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타르 ICT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카타르
  • 도하무역관 양소망
  • 2021-12-16
  • 출처 : KOTRA

ICT 보급률, 보급 환경, 인터넷 사용률 및 모바일 보급률 등 세계 순위권 안에 드는 ICT 기반 보유

TASMU 등 정부 주도의 ICT 육성 정책에 힘입어 5대 유망 분야에(교통, 물류, 환경, 헬스케어, 스포츠) 초점을 맞춰 지속 성장 전망


 

산업 개요


ICT 산업 GDP 규모는 2020년 기준 26억 달러로 카타르 전체 GDP1.4%를 차지하고 있다. 카타르는 세계 순위권 안에 드는 ICT 기반 보유하고 있는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글로벌경쟁력지수에 따르면, 2020년 카타르의 ICT 보급률은 세계 9위를 기록(한국 1, UAE 2)하였다. 이 외에도 World Bank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카타르의 ICT 보급 환경은 세계 8위 수준이며, 인터넷 사용률 99.6%, 모바일 보급률 132%를 기록하였다.


<카타르 ICT 산업 규모>

(단위: US$ 백만, %)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GDP 규모

2,695

2,632

2,642

2,618

2,628

증감률

3

2

0

1

0

[자료: QCB(Qatar Central Bank)]

 

BMI에 따르면 카타르의 정보 통신 산업은 정부 주도의 ICT 육성 정책 및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준비에 힘입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 분야의 전반적인 성장세로 2022년까지 3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요 정책


2008년 발표된 카타르 국가비전 2030(Qatar National Vision 2030, QNV)은 중장기 국가 발전 전략으로 인적자원, 사회, 경제, 환경 4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국가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국가비전을 바탕으로 5년마다 국가 발전 전략(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NDS)을 수립하며, ICT 분야의 경우 교통통신부(MOTC)를 통해 전략 마련하고 있다교통통신부는 NDS 2011-2016에 따라 국가 ICT 전략(National ICT Plan 2015)을 수립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공 행정 서비스 접근성 및 효율성 개선, 공공 및 민간 분야의 초고속 정보 통신 환경 조성, 기업 및 노동자 육성 등 ICT 산업 발전 도모, 디지털 문맹 및 사회 전 구성원의 디지털 접근성 개선의 4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 프로젝트


교통통신부는 2016년 카타르 ICT 산업의 핵심 성장 전략 중 하나로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국가 디지털화 프로그램인 TASMU를 도입하고,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약 16억 달러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최신 디지털 솔루션을 갖춘 세계적인 스마트시티로서 국제적으로 생활수준을 높이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통, 물류, 환경, 헬스케어, 스포츠 5대 분야 유망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지원하며 총 114개 프로젝트로 구성되어있다.

 

<카타르 정부 중점 육성 분야>

분야

주요 내용

주요 프로젝트

교통

인구 증가에 따른 교통 인프라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도로 건설 및 개보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시에 타스무를 통해 스마트 교통 관련 프로젝트 추진

스마트 파킹(Smart Parking), 실시간 교통체증 관리 시스템(Real-time Traffic Management System), 소셜 모빌리티 시스템(Social Mobility System)

물류

국내외 물류 체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타스무 주도로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물류 관련 프로젝트 추진

글로벌 공급망 트랙킹 시스템(Global Supply Chain Tracker), 드론 배달 서비스(Drone Delivery), 물류 마켓플레이스(National Warehousing Marketplace), 국가 공급 및 수요 매칭 대쉬보드(National Supply and Demand Dashboard)

헬스케어

인구 증가 및 코로나19로 늘어나는 의료 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 프로젝트 추진

디지털 자가진단(Digital Self-diagnosis), 화상 진료(Virtual Consultation), 이동식 클리닉(Mobile Clinic), 스마트 앰뷸런스(Smart Ambulance), VR 응급처치(VR First Aid)

스포츠

국민 체육 활동 증진 및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등 국제 스포츠 행사 개최 시 활용 가능한 스마트 스포츠 관련 프로젝트 추진

스포츠 행사 관객 연결 기술(Connected Fans), 경기장 패스트트랙(Stadium Fast Track), 스포츠 정보 온라인 허브(National Sports eHub)

환경

식량 안보 확보 및 에너지 절약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타스무를 통해 스마트 환경 관련 프로젝트 추진

국가 식량안보 분석 시스템(National Food Security Analytics), 스마트 빌딩(Smart Building), 수직농장(Vertical Farming), 농업인 마켓플레이스(Connected Farmers Market Place)

[자료: TASMU]

 

