈페이지 | gulftic.com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971-4-2721285 |
팩스번호 | |
이메일 | Info@gulftic.com |
기타 | 두바이 데이라(Deira) 지역 위치 |
구분 | 시험기관 #1 |
---|---|
기관 명 | Dubai Central Laboratory |
홈페이지 | https://www.dm.gov.ae/municipality-business/about-laboratory/ |
담당부서 | Consumer Products Registration(MONTAJI) |
전화번호 | +971-4-3027273 |
팩스번호 | |
이메일 | info@dm.gov.ae |
기타 | 유효한 ISO 17025를 보유한 시험기관에서 발급한 테스트리포트가 있을 경우 Dubai Central Laboratory 테스트리포트는 불필요 |
인증절차도 |
---|
|
구분 | 시험 |
---|---|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
o UAE 내각결정 2015-20의 표 1(Cabinet Resolution No 20 for the year 2015)가 규정하는 품목별 요건
- 규정은 MOIAT 웹사이트를 통해 구매 가능하나 하기 기타에 표 1 첨부 |
시험 비용 | 상세 품목이나 요구되는 시험에 따라 100AED~1150AED(약 3만 7천원~ 43만 3천원)로 상이한바 테스트리포트 신청시 견적서 수신 필요 |
소요 기간 | 상세 품목이나 요구되는 시험에 따라 상이한바 테스트리포트 신청시 별도 문의 필요 |
구분 | 인증 |
---|---|
초기공장심사 비용 | 요구되지 않음. |
인증 비용 | 약 1800디르함(약 68만원) |
소요 기간 | 약 1주일(모든 서류 구비시) |
인증 유효기간 | 1년, 만료 1개월 전 갱신 |
사후관리 비용 | 해당 없음. |
자료원 | MOIAT |
필요 서류 |
- 유효한 UAE 사업자 등록증(Valid UAE Industry/Trade License)
- UAE 내각결정 2015-20의 표 1*에 명기된 요건에 부합하는 테스트리포트(Test Report from accredited and recognized laboratory as per the technical requirements mentioned under Annex 1 of Cabinet Resolution No 20 for the year 2015) - 제품 성분 선언( Product Identity Declaration (if applicable)) - UAE 내각결정 2015-20의 표2에 따른 라벨 요건을 충족(Fulfill the Label requirements mentioned under annex 2 of cabinet resolution No. 20 for the year of 2015) - 원부자재 리스트(List of components/raw materials used (if deemed necessary)) - GMP증명(GMP Compliance) - 적합성 선언 (Electronic Declaration of Conformity) |
---|---|
유의 사항 | |
기타 |
(참고) UAE 내각결정 2015-20의 표 1(Table 1. Applicable standards under UAE Scheme for Control on FCM)
* 자료원 : https://www.tuvsud.com/en-ae/e-ssentials-newsletter/past-topics/uae-mandatory-scheme-for-control-on-food-contact-materials UAE.S GSO 124 General requirements for fresh fruits and vegetables boxes UAE.S GSO 142 Tableware made from melamine plastics UAE.S GSO 458 Wrapping paper and paper bags UAE.S GSO 462 Single-use rigid and semi-rigid plastic cups and containers for packaging beverages, milk products, and allied purposes UAE.S GSO 839 Food Packages - Part 1: General Requirements UAE.S GSO 1102 Milk paperboard containers UAE.S GSO 1193 Polyethylene bags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UAE.S GSO 1791 Three piece steel round cans used for canning food stuffs UAE.S GSO 1793 The two pieces Aluminum round cans used for canning food (beverages & stuffs) UAE.S GSO 1794 The two pieces Steel round cans used for canning foodstuffs UAE.S GSO 1797 Round metal cans used for canning food stuffs: definitions, construction, dimensions and capacities UAE.S GSO 1863 Food packages - Part 2: Plastic package - General requirements UAE.S/GSO 2075 Cook ware made from thermal glass UAE.S/GSO 1008 Cold formed Aluminum household utensils UAE.S GSO 2138 Tea and herbs bags UAE.S GSO 2014 Domestic cookware coating materials UAE.S GSO 1024 Non-returnable glass bottles for carbonated beverage UAE.S GSO CAC 193 General standard for contaminants and toxins in food UAE.S GSO CAC GL 6 Guideline levels for vinyl chloride monomer and acrylonitrile in food and packaging material UAE.S GSO ISO 6486-2:2013 Ceramic ware, glass-ceramic ware and glass dinnerware in contact with food -- Release of lead and cadmium -- Part 2: Permissible limits GSO EN 12546-2 Materials and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Insulated containers for domestic use. Specification for insulated bags and boxes UAE.S GSO 9 Labelling of Prepackaged Foods UAE.S GSO 21 Hygienic Regulation for poultry processing abattoir and their personnel UAE.S GSO 1694:2005 General Principles of Food Hygiene |
첨부 파일 |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주방용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3년 베트남 IT산업 정보
베트남 2024-01-04
-
2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 보호에 앞장서는 스위스
스위스 2024-10-14
-
3
2024년 이집트 가전산업 정보
이집트 2024-10-14
-
4
정수기
베트남 2024-10-14
-
5
중국 ABS수지 시장동향
중국 2024-10-14
-
6
UAE 산업표준화 제도 ECAS, EQM 순항 중
아랍에미리트 202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