주요 이슈


코로나19에 따라 온라인 활용이 증가하는 등 소비 패턴의 변화 및 정부 주도 ICT 육성 정책으로 전자상거래 시장이 지속 성장 중에 있으며, 카타르상공회의소 보고서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22억 달러로 전년 대비 47% 성장을 달성하였고, 2022년까지 3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교통통신부는 카타르 전자상거래 포털(Qatar E-Commerce Portal) 및 전자상거래 인증 제도 더카(TheQa) 운영을 통해 전자상거래 시장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카타르 전자상거래 업체는 약 500개사(’2111월 기준)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온라인 서비스 이용이 늘어나면서 전자상거래 분야 진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외에도 전자 정부 전략(Qatar e-Government)을 통해 정부 서비스를 온라인 전환 중으로 전자 정부 관련 디지털 서비스 도입 수요가 커지고 있다. 전자서명(Digital Signature), 클라우드 인프라(Government Cloud Infrastructure), 디지털 증명서(Digital Certification) 등 스마트 정부, 정부 주도의 사이버 보안 전략을 지속 추진 중으로, 2017년 카타르 단교 사태의 발단이 해킹으로 발생함에 따라 안전한 사이버 보안 환경 구축 관심이 고조되어 디지털 포렌식(Digital Porensic), 악성코드 분석(Malware Analysis) 등 사이버 보안에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발생으로 비대면 교육이 뉴노멀로 자리매김 하고 있으며, 국가 교육 전략에 따른 교육 시설 개선 및 학습 성취율 향상 등을 위해 스마트 러닝 분야 수요 발생에 따른 이러닝(E-Learning) 플랫폼, 화상회의 시스템, AR/VR 등 스마트 러닝이 유망한 분야로 전망되고 있다.

 

산업 수급 현황


카타르의 노트북, 태블릿 PC,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자동 자료 처리 기계의 수입 규모는 2020년 기준 16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 증가하였고, 그 중 중국산 제품이 전체 수입 비중의 92%를 차지하였다.


<2020년 카타르 자동 자료 처리 기계 수입 현황(HS코드 847130)>
(단위 : US$ , %)

국가

금액

비중

증감

중국

151,545

92

12

미국

3,882

2

31

베트남

3,108

2

64

폴란드

2,773

2

44

영국

1,349

1

159

기타

2,900

2

8

합계

165,558

100

12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스마트폰 수입 규모는 202041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2% 증가하였고, 그 중 중국산 제품이 전체 수입 비중의 84%를 차지하였다. 특히 한국(235%) 및 미국(139%)으로부터의 수입 규모가 눈에 띄게 확대되었다.

 

<2020년 카타르 스마트폰 수입 현황(HS코드 851712)>
(단위 : US$ , %)

국가

금액

비중

증감

중국

343,785

84

5

베트남

41,560

10

20

인도

17,385

4

3

한국

3,445

1

235

미국

1,854

0

139

기타

2,001

0

14

합계

410,003

100

2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주요 기관 및 기업


<ICT 관련 주요 기관 및 기업>

기업/기관명

내용

교통통신부

(Ministry of Transport and Communication, MOTC)

카타르ICT 산업 관련 정책을 관할하고 집행하는 정부부처
* 홈페이지: www.motc.gov.qa

교통통신부 산하 국가 디지털화 프로그램 운영 부서인 TASMU 2017년부터 2022년까지 5대 분야(교통, 물류, 환경, 헬스케어, 스포츠) 107개시범 프로젝트 추진
* 홈페이지: www.tasmu.gov.qa/en

TASMU Digital Valley

TASMU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성취를 위해 교통통신부와 카타르 경제 자유 구역청(QFZA)이 공동 설립한 디지털 클러스터로 디지털 산업 관련 정보 제공
* 홈페이지: tdv.motc.gov.qa/tasmu-digital-valley-services

Digital Incubation Center

교통통신부가 운영하는 디지털 분야 스타트업 창업 지원 기관으로 창업 아이디어 발굴 및 개발, 공유 사무실 공간 등 서비스 제공
* 홈페이지: www.dic.motc.gov.qa

장애보조공학기술센터

(MADA,

Qatar Assistive Technology Center)

교통통신부가 2010년 민관 합작을 통해 설립한 비영리 기관으로 장애인, 노약자 등 최신 기술 및 디지털 환경 소외 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지원 및 보조 공학 관련 서비스 활동 수행
* 홈페이지: mada.org.qa

QBIC

(Qatar Business Incubation Center)

카타르 개발 은행(QDB)과 비영리 기관 NAMA가 공동 설립한 창업 지원 기관으로, 디지털 분야 육성을 위해 통신사 Ooredoo‘Digital & Beyond’ 프로그램 운영
* 홈페이지: www.qbic.qa

Ooredoo

1987년 설립된 카타르 국영 통신사로 현지 통신 시장 약 70% 점유 중이며, 인도네시아, 쿠웨이트 등 9개 국가에 진출해 전 세계 약 12천만 명 가입자를 보유한 글로벌 통신사로 성장
* 홈페이지: www.ooredoo.qa

Vodafone Qatar

영국의 다국적 통신사로 카타르에는 2008년 설립(카타르 재단 100% 소유)되었으며, 카타르 내가입자 수 170만 명을 보유한 2위 통신사
* 홈페이지: www.vodafone.qa

[자료: 각 기관 및 기업 홈페이지]

 

SWOT 분석


Strength

Opportunity

· 정부 주도의 경제 다각화(QNV 2030) 추진에 따른 안정적인 투자  환경
· 저렴한 생산 경비(수도·전기·연료) 및 다양한 인재풀(저임금 단순 노동자고급 전문직)
· 중동 최초 5G 상용화 및 ICT 보급률 선도국

· 인구 증가 및 2022 카타르 월드컵 개최 대비 ICT 인프라 확충 지속
· 정부 주도의 다양한 ICT 산업 발전 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TASMU, 창업 지원 프로그램 등)
· 외국인 투자법 개정 및 경제 자유구역 조성(외국인 지분 최대 100% 허용)

Weakness

Threat

· 국제 유가에 좌우되는 에너지 의존 경제

· 작은 시장 규모
· ICT 산업 관련 국가 인지도 부족

· 이란 제재 강화 등 역내 정치적 긴장 지속
· 국세청 신설 및 특소세 도입으로 추가 세제 개편 가능성 존재
· 2022 카타르 월드컵 이후 중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발주 감소 우려



진출 전략


먼저, 기술 및 제품 수출을 위한 에이전트 발굴을 시도해볼 수 있다. ICT 기기는 원활한 A/S 및 기술 지원을 위해 현지 수입 에이전트(바이어)를 통해 주요 유통망(전자 제품 매장, 대형마트, 바이어 자체 매장 등)으로 유통되는 형태이다. TASMU Digital Valley에서 제공하는 ICT 기업 디렉토리(1,200개사)를 활용하여 관련 바이어 발굴을 시도할 수도 있겠다.


이 외에도 카타르 금융센터(QFC), 카타르 과학 기술단지(QSTP), 카타르 경제 자유 구역청(QFZA) 등 주요 산업 클러스터를 활용하여 100% 지분으로 외국인 직접 투자 진출 또한 가능하다.


<주요 산업 클러스터>

구분

내용

카타르

금융센터
(Qatar Financial Center, QFC)

· 주로 투자 은행, 마케팅, 핀테크 등 고부가 가치 서비스 및 기술 분야 기업을 중점적으로 유치
· 2022년까지 1,000개 기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19년 말 기준 약 700여개 기업 입주 중
* 홈페이지: www.qfc.qa

카타르

과학 기술단지
(QSTP, Qatar Science and Technology Park)

· 고부가 가치 제조업, 기술 및 제품 개발, R&D, 기술 컨설팅 분야 기업을 중점 유치 분야로 선정
· Siemens, Vodafone 등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 위주의 진출 활발
* 홈페이지: www.qstp.org.qa

경제 자유

구역청
(Qatar Free Zones Authority, QFZA)

· 2018년 설립된 독립기관으로 카타르의 경제 자유구역을 조성하고 외국인 투자유치를 관장하는 정부기관
· 하마드항 인근과 하마드 국제공항 인근에 각각 Um- Alhoul, Ras Bufontas 경제 자유구역 조성 중
· 중점 유치 분야로 정보 통신기술(ICT), 제조업, 첨단기술 등 선정

* 홈페이지: www.fza.gov.qa

[자료: 각 기관 및 기업 홈페이지]


 시사점


카타르는 작은 시장 규모로 인해 바이어들이 거래 수량에 대해 민감한 편이다. 따라서 시장 규모에 적합한 최소 주문 수량 제안이 필요하며, 초도 주문 물량은 유동적으로 조절해 적은 수량으로 시장 반응을 먼저 살펴보고 적합한 판매 목표를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 ICT 관련 품목은 고장 및 오류가 발생하거나 부품 수요가 발생할 경우, A/S 제공 및 시장 요구사항에 대한 적시 대응을 통해 거래처 및 소비자 만족도 제고가 중요하다. 일부 소프트웨어나 컨텐츠류는 최종 수요처(정부기관, 기업, 학교 등)에서 커스터마이징을 요구하거나 일부 기능 수정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자료: MOTC(Ministry of Transport and Communication), ITC Trade Map, 주요 일간지(Gulf Times, Peninsula, Qatar Tribune), KOTRA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 ICT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